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멀쩡한 아파트서 생필품 사재기 소동|「대홍수」현장을 보고…취재기자 방담

    -경기도 고양 군 일대를 물바다로 만든 한강 둑 복구공사도 이제 마무리작업이 한창이고 서울의 마지막 침수지역이었던 풍납·성내동의 물도 14일 오후 모두 빠져나가「65년만의 대홍수」

    중앙일보

    1990.09.15 00:00

  • 수방관계자들 할 일 다했나(사설)

    엄청난 재난을 몰고온 이번 수해를 통해 치수및 수방대책의 허점이 무엇인가가 낱낱이 드러났다. 그것이 재난속에서 얻은 유일한 소득이라고 할 만하다. 이번 홍수 빈도가 50년 만의 것

    중앙일보

    1990.09.13 00:00

  • 물난리뒤 수위조절/홍수조절 다목적댐 뭐했나

    ◎“우기 끝난다” 소양ㆍ화천댐 물가둬놔/충주댐도 체전관광 대비 가득 채워 한강이 넘치느냐 마느냐는 북한강 상류의 소양강댐이 그 열쇠를 쥐고 있다고 할만큼 중요하다. 총저수량 29억

    중앙일보

    1990.09.12 00:00

  • 수방구멍 펌프장도 침수/중부 대홍수 피해 줄일 수 없었나

    ◎65년 만의 천재 인재 겹친 셈/준설늑장 하수도 「동맥경화」… 빗물 역류/사당ㆍ방배 배수장 민원얽혀 공사 늦어져 을축년 대홍수이래 두번째를 기록한 65년 만의 이번 홍수를 서울시

    중앙일보

    1990.09.12 00:00

  • 『엄마 내 인형』(분수대)

    『지친 채 졸고 있는 아이들을 하나씩 들쳐 업고 남편과 나는 무작정 걷기 시작했다. 정전으로 칠흑같이 어두운 밤,허리까지 차는 물속에서 길은 어디가 어딘지 분간하기 어려웠다. 자꾸

    중앙일보

    1990.09.12 00:00

  • 한강 74년이래 최고수위/사흘간 연 강우량의 1/3 내려

    한강인도교 수위가 11일 낮12시 10m52㎝를 기록,위험수위(10m50㎝)를 넘어섬으로써 한강유역의 저지대 상습침수지대에 초비상이 걸렸다. 한강수위가 위험수위를 넘어섰다는 것은

    중앙일보

    1990.09.11 00:00

  • 선후평|『비닐우산』현대 문명의 나약함 풍자|『벼농사』자연과 사람의 조화 노래

    생물학자 린네박사의 학설에 따르면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들 가운데 가장 불완전하고 미완성적인 존재가 사람이라는 동물이라고 한다. 먹이를 구한다든가, 적의 공격을 방어할수 있는

    중앙일보

    1989.08.16 00:00

  • 소보원 발간 『어느 회사 제품이 좋은가』|우수 상품 고르는데 도움 준다|가전 3사 냉장고·진공 청소기 "무난"|다리미·보온병은 충격에 약한 게 흠

    요란한 상품광고의 홍수 속에서 어떤 상품을 구입해야 할지 현명한 판단이 서지 않을 때가 많다. 한국 소비자보호원이 이런 소비자들의 구매 편의를 위해 지난 1년간 각종 생활용품의 품

    중앙일보

    1989.04.13 00:00

  • |이규동씨 묘목 독점구입 배경은

    ▲서정화의원(민정)=대기업이나 중소기업들이 노사분규로 어려움을 당 할때 원화 절상을 급속히 진행시킨 이유는 무엇인가. 해외건설업체의 대표적인 부실기업인 경남기업의 인수자로 대우그

    중앙일보

    1988.07.22 00:00

  • 돈의 흐름을 바로잡자

    이헌재 부동산투기억제·물가안정대책등 정부의 강력한 의지표명에도 불구하고 물가 불안심리는 여전하다. 무역흑자와 선거자금으로 많은 돈이 풀렸다는 것, 그것 외에도 「돈의 흐름」이 예사

    중앙일보

    1988.03.19 00:00

  • (3)위치 잘못잡은 댐|금강·남강등은 홍수조절 미흡 치수에관한 연구·투자 너무인색

    치수의 역사가 오래듯이 그 요령이란 상식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다. 댐을쌓아 물을 가두고 제방을 통해 물길을 터주고 주거지역의 내수침수를 막기위해 수문이나 펌프시설을 갖추는 일등이

    중앙일보

    1987.08.04 00:00

  • 소련은 1830년대 제정러시아시대부터 간직해 온 꿈이 하나 있었다. 소비에트대륙을 흘러 북극해로 빠지는 강물을 역류시켜 시베리아의 동토를 옥토로 만들어 보려는 계획이다. 세계지도를

    중앙일보

    1986.10.31 00:00

  • 한강 홍수·가뭄 멋대로 조절 위험

    북한측은 지난21일부터 북한 내 최대규모인 금강산발전소건설을 위한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 발전소의 발전용량이 적어도 80만kw를 웃도는 수준이 될

    중앙일보

    1986.10.30 00:00

  • 강을 함께 쓸 땐「공생」이 상식|공유수로 이용… 국제관례를 알아본다

    강 하나를 두 나라 이상이 공유할 경우, 상류 쪽 국가에서 수리학적으로 영향을 미칠 시설물을 건설할 때에는 이웃 이해당사국과의 협의와 양해를 얻는 것이 국제관례로 확립돼 있다. 위

    중앙일보

    1986.10.30 00:00

  • 공사비 5천4백74억 최대의 수력발전시설

    충주 다목적 댐이 지난78년6월 착공 이후 7년4개월만에 완공돼 17일 현지에서 준공식이 거행됐다. 충주 다목적 댐은 남한강유역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산업기지개발공사가 건설한 댐으로

    중앙일보

    1985.10.17 00:00

  • 수해-공덕록과 참회록|박병석 기자

    물은 상반된 두 개의 얼굴을 가진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자원이다. 물은 부족하면 한해를 가져오고 지나치면 수해를 끼친다. 그래서 예부터 물과 산을 다스리는 것(치산치수)은 국정의

    중앙일보

    1984.09.05 00:00

  • 이번 재난의 교훈

    거의 전국토를 휩쓴 이번의 대수재는 그동안의 국토개발과 이용, 수계 관리와 도시계획등 광범한 국토관리 분야에서 우리의 능력과 현실을 일거에 드러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 현실과 능

    중앙일보

    1984.09.05 00:00

  • 수재의 근본을 다스려라

    엄청난 수재를 당하고나서 그 대책을 근본에서부터 되돌아 점검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수재의 직접 원인이 된 포우를 미리 예지해서 기상예보로써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 것을 탓한다거나

    중앙일보

    1984.09.04 00:00

  • 한계 드러낸 홍수조절 「댐」|한강 홍수통제 이대로 좋은가

    한강홍수통제소의 현행 통제기능만으로는 이번과 같은 엄청난 폭우피해를 줄일수는 없는 것일까. 한강홍수통제소(서울반포본동)는 폭우에 따른 홍수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남한강과 북한강및 본

    중앙일보

    1984.09.03 00:00

  • 수재의 원인을 생각하자

    지난 1일부터 서울·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1백20여명의 인명피해가 나고 16만명의 이재민을 내는 등 수백억원의 재산피해를 본 것은 우리의 국토가 천재지변에 얼마나 허약한 것인

    중앙일보

    1984.09.03 00:00

  • 합천다목적댐 기공

    경남합천 다목적댐 기공식이 전두환대통령을 비롯, 김성배 건설부장관·이희근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등 관계인사와 주민등 4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3일 경남 합천군 룡주면 봉기리 건설현장에

    중앙일보

    1984.04.03 00:00

  • 홍수 조절 기능 거의 없는 한강의 댐들

    장마철에 비만 조금 많이 내렸다하면 한강 잠수교가 잠겨 강 남북 교통 소통에 많은 지장을 주고 있다. 특히 올 장마에는 1주일동안이나 잠겨 잠수교가 개통된 75년이래 가장 오랜 기

    중앙일보

    1981.07.09 00:00

  • (출산홍수)50년대 베이비·붐 영향 가임 여성 부쩍 늘어나

    6·25동란 직후 거세게 몰아쳤던「출사홍수」(출산홍수)가 25년만에 또 다시 밀어닥치고 있다. 50년대 중반이후 5∼6년 동안 해마다 1백만 명 가까이 태어났던 이른바 베이비붐의

    중앙일보

    1981.05.30 00:00

  • 「과학기술 10년」을 조감해보면…

    우리가 살게될 앞으로의 10년은 어떻게 변모되어갈 것인가. 석유에서 오는 「에네지」문제가 세계의 경제발전이나 과학기술 연구분야에 위축을 가져올 수도 있는 반면 「에너지」위기를 해결

    중앙일보

    1980.01.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