검색결과
  • 경찰 원주 C형 간염 수사 착수

     강원도 원주에서 발생한 C형 간염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강원 원주경찰서는 16일 옛 한양정형외과의원이 개원할 당시부터 폐업할 때까지 근무한 간호사 등 병

    중앙일보

    2016.02.16 18:09

  • [사설]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한 의료인은 면허 박탈하라

    지난해 97명의 C형 간염 환자가 집단 발생한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에 이어 이번에는 강원도 원주와 충북 제천에서도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원주에서는 20

    중앙일보

    2016.02.15 00:38

  • 원주 소재 병원 주사기 재사용 …105명 ‘C형 간염’ 무더기 감염

    강원도 원주와 충북 제천에서도 일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이로 인해 원주에서는 환자 105명이 C형 간염에 감염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지난해 97명의 C

    중앙일보

    2016.02.13 01:31

  • 의료인 면허 취소 추진, 의심 기관 공익신고 접수…주사기 재사용 근절방안 발표

    의료인 면허 취소 추진, 의심 기관 공익신고 접수…주사기 재사용 근절방안 발표

    앞으로 1회용 주사기를 재사용한 의료인에 대한 형사처벌과 면허 취소가 추진된다. 의료기관 종사자와 환자를 대상으로 주사기 재사용 의심 의료기관에 대한 공익신고도 접수받는다.보건복지

    중앙일보

    2016.02.12 11:24

  • 다나의원 C형간염 감염자 78명…매독, 말라리아 감염자도 확인

    다나의원 C형간염 감염자 78명…매독, 말라리아 감염자도 확인

    [다나의원 사진=뉴시스]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 내원자 가운데 C형간염 감염자가 78명으로 늘어났다. 매독·말라리아·B형간염 감염자도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질본)는 2008년 이후

    중앙일보

    2015.12.04 14:01

  • 경찰, 'C형간염 집단발병' 다나의원 압수수색

     경찰이 C형 간염 집단 발병을 논란을 빚은 다나의원에 대한 수사를 시작했다. 서울 양천경찰서는 지난 1일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다나의원을 압수수색 했다고 2일 밝혔다. 경찰 관계

    중앙일보

    2015.12.02 19:10

  • [취재일기] 다나의원 사태가 장애인의 문제인가

    [취재일기] 다나의원 사태가 장애인의 문제인가

    이에스더사회부문 기자“우리 애는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의사가 되겠다는 꿈을 꾸면 안 되는 건가요?” 자신을 ‘지체장애인 초등생 아들을 둔 엄마’라고 소개한 한 독자가 지난 일요일에

    중앙일보

    2015.12.01 01:04

  • C형간염, 효과적인 예방백신은 없으나 전파 가능성은 희박해

    C형간염, 효과적인 예방백신은 없으나 전파 가능성은 희박해

    'C형간염'서울 양천구 '다나의원'에서 발생한 C형간염 감염자가 6명이 추가돼 모두 66명으로 늘었다.25일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0시 기준 '다나의원' 이용자 531명을 검사한 결

    온라인 중앙일보

    2015.11.25 19:15

  • C형간염 감염자 66명으로 또 늘어…원장도 C형간염? 제2의 메르스되나

    C형간염 감염자 66명으로 또 늘어…원장도 C형간염? 제2의 메르스되나

    'C형간염'서울 양천구 '다나의원'에서 발생한 C형간염 감염자가 6명이 추가돼 모두 66명으로 늘었다.25일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0시 기준 '다나의원' 이용자 531명을 검사한 결

    온라인 중앙일보

    2015.11.25 18:51

  • 서울 양천구 병원서 18명 C형 간염 감염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동네의원 다나의원에서 18명이 집단으로 C형 간염에 감염돼 병원이 폐쇄됐다.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는 이 병원의 환자 15명, 간호조무사 2명, 원장의 부인

    중앙일보

    2015.11.21 01:12

  • [사회] 서울 양천구 의원서 수액맞은 환자 18명 C형 간염 집단 발병

     서울 양천구의 한 의원에 들렀던 환자 18명이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집단 감염된 사실이 드러났다. 질병관리본부(질본)는 서울 양천구 신정동 소재 다나의원을 내원한 환자들에게서 C

    중앙일보

    2015.11.20 12:04

  • 다른 곳보다 간암 발병률 60% 높은 지역은?

    우리나라 최서남단에 있는 전남 진도군은 진돗개로 유명한 섬이다. 국내에서 셋째로 큰 섬인데 주민 3만3000명이 산다. 이 지역 주민들이 보건 당국의 주목을 받게 됐다. 간암 발병

    중앙일보

    2012.10.09 00:22

  • 과학자 299명 미래 대한민국 만든다

    과학자 299명 미래 대한민국 만든다

    13개 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관장하는 기초기술연구회가 최근 NAP 5대 과제를 선정해 드림팀을 구성,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에 들어갔다. 2015년까지 산·학·연 과학자 299명의

    중앙일보

    2009.03.11 11:27

  • 혈액관리 구멍 송송...불안해서 수혈 받겠나?

    혈액관리 구멍 송송...불안해서 수혈 받겠나?

    HIV, C형 감염 등 수혈로 인한 부작용 의심이 최근 3년간 93건이나 발생했지만 5건중 2건은 원인조차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가 공개한 ‘특정수혈

    중앙일보

    2008.10.27 10:05

  • 혈액관리본부, 수혈 감염사고에 대국민 사과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는 20일 수혈로 간염 감염 사고가 일어난 데 대해 대국민 사과문을 냈다. 본부는 이날 사과문에서 "질병관리본부의 역학조사로 밝혀진 수혈 감염 사고는 200

    중앙일보

    2006.06.20 11:41

  • "에이즈 혈액" 유통 관계자 무더기 사법처리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B.C형 간염, 말라리아에 오염된 혈액을 유통시켜 19명을 감염시킨 대한적십자사 산하 혈액원 관계자 27명이 무더기 사법처리됐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

    중앙일보

    2004.07.29 13:39

  • [2002 의료계 10대뉴스]

    [2002 의료계 10대뉴스]

    '위암억제 유전자에서 자궁경부암 백신까지'. 올해도 첨단의학기술이 돋보인 한 해였다.국내 의학자들 논문이 해외 유수의 학술잡지에 게재됐고 간 이식수술 등 분야에선 선진국 초일류 병

    중앙일보

    2002.12.30 15:46

  • [의료계 10대뉴스]위암 억제 유전자 국내서 발견

    '위암억제 유전자에서 자궁경부암 백신까지'. 올해도 첨단의학기술이 돋보인 한 해였다.국내 의학자들 논문이 해외 유수의 학술잡지에 게재됐고 간 이식수술 등 분야에선 선진국 초일류

    중앙일보

    2002.12.30 00:00

  • 肝을 살리자①: 20, 30대 간질환 경보

    인간의 오장육부 가운데서 크기가 가장 큰 간(肝). 간은 '침묵의 장기(臟器)'로 통한다.술·비만·약물·바이러스 등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서도 묵묵히 많은 일(열량 공급·단백질 합

    중앙일보

    2002.12.03 00:00

  • [국민건강 업그레이드] 1. 간을 살리자

    [국민건강 업그레이드] 1. 간을 살리자

    인간의 오장육부 가운데서 크기가 가장 큰 간(肝). 간은 '침묵의 장기(臟器)'로 통한다. 술.비만.약물.바이러스 등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서도 묵묵히 많은 일(열량 공급.단백질 합

    중앙일보

    2002.12.02 14:48

  • 매일 과음하면 간암 위험 높아져

    매일 과음하면 간암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탈리아 브레시아대학 역학-공중보건학 교수 프란체스코 도나토 박사는 미국의 의학전문지 '역학(疫學)'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

    중앙일보

    2002.02.23 10:09

  • 혈우병 환자 A형 간염 집단발병 대응 미비

    선천적으로 피가 응고되지 않아 평생 혈액제제를 주사해야 하는 혈우병 환자들이 A형 간염에 집단적으로 감염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20일 국회 보건복지위 이성재의원(국민회의)과

    중앙일보

    1999.09.21 09:17

  • 폐암환자 급증세-암발생 연령 낮아져

    광견병은 일단 발병하면 거의 1백% 사망해 치명률(致命率)이가장 높은 질환의 하나지만 발생 자체가 학계에 공식보고될 정도로 희귀한 질환. 거꾸로 감기는 한두번 걸려보지 않은 사람이

    중앙일보

    1995.01.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