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OQ로 플라크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자’ ①

    ‘OQ로 플라크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자’ ①

    입안에는 700여 종의 세균이 살고 있다. 침 한 방울에만 약 10억 마리의 세균이 있다. 입 속 세균은 음식물 찌꺼기와 침에 엉겨 붙어 덩어리를 이루는데 이것이 플라크(치태 또

    중앙일보

    2010.10.18 00:16

  • [헬스코치] 마요네즈도 식중독 예방…‘세균 죽이는’ 항균 식품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요즘 같은 장마철은 식중독균이 자라기에 더없이 좋은 환경이다. 식중독균은 고온다습한 날씨를 좋아한다. 장마철엔 습도가 80%, 기온이 25도를 오르내린다. 이

    중앙일보

    2010.06.17 08:54

  • ‘10개 키워드로 읽는 과학책’ ① 기후

    ‘10개 키워드로 읽는 과학책’ ① 기후

    갈릴레이 망원경 발명 400년, 다윈 탄생 200년. 과학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이 남다른 2009년입니다. 근대 과학혁명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았습니다. 중앙일보와 ‘문지

    중앙일보

    2009.03.24 01:17

  • [시론] 태안 오염과 전문 방제

    모든 국민의 속을 태우고, 졸지에 주민들의 생활터전을 잃게 한 태안 유류 오염 사고가 발생한 지도 벌써 50일이 지났다. 그동안 80만 명이 넘는 자원봉사자를 포함해 모두 150만

    중앙일보

    2008.01.28 20:49

  • [박영국교수의LOVETOOTH] 아직도 혀를 안 닦는 당신

    “혀 좀 내밀어 보세요.” 치과의사도 아닌 내과의사가 왜 혀를 보자는 것일까.  혀의 모양과 색깔 변화는 몸의 건강 상태를 가늠하는 일종의 경보장치다. 특히 혀에 하얗게 끼는 설태

    중앙일보

    2008.01.18 09:44

  • [박영국교수의LOVETOOTH] 아직도 혀를 안 닦는 당신

     “혀 좀 내밀어 보세요.” 치과의사도 아닌 내과의사가 왜 혀를 보자는 것일까.  혀의 모양과 색깔 변화는 몸의 건강 상태를 가늠하는 일종의 경보장치다. 특히 혀에 하얗게 끼는 설

    중앙일보

    2008.01.17 14:40

  • 홍차,구취(口臭) 차단 효과

    홍차가 입냄새(口臭)를 없애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일리노이대학 치과대학의 크리스틴 우 박사는 20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미국미생물학회 연례학술회의에서

    중앙일보

    2003.05.21 13:46

  • 음식물 쓰레기로 플라스틱 만든다

    음식물 쓰레기로 플라스틱 만든다

    먹지 않은 식사가 남은 음식이 아니라 비닐 봉지가 돼 식탁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됐다. 호놀룰루에 있는 하와이 천연 에너지 연구소의 생화학공학자 유지안과 그의 동료들은 음식물 찌꺼

    중앙일보

    2002.12.09 15:05

  • 식약청, 쇼크 근육이완 주사제 사용중단 조치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거제 백병원(정형외과)에서 G제약사의 근육이완 주사제를 투약받은 환자 17명이 집단 쇼크 현상을 일으켰다고 주장함에 따라 문제의 주사제에 대해 한시적으로 사용중단

    중앙일보

    2002.10.05 12:54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44)

    44. 정부의 세균전 대비 알리베크대령은 자신이 미국 워싱턴에 체류할 때 한국에서 국방부의 한 간부가 찾아와 강연차 한국방문을 요청했다고 털어놨다. 물론 북한의 생물무기에 대한 정

    중앙일보

    2000.12.12 00:00

  • 김치속에 담겨있는 건강정보

    김치는 한국인의 식탁에서 한 끼라도 빼놓을 수 없는 부식이며 주식인 밥과 함께 가장 궁합이 잘 맞는 식품이다. ▣ 김치의 유래 김치는 본래 침채(沈菜), 즉 채소를 절인다는 말에서

    중앙일보

    2000.01.26 10:04

  • 강북구, 음식쓰레기 완전분해장치 '먹깨비'개발 시판

    서울 강북구가 쓰레기 분해기 '먹깨비' 를 개발, 대량보급에 나섰다. 음식물쓰레기를 자연 발효시킨뒤 혐기성 미생물을 통해 98%를 메탄가스로 분해하고 나머지는 호기성 미생물로 산화

    중앙일보

    1999.07.07 00:00

  • 高효율 하수 슬러지 처리장치 개발-과기원 황경엽 박사팀

    한달정도 소요되던 하수(下水) 슬러지 분해.처리를 이틀만에 끝낼수 있는 장치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환경연구센터 황경엽(黃京燁)박사팀에 의해 개발됐다. 이 장치는 미생물이 주

    중앙일보

    1996.07.21 00:00

  • 生水유통기간 6개월로-TV광고 금지

    환경부는 24일 오는 5월부터 시판되는 먹는 샘물(생수)의 수질기준을 강화하고 유통기한도 6개월로 제한하며 TV광고를 금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먹는물관리법 시행령및 시행규칙안을

    중앙일보

    1995.01.24 00:00

  • 94환경산업전-고농도 폐수처리공법 선봬 눈길

    「94환경산업전」에 출품된 水처리시스템은 작년보다 진일보한 제품들이 눈에 많이 띄었으며 환경설비 분야중 참여업체도 가장 많았다. 현대엔지니어링.삼성엔지니어링.두산기계등 대기업 외에

    중앙일보

    1994.08.17 00:00

  • 야쿠르트빈병이용 폐수정화시설 개발-민병윤.손성원.石井교수

    화학약품에 의존하지않고 야쿠르트 빈병을 이용한 폐수정화시설이한일 공동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경남대 閔丙允.孫成源교수(생물학과)와 일본 제일공업대 石井교수가 공동

    중앙일보

    1994.02.19 00:00

  • 우리 환경을 살리자(물비상… 이대론 안된다:5·끝)

    ◎60년대식 정수론 발암물질 안걸러져/시설 수입해도 인력없어 무용 수질관리에는 고도의 기술·설비와 함께 전문인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폐수와 하수 및 분뇨처리 시

    중앙일보

    1994.01.23 00:00

  • 부족한 수질원·오염 동시에 해결|이리서 물 재생 작업"한창"

    갈수록 심해지는 수자원부족과 상 수원지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에서는 이른바 「아쿠아 르네상스 90」이라는 획기적 계획을 세워 완성을 위한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물의 재

    중앙일보

    1989.10.11 00:00

  • 이롭기도 하고 해롭기도 한 장내세균|총 4백종, 대부분 대장서 살아

    인간의 장내에는 약 4백종의 각종 세균이 살면서 생리적·병리적으로 인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장내 세균에는 어떤 것이 있고 우리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고려

    중앙일보

    1985.05.10 00:00

  • 볏짚과 왕겨에서 연료를 뽑는다|각국서 열 올리는 「제3국의 에너지」개발

    세계가 다시 석유공포에 휩싸이면서 각 국은 대체 「에너지개발」에 한층 열을 올리고 있다. 기름·원자력·태양「에너지」·액화수소·파력·조력·지열 등의에 앞으로「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중앙일보

    1979.05.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