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통일의 새지평 7·7선언이후(5)북한, 인적교류 기본적으로 거부

    북한은 11일 우리측의 일반적 예상대로 노태우대통령의 7·7선언을 거부해 남북간의 「거리」가 얼마나 멀고 그 통합과정이 얼마나 험난한 과제인가를 새삼 실감케 하고 있다. 북한은 조

    중앙일보

    1988.07.12 00:00

  • 남북한 문화교류 어떻게 해야하나|판문점서 만나 「무이념의 마당」펼치자

    남북예술공연단이 서로 오고 갈 즈음인 85년9월 나는 제21차 국제음악회의(IMC) 에 참가하기 위해 동독 깊숙이 자리한 문화적 옛도시 드레스덴에 갔었다. 동·서 베를린의 명색뿐인

    중앙일보

    1988.07.11 00:00

  • 남북대화 주요일지

    ▲70. 8. 15 박정희대통령,「평화통일구상」선언 ▲71. 8. 12 최두선한적총재, 이산가족찾기위한 남북적십자회담 제의 ▲71. 8. 14 북한적십자회, 남북적회담제의 수락 ▲

    중앙일보

    1988.07.07 00:00

  • 개방. 교류, 협력의 남북관계

    노태우 대통령의「7·7특별선언」은 제6공화국의 북방정책강령이다. 이 것은 지금의 폐쇄된 북한현실을 「개방」으로, 차단된 남북관계를 「교류」로, 대결로 치달아 온 상호관계를 「협력」

    중앙일보

    1988.07.07 00:00

  • 민족공동체 이뤄 분당극복

    대북제의 6개항 ① 각계 남북동포 교류 추진 ②이산가족 방문·생사 확인 ③남북 직접교역 문호개방 ④우방의 대북한교역 인정 ⑤남북경쟁 대결외교 종식 ⑥부의 미일 관계 개선협조 ▲태우

    중앙일보

    1988.07.07 00:00

  • 올림픽후 대비…발빠른 대북포석

    사회(구종서 위원)=노태우대통령이 오늘 특별선언을 통해 6개항의 대북제의내지는. 통일정책방향을 제시했읍니다. 새정부 출범후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통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통일

    중앙일보

    1988.07.07 00:00

  • 국회본회의 질문·답변|북한과의 대화창구 공개용의는

    ▲박관용의원(민주)질문=정부가 표방한 북방정책이 대북한고립화정책이라는 지적이 있는데 정부의 북방정책본질을 대북한적 관점에서 밝혀달라. 김영삼총재의 평양 및 북경·모스크바방문제의는

    중앙일보

    1988.07.05 00:00

  • 「7·4정신」, 살려야 한다

    「7·4 공동성명」은 조국분단 이 후 남북의 두 정부가 합의해 만들어낸 최초의 통일의지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그러나 이 성명정신이 1년만에 퇴색하기 시작하여 지금은 최

    중앙일보

    1988.07.04 00:00

  • 대법원장 결정의 마지막 기준은 "연령"

    ○…노태우 대통령은 29일 오후 민정당사를 찾아가 6·29선언당시를 회고하면서 약 1시간동안 당직자들과 사무처 요원들을 격려. 노 대통령은 윤길중 대표위원 방에서 당직자들과 환담

    중앙일보

    1988.06.30 00:00

  • 통일정책의 「본질」접근

    정부가 구상중인 북방정책은 획기적이다. 최근 노태우 대통령의 기자회견과 정부쪽에서 나온 통일정책은 지금까지의 선언적 의미와 선전적 차원을 넘어 본질문제로 들어가 있다. 공산권정책도

    중앙일보

    1988.06.29 00:00

  • 독일식 정상회담의 교훈

    지금 독일서 들려오는 소식들은 우리에겐 단순한 뉴스가 아니다. 같은 분단국인 우리에 대한교훈이요, 방향 제시로 받아들여야한다. 동독 국가평의회의장(국회의장·국가원수)겸 사회주의 통

    중앙일보

    1987.09.09 00:00

  • 북한,이한열군 대남선전이용평양의대 2학년에 입학극도

    6·29특별선언으로 한국사회가 안정을찾은데 대해 당혹감을 나타내고 있는 북괴는 연세대 이한열군의 사망까지도사회혼란을 조성하기 위한대남모략선전에 악용하고 나섰다. 북괴는 6·29선언

    중앙일보

    1987.07.14 00:00

  • 개도국간 협력 강화 다짐|새로운 세계 공동 통화 채택촉구

    【동경AP·AFB=본사특약】 비동맹 임시각료회의가 13일페막, 「평양선언」 을 통해 무역과 과학기술에 이르기까지 개발 도상국간의 협력강화를 다짐하는 한편 선진국들의 개도국의 발전에

    중앙일보

    1987.06.15 00:00

  • 뭔가 수군거리고 있다

    벌써 2년째 휴면상태에 있는 남북대화의 재개를 위해 우리 주변의 열강들 사이에 뭔가 분주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슐츠」 미국무가 북경을 방문, 한반도의 긴장완화를 위해 평양에 영

    중앙일보

    1987.03.20 00:00

  • 생존이냐, 파괴냐

    지금 우리 사회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요즘 극렬 학생들의 구호며 벽보, 선언문들을 보며 이런 생각을 갖지 않는 국민은 없을 것이다. 우리가 지난 40여 년 동안 갖은 간 난을 다

    중앙일보

    1986.10.30 00:00

  • "소련도 아시아·태평양 국가다"|고르바초프 블라디보스토크 연설에 담긴 뜻

    28일「고르바초프」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의 연설은 그의 취임이래 적극적 관심을 보여온 아시아 태평양지역에 대한 정책을 포괄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다루고있다. 「그로미

    중앙일보

    1986.07.31 00:00

  • (4408) 제84화 올림픽 반세기(57)-북한의 첫 오륜출전

    뮌헨 올림픽은 북한이 처음으로 참가한 올림픽이었다. 북한은 10개 종목에 걸쳐 82명(임원 18·선수 64)의 선수단을 파견했는데 호칭은 DPRK였다. 이 호칭은 69년6월7일 제

    중앙일보

    1986.02.10 00:00

  • (6) 미·소 공동위 논쟁-「탁치」싸고 벽두부터 "동상이몽"

    1945년12월16일부터 모스크바에서는 전후의 세계문제처리를 위하여 미·영·소 3국 외상회담이 열렸고 이 회의에서 한국에 대한 연합국의 신탁통치 문제도 구체적으로 다루어지게 되었다

    중앙일보

    1985.10.07 00:00

  • 남북국회 회담 예비 접촉

    【판문점=김현일기자】남북국회회담개최문제를 협의키 위한 25일의 제2차 남북국회회담 예비접촉은 양측간의 이견으로 아무런 진전을 보지 못한채 끝났다. 이날 상오10시부터 낮12시까지

    중앙일보

    1985.09.25 00:00

  • 우리 고향방문단 평양에 가면 얼싸안고 맘껏 웃을수 있을지

    지난 8월하순 우리 적십자회담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했을때 온가족이 TV에서 눈을 뗄줄 몰랐다. 장면 장면마다 고향의 흔적이나마 찾아보려는 안타까운 기대에서였다. 북한에 고향을 둔 모

    중앙일보

    1985.09.16 00:00

  • 서울·평양에「대표부」설치하자.|한적측 평양 남북적 회담서 제의

    【평양=합동취재단】한국적십자사는 27일 서울과 평양에 각각 「적십자 대표부」를 설치, 운영하자고 북한 적십자사에 정식 제의했다. 이날 상오 10시 평양 「인민문화궁전」에서 열린 남

    중앙일보

    1985.08.27 00:00

  • 40년만의 정치인 대좌…평양측 태도 | 북측, 국회회담을 선전이용속셈

    남북국회회담 개최문제를 협의키 위한 남북국회대표들의 23일 판문점접촉은△회담형식△대표단규모△회당장소 및 시기 등 몇 가지 실무사항에 합의함으로써 외견상 상당한 진전을 이룩한 것처럼

    중앙일보

    1985.07.24 00:00

  • 「민족통일 협의회의」만들자|남북국회대표 첫 접촉서 한국측 제의 "통일헌법 기초작업부터"

    【판문점=김현일기자】남북국회회담의 개최문제를 협의하기 위한 대한민국 국회대표단과 북한최고인민회의 대표단간의 첫 예비접촉이 23일 상오 10시 판문점 중립국감독위회의실에서 열렸다.

    중앙일보

    1985.07.23 00:00

  • "북한 정당강령은 「지하천국건설」"|남북국회회담 대표단 첫 대면장 주변|회담장

    ○…상오10시 정각 권 우리측수석대표를 비롯한 대표들과 전금철을 단장으로 하는 북측 대표단은 동시에 입장. 양측 대표들은 『잘해 봅시다』 고 인사를 나눈 뒤 내· 외신사진기자들을

    중앙일보

    1985.07.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