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민방위 훈련 실시

    제89차 민방의 날 훈련이16일 하오1시40분 훈련 경계경보 없이 공습경보가 발령돼 바로 실시됐다. 특히 이날 훈련에서는 해수욕장· 「풀」등 피서객이 많이 몰리는 유원지와 풍수해

    중앙일보

    1979.07.16 00:00

  • 수해 보험제

    『불 끝은 있어도 물 끝은 없다』는 속담은 화재보다 홍수 등 수해에서 오는 피해가 훨씬 혹심하다는 뜻이다. 또 이 말은 오랜 세월 이 땅의 사람들이 얼마나 물난리에 시달려 왔는가를

    중앙일보

    1976.08.16 00:00

  • 장마철과 수방

    어느덧 장마철에 접어들었다. 충청·경기지방은 계속된 심한 가뭄으로 아직도 한해 대책 비상 조치령이 해제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이미 전국이 장마 권내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계절풍지대

    중앙일보

    1976.06.23 00:00

  • 민방위법안 전문

    제1장 총칙 제1조(목적)이 법은 적의 침공이나 전국 또는 일부지방의 안녕 질서를 위태롭게 할 재난으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민방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과 민방

    중앙일보

    1975.06.21 00:00

  • 위험건물 강제로 철거

    서울시경은 10일 장마철을 맞아 위험건물을 철거 또는 개·보수치 않을 때는 관계기관에 통보, 해당건물의 사용금지·강제철거 등 행정조치를 하도록 하고 침수 예상지 1백19개소에 대해

    중앙일보

    1974.07.10 00:00

  • 도서 지역 각종 자원 개발

    공화당은 낙후된 도서 지역을 개발하기 위한 「도서 개발 촉진 법안」을 오는 9월 정기 국회에 제출, 정부 예산을 집중 투자하여 7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도서 개발 사업을 벌이게

    중앙일보

    1974.07.03 00:00

  • 한라산 등반객

    【제주】5일 상오부터 전 공무원이 비상근무에 들어갔다. 경찰은 4일 상오9시 한라산에 등반중인 3백20여명의 등산객에 대한 하산지시를 방송하고있고 시·군은 위험 하천주변의 주민에

    중앙일보

    1971.08.05 00:00

  • 장흥에 폭우 2백 채 침수

    【장흥】전남 서남해안 일대에 18일 밤부터 18일 상오11시 현재 평균 1백mm이상의 폭우가 내려 가옥 2백75채가 떠내려가거나 침수돼 5백여 이재민을 냈다. 전남 풍수해 대책본부

    중앙일보

    1971.06.18 00:00

  • 경기·충남 수해지역 14억 투입 구호작업

    국무회의는 10일 하오 경기·충남일부의 풍수해 복구비로 14억8백3l만9천 원(물량 포함) 을 투입, 6만5천2백만 명의 이재민들에 대한 각종 구호작업을 펴기로 했다. 수해지역 주

    중앙일보

    1970.11.11 00:00

  • 장마철의 연례 풍수해, 그 대책을 살펴보면

    해마다 여름철이면 연중행사처럼 치르는 풍수해는 올해도 이미 들이닥쳤다. 지난 15일 새벽부터 몰아친 강풍과 폭우로 8일까지 1명이 죽고 2명이 부상당하는 인명피해와 4백2동의 건물

    중앙일보

    1970.06.19 00:00

  • 섬진강유역 대피

    경남과 전남·북을 잇는 섬진강 수위가 위험수위에 육박하자 섬진강 「댐」수문을 여는 한편 유역주민1천여가구는 7일 정오현재 긴급대피중이다. 6일밤부터 7일상오 10시현재 이지역에 쏟

    중앙일보

    1969.08.07 00:00

  • 섬진강유역 대피

    경남과 전남·북을 잇는 섬진강 수위가 위험수위에 육박하자 섬진강「댐」수문을 여는 한편 유역주민 1천여가구는 7일정오 현재 긴급대피 중이다. 6일 밤부터 7일 상오 10시 현재 이

    중앙일보

    1969.08.06 00:00

  • 수해

    지난30일부터31일까지 서울을 비롯한중부와 영동지방을 강타한 집중폭우는 곳곳에서 많은 참사를 빚어냈다. 30일 강원도화천군에서는 산사태로 55명이 참사한 사건이 발생했으며 같은날

    중앙일보

    1969.08.01 00:00

  • 설해지역 농어민에 양곡긴급방출 지시

    【강릉】정일권국무충리는 18일 「헬리콥터」편으로 동해안지방의 대간첩경비상황과 설해현황을 시찰했다. 정총리는 강릉시청에서 엄병길 강원도지사로부터 지난해 풍수해복구상황과 올겨울 설해대

    중앙일보

    1969.03.18 00:00

  • 영동 재해민의 구호대책

    70년래의 흑심한 가뭄으로 미증유의 타격을 입은 호남지방에 이어 이번에는 뜻하지 앓은 풍수해와 해일로 인하여 막심한 피해를 입은 영동지방의 긴급 복구 구호비로 정부는 11억원을 방

    중앙일보

    1968.10.30 00:00

  • 수해원인의 분석과 그 대책

    지난 15일부터 중부 이북의 서울·강원·충북지방 일부를 엄습한 호우의 피해는 날이 갈수록 늘어날 기세에 있다. 해마다 거듭되어온 수해의 원인에 대해서 뒤늦게 나마 서울시당국은 부랴

    중앙일보

    1966.07.19 00:00

  • 내동댕이 친 재민들

    각종 건설공사에 「불도저」식 박차를 가하고 있는 서울시 도로확장공사에 따른 판잣집 철거민과 남산화재민, 숭인동 화재민 등 1만8쳔여가구의 철거민들을 영구 정착시키지 못하고 하천부지

    중앙일보

    1966.06.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