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세계 물의 날] 서초구 물사랑 절약운동 대상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면적이 가장 넓고 청계산.우면산 등을 배경으로 전체의 61%가 개발제한구역.자연녹지지역으로 지정돼 있는 서초구는 으뜸 환경을 자랑한다. 이같은 자연환경을

    중앙일보

    2001.03.21 19:15

  • 대구 간이화장실 한단계 '점프'

    대구 도심을 가로지르는 신천 둔치 체육공원에 초현대식 간이화장실이 등장했다. '인터넷' 이용 영어학습법 특강더럽고 냄새가 나는 기존의 공중화장실과는 판이하다. 대구시가 최근 수성구

    중앙일보

    2001.01.09 00:00

  • "WOW!!" 지하철이 말을 한다.

    회사원 김씨. 아침. 침대에서 일어나 화장실에 갔다가 옷장에서 옷을 꺼내입고 부엌 식탁에 앉아 간단한 식사를 하지. 준비중에 짬이 나면 거실 소파에 앉아 TV도 잠깐 보고 테이블에

    중앙일보

    2000.09.14 15:32

  • '화장실 문화 바꾸기' 외면하는 동사무소

    주부 崔모(36.서울 구로구 고척2동)씨는 최근 전입신고를 위해 동사무소에 갔다가 낭패를 당했다. 용변이 급한 딸(4)을 데리고 민원실 곁의 화장실로 뛰어갔지만 남자용 소변기와 남

    중앙일보

    2000.05.23 00:00

  • "화장실 바꿔"…동해시민협의회 발족

    동해지역 화장실 문화 개선을 위해 민.관이 발벗고 나섰다. 동해지역 시민단체.업소 대표와 교수.건축사 등 민간인 20명은 28일 '화장실 문화 수준 높이기 시민협의회' 를 발족하고

    중앙일보

    2000.04.29 00:00

  • 서울시 화장실 바꾸기 확산

    서울의 다수 공원이나 음식점 등의 여자화장실에 소변소리를 감추게 해주는 에티켓벨이 새로 설치되고 경로당 화장실도 크게 개선된다. 서울 광진구는 지역내 공공시설에 위치한 화장실 9백

    중앙일보

    2000.03.13 00:00

  • 대전시, 양변기 절수장치 무료 보급

    오는 2004년까지 대전시내 모든 가정의 양변기에 절수장치가 설치된다. 대전시는 10일 올해부터 5년간 총 18억6천여만원을 들여 대전시내 27만2천가구에 절수장치를 무료로 달아주

    중앙일보

    2000.02.12 00:00

  • 제주도도 '화장실 확 바꾸기' 개·보수 나서

    "화장실문화, 관광지가 먼저 바꾼다-. " 제주도가 화장실문화 개혁에 나섰다. 제주도는 1일 관광지 화장실을 관광제주의 가장 중요한 평가척도라고 규정, 올해내 도 전역 관광지 화장

    중앙일보

    2000.02.02 00:00

  • [생활혁명 이끈 20세기 10대 용품]

    20세기초 만해도 냇가의 얼음을 깨고 언 손을 호호 불어가며 빨래하던 아낙들이 세기말인 요즘 빨랫감은 전자동세탁기에 맡기고 따뜻한 거실에서 TV를 켜놓고 또 다른 세상을 즐기고 있

    중앙일보

    1999.12.16 00:00

  • 생활혁명 이끈 20세기 10대 용품

    20세기초 만해도 냇가의 얼음을 깨고 언 손을 호호 불어가며 빨래하던 아낙들이 세기말인 요즘 빨랫감은 전자동세탁기에 맡기고 따뜻한 거실에서 TV를 켜놓고 또 다른 세상을 즐기고 있

    중앙일보

    1999.12.15 20:07

  • 아마추어 발명가 성기정씨, 중기 홈페이지 '아이디어 장터' 최다등록

    바늘, 전기, 그리고 컴퓨터까지…. 인류가 그간 발명해온 것들은 모두 필요 아니면 우연에 의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연구원이자 아마추어 발명가인 성기정(成耆楨

    중앙일보

    1999.12.13 09:07

  • 아마추어 발명가 성기정씨, 중기 홈페이지 '아이디어 장터' 최다등록

    바늘, 전기, 그리고 컴퓨터까지…. 인류가 그간 발명해온 것들은 모두 필요 아니면 우연에 의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연구원이자 아마추어 발명가인 성기정(成耆楨

    중앙일보

    1999.12.13 00:00

  • 아마추어 발명가 성기정씨, 중기 홈페이지 '아이디어 장터' 최다등록

    바늘, 전기, 그리고 컴퓨터까지…. 인류가 그간 발명해온 것들은 모두 필요 아니면 우연에 의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연구원이자 아마추어 발명가인 성기정(成耆楨

    중앙일보

    1999.12.12 20:53

  • [시민의 쓴소리] 양변기 하나없는 휴게소

    얼마전 성남시에 거주하는 생활보호대상 장애인 30여명과 함께 강원도 속초로 여름캠프를 떠났다. 이들 중 대부분은 밖에 나가는 것조차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이다. 게다가 성남에서 속초

    중앙일보

    1999.08.11 00:00

  • 불성실한 서울시 행정편의주의 '분통'

    "평소의 5~6배나 되는 바가지 요금만이라면 이렇게 억울하고 분하지는 않을 겁니다. 민원인에 대한 배려라고는 눈꼽만큼도 없는 서울시 행정에 분노를 느낍니다. " 2개월 마다 10~

    중앙일보

    1999.06.03 00:00

  • [김강룡, 현직 장관집서 금괴 훔쳤을까…]

    고관집 털이 피의자 김강룡 (金江龍.32) 씨가 또 다른 장관 집에서 금괴를 훔쳤다는 주장은 과연 사실일까. 金씨는 지난 17일 인천구치소를 방문한 이재오 (李在五) 의원 등 한나

    중앙일보

    1999.04.20 00:00

  • 재활용 지혜 나눠쓴다…주부통신원 아이디어 공개

    다시 쓰는 생활의 지혜는 현명한 주부에겐 '선택' 이 아닌 '필수' 덕목. 최근 PC통신 주부방 등엔 그런 생활의 지혜를 서로 나누는 대화의 장이 활발하다. 본지 주부통신원들도 '

    중앙일보

    1998.08.20 00:00

  • 절약상품 오래 쓸쑤록 투자비 뺀다

    절약시대를 맞아 최근 절전.절수용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가뜩이나 어려워진 살림탓에 주부들이 물.기름 한방울이라도 아끼는데 부쩍 신경을 쓰기 때문. 하지만 시중에 나와있는 절전.

    중앙일보

    1998.02.18 00:00

  • [안방 구조조정]8.물낭비…물생산 동력 유류비만 연간 1천 4백만달러

    서울 구기동의 김영선주부 (38) 는 지난달부터 화장실변기에 물을 채운 1.5ℓ들이 페트병을 집어넣었다. 화장실을 한번 이용할때마다 무려 13ℓ의 물이 허비된다는 얘기를 듣고 깜짝

    중앙일보

    1998.02.04 00:00

  • [70년대 경제위기 이렇게 이겨냈다]上.위기관리의 핵심은 지도력

    한국은 60년대초 경제개발을 시작한 이래 두차례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었다. 첫번째는 63~64년 외환보유고가 1억달러에도 미치지 못한 외환위기였다. 오일 쇼크로 불리는 73~74년

    중앙일보

    1998.01.06 00:00

  • [IMF시대 이것만은 고치자]11.멀쩡한 집 내부개조

    자영업자 金모 (50) 씨는 지난 봄 서울강북에서 43평형짜리 새아파트에 입주하면서 3천여만원을 들여 내부를 완전히 뜯어고쳤다. 당초 9% 옵션을 선택해 건축비를 기본형보다 5백여

    중앙일보

    1997.12.31 00:00

  • 5. 끝. '똥'을 알면 비극은 없다 (1)

    아웃풋 (糞)에 대해 유별나게 집착하는 나라를 꼽는다면 독일을 제쳐놓을 수 없다. 독일인은 곧잘 결과물에 대한 정밀탐색에 돌입한다. 색상.형태.경도 (묽고 되기).냄새 등등에 대해

    중앙일보

    1997.07.14 00:00

  • 과격한 운동. 약물영향에 혈뇨 나올수 있어

    '흰색 양변기를 질병 조기판독기로 활용하자.' 다소 엉뚱한 발상같지만 소변만큼 육안으로 알기 쉬운 손쉬운 진단방법도 드물다. 한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운동을 게을리했던 P씨(42).

    중앙일보

    1997.05.19 00:00

  • 너무 불결한 民俗村 화장실 개선해야

    지난달 25일 초등학교 1학년 딸아이의 견학을 위해 한국민속촌에 갔다. 그런데 화장실 사용을 하려다 너무 불결해 구역질이 계속 나와집에까지 참고 와야만 했다.그곳은 외국사람도 많았

    중앙일보

    1996.06.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