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week& 콘서트] 노브레인·레이지본 조인트 콘서트

    [week& 콘서트] 노브레인·레이지본 조인트 콘서트

    카우치의 성기 노출 사건 이후 모든 인디 밴드에 비상이 걸렸다. 그러나 라이브에 기반을 둔 이들인지라 공연은 포기할 수 없다. ▶ 노브레인▶ 레이지본 조인트 콘서트 '도발'을 열

    중앙일보

    2005.08.11 17:36

  • 홍대 앞은 '파격문화 특구'

    홍대 앞은 '파격문화 특구'

    ▶ 서울 홍대 앞의 한 댄스 클럽에서 젊은이들이 현란한 조명을 받으며 춤을 추고 있다. 그러나 알몸을 노출하는 밴드나 관객들은 볼 수 없었다. 임현동 기자 4일 오후 8시쯤 서울

    중앙일보

    2005.08.06 05:53

  • [분수대] 홍대 앞 문화

    [분수대] 홍대 앞 문화

    서울 마포구 홍익대 일대는 1980년대까지 별 볼 일 없는 동네였다. 홍대 미대의 명성 덕에 작업실과 미술학원 등이 잠시 눈길을 끌 뿐이었다. 대신 인근 연세대와 이화여대가 있는

    중앙일보

    2005.08.05 20:49

  •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③문화] 26.‘문화의 족쇄’ 사전심의제

    [한국사회 100대 드라마 ③문화] 26.‘문화의 족쇄’ 사전심의제

    ▶ 1996년 영화 사전심의가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을 받고 나서 한국 영화의 표현 영역은 크게 늘어났다. 사진은 남과 북의 병사가 우정을 나누는 이야기를 다룬 박찬욱 감독의 ‘공

    중앙일보

    2005.08.03 10:11

  • "나치즘 망령 떠오른다" 이명박 발언에 문화계 집중포화

    '퇴폐적인 공연을 하는 팀의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일제 단속하라'는 지시를 내린 이명박 서울시장이 시민단체, 문화계 등으로부터 집중포화를 받고 있다. 일부 인디밴드의 돌출사건이 전체

    중앙일보

    2005.08.03 10:02

  • '홍대 앞 문화'가 단속 대상 ?

    '홍대 앞 문화'가 단속 대상 ?

    밴드 '카우치'가 생방송 중 알몸을 노출한 사건 이후 경찰이 홍대 주변에 있는 클럽에 대한 단속에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알몸 노출 등 퇴폐적인 공연 등에 대한 단속은 필요하지만

    중앙일보

    2005.08.03 05:46

  • [삶과 문화] 극장의 죄가 크다

    밝고 건강한 가치관을 키우며 자라야 할 우리의 청소년들이 최근 폭력서클에 가입하여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소식이 도하 언론에 보도됐다. 관계당국에서는 뒤늦게 학교폭력의 현주소를 확

    중앙일보

    2005.03.28 18:33

  • 두번째 내한 공연 앞둔 마릴린 맨슨

    두번째 내한 공연 앞둔 마릴린 맨슨

    마릴린 맨슨입니다. 한국에 다시 오게 됐습니다. 2003년 어렵게 성사된 첫 공연, 여러분의 열광적인 반응을 잊을 수 없었습니다. 마지막 곡을 부를 때 전원이 나가는 해프닝이 벌

    중앙일보

    2005.01.19 18:26

  • 한낮에 하는 性관광 ‘제주 러브랜드’

    한낮에 하는 性관광 ‘제주 러브랜드’

    “퇴폐적인 밤무대 성 관광이 아니라 재미가 있는 한낮 성관광의 세계로 모십니다-.” 성(性)을 테마로 한 국내 첫 야외 조각공원이 제주도에서 문을 연다. ㈜제주테마조각공원(대표 최

    중앙일보

    2004.11.02 10:49

  • [week& cover story] 차이나타운 포인트 3

    [week& cover story] 차이나타운 포인트 3

    국철 1호선의 종착지인 인천역을 나서자마자 길 건너로 보이는 큰 패루가 인천 차이나타운의 입구다. 북성동 일대 1만여평 땅에 현재 화교 2, 3세 590여명이 살고 있다. 자장면

    중앙일보

    2004.10.28 16:15

  • [김작가의 뮤직 다이어리] 메뉴 많아진 일본 대중음악

    [김작가의 뮤직 다이어리] 메뉴 많아진 일본 대중음악

    최근 휴가차 간 도쿄의 가장 인상적인 풍경은 거리의 뮤지션들이었다. 시부야 거리의 구석구석에서 갈고 닦은 솜씨를 행인들에게 선뵈는 그 젊은이들이야말로 일본 대중음악의 토대라는 생

    중앙일보

    2004.08.11 17:37

  • [뮤지컬 리뷰] 브로드웨이팀 '카바레'

    [뮤지컬 리뷰] 브로드웨이팀 '카바레'

    '카바레'는 두 얼굴을 가진 뮤지컬이다. 하나는 칠흑 같은 어둠이다. 손가락만 갖다 대도 "툭!"하고 흘러내릴 것 같은 스타킹, 마약에 찌든 채 몸을 파는 댄서들, 남성인지 여성인

    중앙일보

    2004.07.07 17:21

  • 뮤지컬 '카바레' 내달 브로드웨이팀 내한

    뮤지컬 '카바레' 내달 브로드웨이팀 내한

    ▶ 뮤지컬 ‘카바레’는 양날의 칼이다. 노골적으로 섹시함을 드러내면서도, 사회를 향한 독설과 비판은 예리하기 짝이 없다. 퇴폐적인 공간 카바레를 통해 이성과 감성, 개인과 사회의

    중앙일보

    2004.06.01 17:02

  • '시대유감'과 창작의 자유

      관련기사•금지곡 80년史지난 1995년 9월 서태지와 아이들 4집에 수록된 '시대유감'이 공륜(한국 공연윤리위원회)의 사전심의에서 가사수정 지시와 함께 반려되어 연주곡으로만 실

    중앙일보

    2003.11.16 14:35

  • [집중 토론] 누드 열풍 괜찮나

    [집중 토론] 누드 열풍 괜찮나

    ▶ 10여분간 전라 장면이 등장해 화제가 된 프랑스 플레주카주 발레단의 '봄의 제전'중 한 장면 [서울세계무용축제 사무국 제공] 시대를 읽을 수 있는 문화 코드의 핵심은 '몸'이다

    중앙일보

    2003.10.16 18:33

  • [사람 사람] "아르헨티나 전통 탱고 즐기세요"

    [사람 사람] "아르헨티나 전통 탱고 즐기세요"

    "한국에는 음성적인 사교춤 문화만 있고, 정통 탱고를 접할 기회가 없는 것이 안타까웠습니다. 오리지널 탱고는 열정과 애환이 가득하고, 정말 아름다운 예술입니다." 다음달 16일 오

    중앙일보

    2003.10.10 17:54

  • 女裝 가수 보이 조지 브로드웨이 진출

    1980년대 영국의 유명 4인조 팝그룹 '컬처클럽'을 주도했던 여장(女裝) 남자 가수 보이 조지가 뮤지컬을 들고 뉴욕 브로드웨이를 찾는다.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타부'라는 작품인

    중앙일보

    2003.10.01 18:47

  • 거리로 뛰쳐나온 '금요일밤의 열기'

    어두컴컴한 지하의 게릴라들이 밖으로 뛰쳐나오기 시작했다. 지난주 금요일인 26일, 홍대 앞 거리는 춤과 음악이 흘러넘치는 젊은이들의 해방구가 됐다. 매월 마지막주 금요일마다 벌어지

    중앙일보

    2003.09.28 17:48

  • '쇼크 록의 황제' 맨슨이 온다

    ‘록계의 문제아’ 마릴린 맨슨, 다양한 장르가 혼합된 음악으로 ‘잡종 이론’을 탄생시킨 린킨 파크 등 세계적인 하드코어 밴드가 오는 10월 차례로 내한 공연한다. 마릴린 맨슨은 1

    중앙일보

    2003.08.13 17:20

  • [공연] '이발사 박봉구' 앙코르 공연

    지난해 초연 당시 연일 매진기록을 세운 연극 '이발사 박봉구(고선웅 작, 최우진 연출)'가 4일부터 앙코르 공연을 시작한다. TV 드라마에서 탈북자로 나와 얼굴이 알려진 연극배우

    중앙일보

    2003.07.03 17:48

  • [ZOOM IN] '와일드 카드' 이도경

    요즘 이도경씨만큼 행복한 배우가 있을까. 연극무대에만 서다 나이 쉰에 첫 출연한 영화 '와일드 카드'(감독 김유진)의 히트로 여느 스타가 부럽지 않다. 현재 전국 1백50여만명이

    중앙일보

    2003.06.19 14:37

  • "셰익스피어 잔혹극 오늘을 비추는 듯"

    "셰익스피어 잔혹극 오늘을 비추는 듯"

    "셰익스피어는 현장에서 작업한 사람이에요. 무대 위 배우들의 움직임과 대사를 직접 지켜보면서 공연 시간도 꼼꼼히 점검하고…. 하여튼 재기발랄한 작가였죠. 그래선지 그의 작품은 영

    중앙일보

    2003.04.07 17:48

  • '生연극 시리즈' 1년간 열려

    올해엔 우아하게 문화생활 좀 해보자. 음, 한달에 연극 한편씩은 봐야겠다. 그런데 무슨 연극을 보지? 막막하다. 그 유명한 연극은 벌써 끝났다구? 아차! 연극에 문외한이었거나 연극

    중앙일보

    2003.01.06 18:30

  • 눈물처럼 들리는 '카바레' 웃음소리

    처음으로 본 뮤지컬은 1980년대 초반 명동의 코리아 극장에서 공연했던 '아가씨와 건달들'이다. 좁은 스크린 때문에 앞쪽 의자 위에 큰 합판을 깔고, 그 덕에 춤을 출 때마다 유

    중앙일보

    2002.09.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