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로동·력사…북 표기법 만든 언어 천재

    로동·력사…북 표기법 만든 언어 천재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 이타가키 류타 지음 고영진·임경화 옮김 푸른역사   로동-노동, 력사-역사, 녀자-여자, 론리-논리…. 앞은 두음법칙을 적용

    중앙선데이

    2024.02.17 00:01

  • 로동·력사·녀자....이런 표기법 만든 경성제대 출신 언어 천재[BOOK]

    로동·력사·녀자....이런 표기법 만든 경성제대 출신 언어 천재[BOOK]

      책표지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  이타가키 류타 지음 고영진·임경화 옮김 푸른역사       로동-노동, 력사-역사, 녀자-여자, 론리-논리… 앞은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은

    중앙일보

    2024.02.16 14:00

  • [내 생각은…] ‘한글공정’과 휴대전화 자판

    [내 생각은…] ‘한글공정’과 휴대전화 자판

    조석환국가한글자판표준위원회 위원장 중국조선어정보학회가 자국 내 중국동포가 사용할 ‘휴대전화 자판배열 표준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는 소식이 지난해 10월 국내에 전해지면서 시끄러웠

    중앙일보

    2011.01.15 00:04

  • IT 코리아 역사 바뀌나

    IT 코리아 역사 바뀌나

    전기뇌 장착 '한글 모아쓰기 텔레타이프'개발 뉴스를 다룬 1958년 12월 1일자 신문 기사.한국에서 개발한 첫 컴퓨터는 어떤 것이고, 누가 개발했을까. 최근 한양대가 1962년

    중앙일보

    2007.06.01 05:07

  • [한글날특별기고] 디지털 시대에 더 빛나는 한글

    [한글날특별기고] 디지털 시대에 더 빛나는 한글

    고창수 교수.한성대학교 한국어문학부 21세기 지식 문화 사회의 핵심 역량은 디지털 미디어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다. 디지털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는 가운데, 삶의 질

    중앙일보

    2006.10.08 20:38

  • '선사 유물과 유적/탑'

    한국의 내로라하는 고고학자.미술사학자가 한데 모였다. 이건무 국립중앙박물관장, 강우방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교수 등은 우리 미술사 연구에 한 획을 그었으며, 지금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중앙일보

    2003.07.11 16:56

  • 암호같은 법조문 풀어쓰기

    판.검사의 판결문이나 공소장을 점잖게 꾸짖는 책이 나왔다. 간단 명료해야 할 법률 문장이 너무 어렵고 모호하다고 지적하는 장하늘(본명 장재성.73)씨의 '법률문장, 이렇게 쓰라'(

    중앙일보

    2003.07.09 17:14

  • 저승서 열린 임란 전범 재판 '평(平)'

    단 한글자로 된 책 제목이 알쏭달쏭하다. 임진왜란에 관한 역사소설이니 전쟁 말고 평화를 외치자는 건가 싶기도 할 것이다. 1권 1백31쪽쯤에서 무릎을 탁 치게 된다. 조선왕조 실록

    중앙일보

    2001.07.21 08:26

  • 일본이 저지른 만행 비판한 '평(平)' 출간

    단 한글자로 된 책 제목이 알쏭달쏭하다. 임진왜란에 관한 역사소설이니 전쟁 말고 평화를 외치자는 건가 싶기도 할 것이다. 1권 1백31쪽쯤에서 무릎을 탁 치게 된다. 조선왕조 실록

    중앙일보

    2001.07.21 00:00

  • [사설]불쑥 내놓은 한자병용안

    문화관광부가 9일 발표한 한자병용 (竝用) 방안을 놓고 벌써부터 논전 (論戰) 이 뜨겁다. 한자병용이 바로 국한혼용 (混用) 이 아닌데도 마치 정해진 코스인 양 한글전용 대 (對)

    중앙일보

    1999.02.11 00:00

  • 중앙일보 전면 가로쓰기 앞으로 13일

    1945년 조국 광복과 함께 조선어학회가 최초의 한글 전용 가로쓰기 교과서 『한글 첫 걸음』을 펴냈다.일제 치하에서 빼앗겼던 한글을 새로 보급하기 위해 서둘러 만들어진 이 임시 국

    중앙일보

    1995.09.26 00:00

  • 조선중기 대하소설 蘇賢聖錄 玉樓夢 우리말로 쉽게 다시쓴다

    조선시대 중기의 대하소설이 현대인의 감각에 맞게 쉬운 한글로옮겨지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18세기 작품으로 전해지는 작자 미상의『蘇賢聖錄』과『玉樓夢』이 현재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중앙일보

    1994.05.12 00:00

  • 조선왕조실록 연내 완간|국역 26년만에…모두 4백13책

    『조선왕조실록』이 국역을 시작한 지 26년만에 완간 된다. 민족문화추진위원회(회장 이원순)는『광해군 일기』11책,『영조실록』6책,『정조실록』22책,『순조실록』9책 등 아직 남아 있

    중앙일보

    1993.01.21 00:00

  • 한글학회(이사장 허웅)는 30일 오후2시 한글학회 강당에서 창립 84돌 기념 연구발표대회를 갖는다. 이날 발표회의 주제와 발표자는 다음과 같다. ▲언어의 초기호적 성격에 대하여=

    중앙일보

    1992.08.26 00:00

  • 최현배=1970년 사망. 한글학자·호는 외솔·1894년생. 주시경의 조선어 강습원, 교토 제국대학 교육학부졸업. 연희·이화여자전문 교수역임. 조선어학회 창립, 한글맞춤법 통일안 제

    중앙일보

    1992.03.23 00:00

  • 사회·교양

    □…KBS 제1TV『한글날 기획』(9일 밤7시45분)-「글자는 무기-한글산업」.정보화시대에 보다 쉽고 예쁘게, 그리고 신속하면서도 경제적으로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 어떤 여건이 조성

    중앙일보

    1987.10.09 00:00

  • 『세종학연구』 펴내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 이관구) 가학술논문집 『세종학연구』 제1집을 펴냈다. 손보기 교수(연세대)의 『조선 전기의 왕권과 언관』 등 4편의 논문이 실러 있다.1백68촉·비매품

    중앙일보

    1986.10.29 00:00

  • (4176)-제81화 30년대의 문화계(109)

    최남선은 일본에서 귀국해 다시 l913년 9윌부터 새 『아이들 보이』를 발간하였다. 이 잡지는 『소년』보다 등급을 낮추어 소년·소녀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해 만든 잡지였

    중앙일보

    1984.11.26 00:00

  • 2벌식에「키」30개 새 한글타자기 개발

    자판이 30개뿐인 한글·영문 2별식 타자기가 한글날을 맞아 첫 선을 보였다. 이 타자기는 고대화학과교수 최동식 박사(고 최현배 박사 장손)와 KBS기술부차장 김광성씨「팀」에 의해

    중앙일보

    1980.10.08 00:00

  • 컴퓨터정보 한글·한자와 본격추진

    한국과학기술정보 「센터」는 우리말의 「컴퓨터」를 위한 기초작업인 한글·영자정보처리 「시스팀」Ⅱ(KIPS-3)를 개발하고 좀더 진보된 KIPS-3에 도전하고 있다. 「컴퓨터」 정보의

    중앙일보

    1979.08.09 00:00

  • 화약냄새짙은 전투적언어로 일관

    「온 사회를 붉은 사상으로 일색화」하려는 북괴의 획책은 언어부문에서도 예외없이 나타났다. 아니 북괴는 언어정책을 통해 평화를 사랑하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을 적개심 불타는 호전적 사

    중앙일보

    1975.07.23 00:00

  • 주시경 선생 60주기

    27일은 한힌샘 주시경 선생이 38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지 60돌이 되는 날. 우리말과 글의 과학적 연구의 개척자며 청년교육 한글운동의 선구자인 선생의 60주기를 맞아 민

    중앙일보

    1974.07.29 00:00

  • 한글 모아쓰기 인쇄 전신기 개발

    「텔렉스」 단말기와 일반 통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한글 모아쓰기 인쇄 전신기가 송계범씨 (52·전 전남대 교수)에 의해 개발됐다. 송씨가 25년의 연구 끝에 완성한 NSP

    중앙일보

    1973.10.09 00:00

  • 제1회 한국출판학회상을 타개된 최정호씨

    출판의 기본이 되는 활자개량에 평생을 바친 한글인쇄자형 설계가 최정호씨 (56)가 제1회 한국출판학회상을 타게됐다. 아름다운 자체로 독서에 즐거움을 제공해 왔지만 아직 일반에 알려

    중앙일보

    1972.10.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