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사참배 강요

    > 박치덕 목사 (57·예장고신 서울중앙교회) 는 기독교 신앙에 따라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하다가 국민학교 4학년에서 퇴학을 당하고 말았다.『경남 밀양 상남 심상소학교 6학년

    중앙일보

    1982.08.06 00:00

  • 중공, 우리 교포에 첫 왕복여행 허가|만주사는 안부룡씨 부부 중공여권으로 고향 나들이

    『꿈속같이 두달을 지냈습니다. 어느틈에 우리나라가 이렇게 달라졌는지 지금도 꿈속에 있는 것만 같아요』 일제의 압정을 피해 만주로 건너간지 37년만에 중공여권을 갖고 일시귀국한 재만

    중앙일보

    1982.07.21 00:00

  • 제78화 YWCA 60년 김갑순

    이른바 내선일체라는 구호아래 일어상용, 창씨등으로 우리민족 전체를 좀먹어 들어갔다는 것은 앞의 글에서 지적된바대로이지만, 특히 기독교인들·기독교회·기독교기관들을 곤란하게 한 것은

    중앙일보

    1982.07.15 00:00

  • 소의 큰 형 TV화면서 만나 서울의 동생들 "형은 우리소식 모를텐데…"

    40년동안 한국과 소련땅에 헤어져 살던 형제자매들이 브라운관을 통해 극적으로 만났다. 30일 상오 서울여의도KBS에서 재방영해준 TV에서 유상목씨(61· 서울월계동500의31)형제

    중앙일보

    1982.07.01 00:00

  • 재미동포 작가 강준식 씨가 본 「소련 속의 교포」실태(1) 사할린 동포의 제 1거점

    중앙일보사는 재미교포작가 강준식 씨(35)를 소련으로 보내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교포의 실태를 취재했다. 71년 서울대 문리대 불문과를 졸업했으며 신춘 문예소설부문 당선작가이

    중앙일보

    1982.06.26 00:00

  • "자유"내어주고 "궁핍"불러들여-30일은 월남 패망 7주년 한인자치회장 이순흥씨가 말하는 적치 하 6년

    > 나는 1968년부터 1981년까지 13년간 월남에 있었다. 한국군도 참전한 월남전의 와중에서 7년간, 그리고 월남이 월맹군과 베트콩에 의해 공산화된 후 6년간이었다. 전시에 나

    중앙일보

    1982.04.30 00:00

  • 결국 스탈린의 흉계

    해방직후 중국공산당과 모택동이 북한의 지도자후보로 무정을 적극적으로 밀지 않았던 데에는 또하나의 이유가 있었다. 소련이 대독전쟁으로 상당히 곤란에 직면해 있을때 중국공산당지도부와

    중앙일보

    1982.03.29 00:00

  • 박헌영과 양자택일

    여기에는 당시 소련군 평양시위수사령부(코멘단트·「무르진」소령), 부책임자(코멘단트의 보좌관), 소련군대위 김일성도 끼여 있었다. 김일성은 이사업에 둘도 없는 적임자였다. 우선 그는

    중앙일보

    1982.03.29 00:00

  • 병상서 맞는 3·1절|『선구자』작곡 조두남옹

    『일송정 푸른 솔은 늙어늙어 갔어도 한줄기 해난강은 천년두고 흐른다….』 나라를 빼앗긴 겨레의 슬픔과 울분을 노래한 『선구자』의 작곡가 조두남옹(7l·마산시서성동 삼익아파트1동10

    중앙일보

    1982.03.01 00:00

  • 2차대전땐 유럽전선 주름잡아 한국전선 소·북한을 「안방」취급|「TP-스톨작전」주역…「토프트」의 정체

    다음은 한국전때 북한주둔 중공군에 보급될 약품과 의료요원을 실은 노르웨이 화물선을 탈취한 「TP-스톨작전」을 총지휘했던 전설적인 미CIA 스파이 「한스·토프트」의 과거와 그가 한국

    중앙일보

    1982.02.16 00:00

  • 최경자씨 「패션50연」정리

    한국 패션 디자인계의 원로 정연 최경자씨(70)가 패션과 함께 살아온 자신의 50여년 지나온 삶을 글과 화보로 정리한 『최경자 자전연감 패션 50년』이 발간되었다. 지난 10여년간

    중앙일보

    1981.12.08 00:00

  • 재미 동포「피터·현」방행기-본사에 특별기고(9)

    『2차 전쟁이 끝나서 중국이 일본 지배에서 해방됐을 때 만주에 살던 한국인들 중 본국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은 모두 이 심양으로 몰려들었습니다. 당시 이름은 봉천 이었죠. 시내에서도

    중앙일보

    1981.07.25 00:00

  • (3142)|한미 외교 요람기(8)-한약욱|카이로 선언

    카이로 선언은 처음으로「적당한 시기」(in due course)에 한국을 독립시킨다고 약속했다. 그러나「적당한 시기」라는 표현에 대해 이승만 박사이하 재미 한국인들은 착잡한 반응이

    중앙일보

    1981.06.22 00:00

  • 「구 식민지 의식」의 완전불식

    일제 강점기간 36년과 맞먹는「해방 35년을 맞이한다. 그동안 일본은 전전의 일본과 다른 민주일본으로 발전했고 한국 역시 독립된 중진 산업국가로 발돋움했다. 다만 아직도 우리가 국

    중앙일보

    1980.08.15 00:00

  • (1)전전-전 후대가 보는 한일 양국의 상호견해는…

    해방이후 35년이 되어도 한일양국은 아직 응어리가 풀리지 않은 채 「불민한 관계」를 지속해 오고 있다. 가장 가까워야 할 이웃이면서도 가장 먼 나라로 인식하고 있는 두 나라 국민의

    중앙일보

    1980.08.13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제66화 화교 (55)|??광

    대한민국육군 제4863부대 SC(「서울·차이니즈」의 약자)지대-. 한국전때 태극기 밑에서 싸웠던 화교부대의 공식명칭이다. 대원은 2백여명이나 됐다. 화교청년들의 한국전 참전 사실은

    중앙일보

    1979.11.22 00:00

  • 해방 33주·정부수립 30주년

    8·15해방 33주년, 그리고 대한민국 정부수립 30주년의 광복절을 맞는다. 30년 하면 옛 기준으로도 결코 짧지 않은 세월이다. 강산도 변한다는 10년 세월을 세번이나 곱했고,

    중앙일보

    1978.08.14 00:00

  • 건국 30년 특별 시리즈(6)|한국 속의 미국

    60년대 초까지만 해도 길거리에서 외국인을 보면 『저기 미국사람 간다』고 할 만큼 우리의 의식 속에서 미국은 외국의 대명사 같이 통했다. 해방과 함께 밀려든「미국식」과「미국 것」의

    중앙일보

    1978.08.07 00:00

  • 광복의 참뜻을 내일에 펴자

    쉴새없이 전진하는 것이 역사의 움직임이다. 정체하거나 전진의 대열에 끼지 못하는 개체는 용서 없이 물거품이 되어 소멸하고 마는 것이다. 자연계에서 적자생존의 도태현상으로 냉엄한 진

    중앙일보

    1977.08.15 00:00

  • (1625)해외유학시절

    서울 돈암동은 차차 번창하고 전차도 「버스」도 많이 다니게되었다. 학교도 점차 자리를잡아갔다. 그러나 국내정세는 날로 어두워 졌다. 일제의 식민지 정책은 점점 더 압력을 가하여왔다

    중앙일보

    1976.05.01 00:00

  • (1612)제50화 외국유학시절(속)(8)순종 추모식

    내가 2학년에 진급하여 학기초를 맞이한 1926년 4월25일, 순종황제께서 승하하셨다는 놀라운 비보가 전해왔다. 그렇잖아도 물설고 낮선 이국 땅에 와서, 그것도 우리를 식민지로 삼

    중앙일보

    1976.04.15 00:00

  • 일언론, 상세히보도

    【동경4일합동】재일본거류민단이 추진해온 재일조총련계동포 구정모국방문단 사업의 성과에 대하여 일본의 언론기관등의 반응은 날이 갈수록 커져가고있다. NHK다음가는 일본제2의 TBS-T

    중앙일보

    1976.02.05 00:00

  • (1368) 제46화 세관야사(15)

    미군정 때부터 6·25가 나기 전까지는 밀수 극성기였다. 대규모 조직적인 밀수로 치부한 사람도 많았고, 이때는 밀수범들이 붙잡혀도 적당히 처리되던 때였다고 할 수 있다. 군정 때

    중앙일보

    1975.06.20 00:00

  • (1364) 제46화 세관야사(11)

    8·15해방이 되자 부산항은 패전으로 출국하는 일본인들과 일제에 강제징용 당했다가 귀국하는 한국인들로 뒤범벅돼 한때 소란스러웠다. 1945년9월l6일 미군의 부산진주를 전후해서부

    중앙일보

    1975.06.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