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박 대통령 어록

    ▲우리 세대의 고귀한 희생으로 민족 중흥의 혁명 과업을 기어코 완수하고 내일의 영광된 조국을 건설할 이 국민 혁명의 대열은 여러분들에게 다시는 혁명이라는 고된 시련을 되풀이하지

    중앙일보

    1973.05.16 00:00

  • (453)|휴전 회담 (후반부) (5)|이 대통령의 항거 (2)

    이 대통령은 1953년4월19일에 이어 다시 판문점 본 회담 재개 2일전인 4월24일에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양유찬 주미 대사를 시켜 중공군의 북한 잔류 허용을 전제로 한 휴전

    중앙일보

    1973.05.04 00:00

  • (447)전시의 문화인들(12)

    91) 연예인들이 전투중인 일선장병이나 후방부대를 위문한 것은 물론 전쟁기간이 가장 활발했으나 군과 인연을 맺은 것은 6·25전인 48년께부터 였다. 그것은 군 정훈국 관계자들이

    중앙일보

    1973.04.18 00:00

  • 전시의 문화인들 51년 창단,호양까지 종군

    한국류단은 49년10월 경복궁 미술관에서 제1회 대한민국 종합 미술전시회(국전)를 열고 제2회 전시회를 준비하다가 6·25를 당했지만 기가들은 다른 문인들과 마찬가지로 활발한 종군

    중앙일보

    1973.04.11 00:00

  • (440)|전시의 문화인들(5)|창공 구락부(2)|작품 통해 공군정훈 업무 수행도

    육·해·공군에 각각 별개의 작가 단이 조직됐지만 세 단체 사이의 협조는 잘 이루어졌고 때로는 공동으로 행사를 마련하기도 했다. 예를 들면 문인극 『고향 사람들』에서는 주연을 양쪽에

    중앙일보

    1973.04.02 00:00

  • 월남은 어디로|특파원이 마지막 본 진통의 현장|평화의 월남화

    【신상갑 전 주월 특파원】휴전 2개월이 지나 미군을 비롯한 모든 우방들이 철수함으로써 월남은 실로 1백여년만에 외국군의 개입에서 벗어났다. 월남문제의 월남화-그 과정은 이미 시작되

    중앙일보

    1973.03.31 00:00

  • (714)내가아는 박헌영

    세칭 조선공산당사건의 두번째 공판은 l927년9월15일에 열렸다. 14일에 억수로 퍼붓던비가 밤11시쯤 멎기시작하자 법원에는 방청권을 얻으려는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상오0시

    중앙일보

    1973.03.29 00:00

  • (429)⑮|의무(1)

    6·25전쟁 3년 동안에 각 육군병원으로 후송된 부상자와 그 밖의 환자는 모두 70만 9천 9백 75명이나 됐다. 이는 월 평균 1만 8천 6백여 명 꼴이며 연도별로는 50년을 제

    중앙일보

    1973.02.26 00:00

  • 『한국명인초상대감』펴낸|이강철씨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군사박물관의 기틀을 잡아 놓은 이강철 육사박물관장이 방대한『한국명인초상대감』을 발간하게 되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현역 육군 중령인 이 관장은 지난 12년 간

    중앙일보

    1973.02.13 00:00

  • (2)확 전의 불길

    【로스앤젤레스·타임스=본사특약】미국과 월남이 단 하나의 공식조약을 체결한 것은 「트루먼」집권 시였다. 이것은 한국전의 영향으로「아시아」 일대의 방위 망을 재정비할 때 체결된 조약

    중앙일보

    1973.01.19 00:00

  • (395)피어린 산과 언덕(19)

    (1) 51년 하반부터 적의 진지 요한화와 휴전회담 진행을 위한 「유엔」군의 정치적 배려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된 고지쟁탈전은 53년 중공군의 7월 대공세로 그 막을 내리고 3년 동안

    중앙일보

    1972.11.18 00:00

  • (376)「스탈린」의 죽음 ⑩|「크렘린」의 낙조

    1964년 10월13일, 이날 「모스크바」는 온통 축제기분으로 들떠있었다. 57년10월4일 ICBM 인공위성을 세계 최초로 지구궤도에 올려놓은 소련은 7년만에 다시 3인승 인공위성

    중앙일보

    1972.09.29 00:00

  • (372)|스탈린의 죽음 (6)|소련과 6·25 (3)

    「스탈린」은 처음에는 북한 공산군에 장비만 제공해줌으로써 6·25를 통해 한반도 전체의 적화를 기도했다. 소련은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소망이기도 한 이런 계획으로 피 한 방울 흘리지

    중앙일보

    1972.09.16 00:00

  • 시산혈하…쾅트리 공방|ABC한국기자의 생환기

    【사이공=신상갑 특파원】월남전의 초점은 이제 3개월 넘어 월맹군이 정령하고 있는 북부「쾅트리」성 탈환작전에 쏠리고 있다. 여섯 번이나 월남군은 이 실지를 회복하기 위한 작전을 전개

    중앙일보

    1972.07.25 00:00

  • (3)월남「스케치」2주5일

    「디안」서 돌아와「미라마·호텔」에서 하룻밤 도 묵게된 화가 단은 일제히 군복으로 갈아입었다. 그러고 보니 배가 좀 나오고 뚱뚱한 분들은 흡사 장군으로 착각할 정도였다. 군용기로「나

    중앙일보

    1972.07.18 00:00

  • (348)|유격전(17)|백호부대(1)

    8군사령관 밴플리트 대장이 유엔군 총사령부에 보낸 작전보고에서 『백령도의 동키부대는 현재 미정친군 1개 사단에 맞먹는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고 지적한 바와 같이 서해안 유격부대들의

    중앙일보

    1972.07.10 00:00

  • 외국어대 여대생 1일 여군 입소

    한국외국어대학 명예 ROTC 여대생 30명이 7일 상오 9시 여군훈련소에 1일 입소했다. 군복을 입은 이들은 하룻동안 제식훈련 등 군사훈련을 받고 여군훈련소를 견학한다.

    중앙일보

    1972.07.07 00:00

  • 남·북 공동성명 산파역들의 프로필

    최고회의 공보실장, 청와대 비서실장, 중앙정보부장으로 박정희 대통령을 모시기 11년. 그는 항상 그 직함 이상의 비중을 가고 있었다. 치밀한 두뇌를 가진 그는 박대통령의 뜻을 헤아

    중앙일보

    1972.07.04 00:00

  • (339)-(8)

    (8) 1951년 9월 19일 56명의 대원으로 별도 편성된 Y부대의 해상대는 소정의 훈련을 끝내고 52년 초부터 본격적인 작전을 전개했다. 해상대는 단기작전으로 해안선 일대와 적

    중앙일보

    1972.06.19 00:00

  • (325)|6·25 21주…3천여의 증인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아이크 집권과 내한(1)|등장의 배경(1)

    1943년9월5일, 구주연합군 사령관 드와이트·아이젠하워 원수는 UPI통신(주=UPI의 전신)의 바질·핑크리 기자로부터 놀날만한 이야기를 들었다. 종군 특파원인 핑크리 기자는 지중

    중앙일보

    1972.05.12 00:00

  • 『이스라엘』여군들|전숙희

    지난3윌「이스라엘」의「예루살렘」에 도착했을 때 내 눈에 가장 인상적으로 느껴진 것은 거리를 오고 가는 많은 여군들의 모습이었다. 「카키」색「잠바」에 같은 색 모자를 비스듬히 머리

    중앙일보

    1972.04.15 00:00

  • (369)(11)이서구

    「훔·바」라는게 있다. 요즘은 크나큰 저택에 반드시 있는 것으로 돼있다. 술상을 차려 내오라느니…안주가 더 있어야 하느니…부엌에다가 데고 소리를 치던 시대는 이미 지나가고 숫제

    중앙일보

    1972.01.29 00:00

  • (282)적의 춘계공세(11)

    (8) 우리 나라의 참 모습을 널리 해외에 알리는데 있어 백명의 대사보다 더 많은 몫을 했다는「리를·에인절즈」는 기실은 지금으로부터 20년 전 현리전투에서 탄생했다. 전쟁에서 몇

    중앙일보

    1972.01.26 00:00

  • 광복군 관계서류 등 발견

    서울시는 13일 밤 일제 때 마련되어 시청본관4층 북쪽에 놓여있는 금고를 20여년만에 열어본 결과 1946년의 한국잡지 및 해방 전 광복군관계서류, 고 김구 선생 친필, 탄약 등

    중앙일보

    1972.01.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