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최준호의 사이언스&] 갈변 안되는 감자 개발했다는데, 먹을 수 있는 날 올까

    [최준호의 사이언스&] 갈변 안되는 감자 개발했다는데, 먹을 수 있는 날 올까

    최준호 과학&미래 전문기자·논설위원 ‘독일의 식물유전학 연구기관인 IPK 라이프니츠 연구소가 이끄는 연구팀이 카스나인 유전자 가위를 사용해 겨울보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주요 바이러

    중앙일보

    2022.11.22 00:12

  • 유전자가위 혁명 시작했는데, 연구자·기업 손발 묶은 K-규제

    유전자가위 혁명 시작했는데, 연구자·기업 손발 묶은 K-규제

    지난 5월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레스의 의회 앞에서 환경단체 행동가들이 몬산토 등 GMO를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독일의

    중앙일보

    2022.11.21 15:54

  • 세종대 유망학과, 생명시스템학부 정시 모집

    세종대 유망학과, 생명시스템학부 정시 모집

    생명시스템학부 교수와 학생들 모습. 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 생명시스템학부가 2020학년도 정시 모집에서 유망학과로 주목 받고 있다.     생명시스템학부는 21세기 생명과학 및

    중앙일보

    2019.12.24 14:27

  • 질병 조기진단에 신약까지…‘유전체 빅데이터 시대’ 열릴까

    질병 조기진단에 신약까지…‘유전체 빅데이터 시대’ 열릴까

    울산과학기술원(UNIST) 게놈연구소에서 한 연구원이 울산 시민 유전체 분석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사진 UNIST] ‘50대인 A씨는 1년에 한 번 받는 건강검진 도중 폐

    중앙일보

    2019.07.11 17:53

  • [스페셜 칼럼D]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혁명, 위기인가 기회인가

    [스페셜 칼럼D]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혁명, 위기인가 기회인가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속 ‘오, 포드!’, ‘템페스트’영국의 올더스 헉슬리(A. Huxley)는 1932년에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를 발표했다. 아직도

    중앙일보

    2016.09.21 14:39

  • [김명자의 과학 오디세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혁명, 위기인가 기회인가

    [김명자의 과학 오디세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혁명, 위기인가 기회인가

    김명자전 환경부 장관한국과총 차기 회장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속 ‘오, 포드!’, ‘템페스트’영국의 올더스 헉슬리(A. Huxley)는 1932년에 ‘멋진 신세계’(Brave N

    중앙일보

    2016.07.29 00:27

  • 내 평생 걸릴 병 검사, 100만원이면 가능…BT 빅뱅 시대 열린다

    내 평생 걸릴 병 검사, 100만원이면 가능…BT 빅뱅 시대 열린다

    지난 8일 경기도 화성에 있는 한미약품 연구센터에서 한 연구원이 현미경으로 세포 생물을 분석하고 있다. [사진 박종근 기자]지난해 12월 6일(현지시간) 91세의 지미 카터 전 미

    중앙일보

    2016.01.15 02:27

  • [궁금한 화요일] 세포공장 만들어 레고처럼 DNA 조립 … 생명을 창조하다

    [궁금한 화요일] 세포공장 만들어 레고처럼 DNA 조립 … 생명을 창조하다

    이달 초 토성의 위성(달) 엔셀라두스가 세계적 화제가 됐다. 이 작은 별 지하에 바다가 있고 그곳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지 모른다는 소식 때문이었다. <중앙일보 4월 4일자 2면>

    중앙일보

    2014.04.22 00:34

  • 단백질 추적 → 암세포만 정확히 타격 → 성장·증식 막는다

    단백질 추적 → 암세포만 정확히 타격 → 성장·증식 막는다

    서울아산병원 유전체맞춤암치료센터 연구진이 암환자에게 적절한 표적항암제를 찾는데 필요한 유전체 검체를 선정하고 있다. [사진 서울아산병원] 이학수(67·서울 광진구)씨는 10여 년

    중앙일보

    2013.05.20 01:11

  • [브리핑] 생명공학연, 항암물질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김환묵 박사팀과 의약유전체연구센터 원미선 박사팀이 부작용은 적고 효과는 우수한 새로운 항암물질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항암물질은 암세

    중앙일보

    2006.08.31 04:40

  • [사이언스브리핑] 과학기술부 外

    [사이언스브리핑] 과학기술부 外

    ◆ 과학기술부는 올해부터 국가연구개발(R&D) 사업의 조사분석 대상을 국방사업과 인문사회계 연구사업 등으로 대폭 확대해 본격적인 효율성 분석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22일 말했다

    중앙일보

    2006.02.23 21:13

  • [인사] 국무총리비서실 外

    ◇국무총리비서실▶정무비서관실 이상복▶세종연구소 파견 신관철 ◇교육인적자원부▶중앙공무원교육원 이문희▶국방대 김동옥▶세종연구소 이발 ◇통일부▶교류협력국장 박흥렬▶경수로기획단 파견 조명

    중앙일보

    2004.02.03 18:06

  • [사이언스 브리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外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핵자기공명분광(NMR) 분야의 획기적 기술 및 이론 개발로 1991년 노벨 화학상을 단독 수상한 리하르트 R 에른스트(70.스위스) 스위스연방공과대 교수를

    중앙일보

    2003.11.19 15:58

  • [대덕기업탐방]바이오알앤즈"M&A로 시장개척"

    지난 3월 14일 오전 11시 대덕밸리 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벤처센터내 바이오알앤즈(대표 조성복 www.biornds.co.kr) 사무실. 세계적인 초대규모 다국적 기업 B사 한국지

    중앙일보

    2001.06.21 09:41

  • 제약산업 빅뱅…바이오벤처서 진검승부

    2001년 2월 인간 지놈 지도가 완성됨에 따라 바이오 산업에 새로운 전기가 열렸다. 80년대의 생명공학이라면 대장균에 필요한 유전자를 도입해 인슐린 성장 호르몬 적혈구 증식인자(

    중앙일보

    2001.03.13 14:11

  • [커버스토리] 바이오기업, DNA칩·신물질등 개발 도전

    지난 15일 포항공대 브릭연구센터. 삼성SDS 이경배 소장과 브릭연구센터 남홍길 교수가 상기된 표정으로 공동연구 협약서에 서명했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DNA칩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중앙일보

    2000.06.28 00:00

  • [커버스토리] 바이오기업, DNA칩·신물질등 개발 도전

    지난 15일 포항공대 브릭연구센터. 삼성SDS 이경배 소장과 브릭연구센터 남홍길 교수가 상기된 표정으로 공동연구 협약서에 서명했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DNA칩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중앙일보

    2000.06.27 18:20

  • [커버스토리] 바이오기업, DNA칩·신물질등 개발 도전

    지난 15일 포항공대 브릭연구센터. 삼성SDS 이경배 소장과 브릭연구센터 남홍길 교수가 상기된 표정으로 공동연구 협약서에 서명했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DNA칩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중앙일보

    2000.06.27 18:20

  • 우리도 지놈 산업화 불당겼다

    지난 15일 포항공대 브릭연구센터. 삼성SDS 이경배 소장과 브릭연구센터 남홍길 교수가 상기된 표정으로 공동연구 협약서에 서명했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DNA칩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중앙일보

    2000.06.27 18:06

  • 우리도 지놈 산업화 불당겼다

    지난 15일 포항공대 브릭연구센터. 삼성SDS 이경배 소장과 브릭연구센터 남홍길 교수가 상기된 표정으로 공동연구 협약서에 서명했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DNA칩 개발을 위한 알고리즘

    중앙일보

    2000.06.27 18:06

  • 우리는 지금 움트는 바이오 벤처

    ´IT(정보통신기술) 시대 다음은 BT(바이오 기술) 시대´ 오는 6월 초 게놈프로젝트 완료 발표를 앞두고 가장 고무되고 있는 곳이 바이오 산업현장이다. 그동안 실험실에서 기초연구

    중앙일보

    2000.04.27 09:38

  • 우리는 지금...움트는 바이오 벤처

    ''IT(정보통신기술) 시대 다음은 BT(바이오 기술) 시대'' 오는 6월 초 게놈프로젝트 완료 발표를 앞두고 가장 고무되고 있는 곳이 바이오 산업현장이다. 그동안 실험실에서 기초

    중앙일보

    2000.04.27 09:11

  • [게놈혁명…제4의 물결] 우리는 지금

    'IT(정보통신기술)시대 다음은 BT(바이오 기술)시대' 오는 6월 초 게놈프로젝트 완료 발표를 앞두고 가장 고무되고 있는 곳이 바이오 산업현장이다. 그동안 실험실에서 기초연구에만

    중앙일보

    2000.04.27 00:00

  • [게놈혁명…제4의 물결] 우리는 지금

    'IT(정보통신기술)시대 다음은 BT(바이오 기술)시대' 오는 6월 초 게놈프로젝트 완료 발표를 앞두고 가장 고무되고 있는 곳이 바이오 산업현장이다. 그동안 실험실에서 기초연구에만

    중앙일보

    2000.04.26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