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뉴스분석] 미·러, 1400명만 보고 10만 명엔 눈감아 … 알아사드 "휴~"

    [뉴스분석] 미·러, 1400명만 보고 10만 명엔 눈감아 … 알아사드 "휴~"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14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리아의 화학무기 처리와 관련한 합의를 발표하면서 “러시아 측에 감사한다”는 말을 네 차례나 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중앙일보

    2013.09.16 00:16

  • 푸틴, NYT에 미국 비난 기고 … 백악관 "그게 표현의 자유"

    푸틴, NYT에 미국 비난 기고 … 백악관 "그게 표현의 자유"

    백악관이 뿔났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지난 1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오피니언면에 기고한 글 때문이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로부터의 호소’란 제목의 글에

    중앙일보

    2013.09.14 00:45

  • 푸틴에 코 꿰인 오바마 … 시리아 공습 길을 잃다

    푸틴에 코 꿰인 오바마 … 시리아 공습 길을 잃다

    오바마(左), 푸틴(右)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부쩍 나이 든 모습이었다. 요 며칠 흰머리가 더 늘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10일 오후 9시(현지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한 16

    중앙일보

    2013.09.12 00:12

  • [고정애의 시시각각] 싫어도 만나냐 안 만나냐의 차이

    [고정애의 시시각각] 싫어도 만나냐 안 만나냐의 차이

    고정애논설위원 미국 대통령이 정치인과의 만남을 즐긴다고 쓰면 오류일 게다.  “그래 나를 파멸시키고 싶으면 마음대로 해 보시오. 대통령의 위신이 곤두박질치고 있소. 닥치시오. 좋아

    중앙일보

    2013.08.29 00:18

  • [해외칼럼] 트위터 외교로는 한계가 있다

    [해외칼럼] 트위터 외교로는 한계가 있다

    크리스토퍼 힐미국 덴버대 교수전 주한 미국대사 20세기 미국 외교는 딘 애치슨, 헨리 키신저, 리처드 홀브룩이라는 걸출한 인물을 낳았다. 이들은 미국의 힘과 책임 사이에 균형을 이

    중앙일보

    2013.08.26 00:41

  • 이집트 군부 원조 끊을까 말까 … 미국의 딜레마

    이집트 군부 원조 끊을까 말까 … 미국의 딜레마

    14일(현지시간) 이집트 수도 카이로의 나스르시티 거리가 화염에 휩싸인 가운데 방독면을 쓴 시민 등 무슬림형제단 측 시위대가 군의 발포를 피해 달아나고 있다. 이날 이집트군과 경찰

    중앙일보

    2013.08.16 00:54

  • 1967년 국경선 복귀, 유대인 정착촌 건설 중단이 이슈

    1967년 국경선 복귀, 유대인 정착촌 건설 중단이 이슈

    중동의 ‘원조’ 화약고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협상이 3년 만에 재개된다.  먼저 29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워싱턴에서 평화협상을 위한 예비회담이 열린다. 미 국무부는 28일

    중앙일보

    2013.07.30 00:32

  • 평화회담 재뿌린 카르자이 … 미군, 머나먼 아프간 출구

    평화회담 재뿌린 카르자이 … 미군, 머나먼 아프간 출구

    내년 말 예정된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의 완전 철군을 앞두고 미국과 아프간 정부,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 간의 막바지 신경전이 치열하다. 미국과 탈레반의 양자 평화회담이 무기 연기

    중앙일보

    2013.07.10 00:43

  •  “중국, 북 협박 빌미로 미국이 과잉대응한다 여겨”

    “중국, 북 협박 빌미로 미국이 과잉대응한다 여겨”

    조용철 기자 관련기사 시진핑 만난 케리 미 국무 “한반도 매우 중대한 시점” 남경필·홍문종 의원과 구상찬 전 의원 등 새누리당 전·현직 의원들이 지난 2일 중국 공산당의 대북정책

    중앙선데이

    2013.04.14 02:23

  • 12, 13일 D데이 선호한 김정은, 이번엔 …

    12, 13일 D데이 선호한 김정은, 이번엔 …

    북한의 미사일 카드는 또 다른 기만전술인가. 미사일 발사가 예고됐던 10일을 넘긴 11일에도 북한은 발사 버튼을 누르지 않았다. 다만 함경남도 함흥시 인근에 배치된 중장거리 무수단

    중앙일보

    2013.04.12 01:38

  • [특별 칼럼] “우리 외침이 수단의 피를 멈춥니다”

    [특별 칼럼] “우리 외침이 수단의 피를 멈춥니다”

    조지 클루니(Not On Our Watch 공동대표) 마침내 미국이 개입을 했다. 버락 오바마 미대통령은 존 케리 상원의원을 아프리카 수단에 급파했다. 수단 남부와 북부 사이의

    중앙일보

    2010.11.20 00:03

  • “곰즈 석방만 논의” 미 정부 외치지만 …

    “곰즈 석방만 논의” 미 정부 외치지만 …

    “수행관리 없이 평양에 들어가 하루 만에 사람만 데리고 나온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1994년 6월 북한 핵위기 때 평양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과 만나 나란히 앉아 있는

    중앙일보

    2010.08.25 01:32

  • 9.11 이후 5년, 테러가 진화했다

    9.11 테러 이후 우리는 무엇을 배웠을까. 부시 미국 대통령은 분명 과잉 반응이 나쁘다는 점을 배운 듯하다. 9월 11일 테러 이후 며칠 동안 허둥지둥하면서 아무리 불충분한 정

    중앙일보

    2006.08.28 15:25

  • 어린이 그림 5000점 '희망 모자이크'

    어린이 그림 5000점 '희망 모자이크'

    재미화가 강익중씨가 '알리 센터' 5층에 마련된 자신의 작품 '희망과 꿈'앞에 서있다. 이 작품은 전세계 141개국 어린이들이 그린 가로 7.6cm, 세로 7.6cm 크기의 그림

    중앙일보

    2005.11.21 05:38

  • 미국 정계, 중국역할에 잇단 불만

    미국 상원의 해리 리드 민주당 대표가 북핵문제해결을 위한 대북협상을 중국정부에 맡겨놓아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AP통신이 1일 보도했다. 리드 의원의 이날 발언은 최근 미국이

    중앙일보

    2005.02.01 13:33

  • [카이로에서] 이집트 시장에 나타난 '낙선자' 케리

    [카이로에서] 이집트 시장에 나타난 '낙선자' 케리

    ▶ 이집트 카이로의 칸 칼릴리 전통시장에서 12일 존 케리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左)과 만난 중앙일보 서정민 카이로 특파원. 지난 12일(현지시간) 기자는 성지순례를 앞둔 이집트

    중앙일보

    2005.01.13 19:06

  • [카이로에서] 진정한 정치인 존 케리

    [카이로에서] 진정한 정치인 존 케리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총리(좌)가 10일 예루살렘의 총리 관저에서 이스라엘을 방문중인 존 케리 전(前)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만나고 있다. (AP=연합뉴스) 서민들과 외국

    중앙일보

    2005.01.13 13:23

  • 부시 대통령 재선 성공

    부시 대통령 재선 성공

    ▶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이 2일 오하이오주 대선 캠프에서 전화를 받고 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고향인 텍사스주 크로퍼드에서 투표를 마친 뒤 오하이오주로 날아가 마지막까지 유권

    중앙일보

    2004.11.03 18:43

  • [창간39주년 특별기획] 기조연설문 요약

    [창간39주년 특별기획] 기조연설문 요약

    *** 윌리엄 파프 IHT 칼럼니스트 역사 무대 전면에 나설 준비아시아-유럽 제대로 돼 있나 ◆ 세계에서 아시아의 위치=오는 11월의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미국은 아시아와 유럽 동

    중앙일보

    2004.09.20 18:49

  • [투데이] 한·미 동맹 부활하고 있다

    최근 미국과 한국은 어느 때보다 서로 우방답게 처신하고 있다. 서로 상대방의 입장을 감안, 정책을 결정하고 있다. 실제로 노무현 대통령은 이라크 파병에 대한 국내의 치열한 반대여론

    중앙일보

    2004.07.07 18:37

  • "북핵 위협 무시하는 듯한 한국인 태도 납득 어려워"

    "북핵 위협 무시하는 듯한 한국인 태도 납득 어려워"

    "한반도에서 충돌사태가 생기는 것을 한국이 반대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한국민이 북한의 핵 위협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는 건 납득하기 힘듭니다. 한국의

    중앙일보

    2004.03.10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