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카트리나 덕 구글 어스 떴다

    카트리나 덕 구글 어스 떴다

    ▶ 침수 이전과 이후 구글 어스(Google earth)에서 검색한 뉴올리언스 한 주택가의 모습. 카트리나가 오기전엔 평범한 동네의 모습이지만 카트리나 이후엔 거의 윤곽을 알 수

    중앙일보

    2005.09.06 20:05

  • [경제계 인사] 두산그룹 外

    두산그룹은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전명식 교수를 두산디앤디㈜ 대표이사 사장으로 영입하고 두산메카텍㈜ 대표이사에는 김상인 부사장을 승진.발령하는 등 모두 81명에 대한 임원인사를 단행

    중앙일보

    2005.05.04 08:42

  • 노벨 경제학상 프레스컷·쉬들란 수상

    노벨 경제학상 프레스컷·쉬들란 수상

    미국과 노르웨이의 정치 경제학자들이 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 과학 아카데미는 11일(현지시간) 미국의 에드워드 C 프레스컷(63.(左)) 애리조나 주립대

    중앙일보

    2004.10.11 23:26

  • [세계의 기업] 아이로봇 헬렌 그라이너 회장

    [세계의 기업] 아이로봇 헬렌 그라이너 회장

    국내에서 지난달 개봉한 블록 버스터 영화인 '아이로봇'에 나오는 로봇들은 감정을 나타내고 급기야 폭동까지 일으킨다. 사람과 진배없는 모습이다. 이 영화와 이름이 같은 회사인 '아

    중앙일보

    2004.08.03 20:53

  • 경력직 모집에 100대 1

    경력직 모집에 100대 1

    경기침체로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신입사원이 아닌 경력사원 모집에서 100대 1이 넘는 현상까지 벌어졌다. 보안업체인 안철수연구소에 따르면 이 회사가 지난 4월부터 최근까지 경력자를

    중앙일보

    2004.07.12 18:21

  • 카네기멜론大 '사이랩(정보보호硏)' 한국 온다

    정보기술(IT)분야의 명문대인 미국 카네기멜론대가 한국에 정보보안기술연구소를 세운다. 정보통신부는 카네기멜론대 부설 정보보호연구소인 '사이랩'의 아시아 지역 분소를 한국에 세우는

    중앙일보

    2004.06.23 18:01

  • [만화 단신] 美 단편 애니 상영회 外

    [만화 단신] 美 단편 애니 상영회 外

    *** 美 단편 애니 상영회 미국 단편 애니메이션 상영회가 11~12일 남산의 서울애니메이션센터에서 열린다. 세계 애니메이션의 효시로 꼽히는 윈저 매케이 감독의 1914년작 '공룡

    중앙일보

    2004.06.09 16:47

  • [이사람] 美 4개大 합격 여승환군

    [이사람] 美 4개大 합격 여승환군

    "여러나라 학생들과 당당히 겨뤄 세계적인 컴퓨터 공학 전문가가 되고 싶어요." 올 2월 대구과학고를 졸업한 여환승(19.사진)군은 최근 미국 4개 명문대에서 잇따라 합격통보를 받

    중앙일보

    2004.04.18 20:34

  • [정보통신부 '839 프로젝트'] 10인의 민간 매니저가 이끈다

    '839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핵심 기구로 정통부는 '프로젝트 매니저'(PM)라는 제도를 만들었다. PM은 미 카네기멜론대 출신의 송정희 박사를 총책임자로 해 모두 10명으로 구성

    중앙일보

    2004.04.12 06:33

  • [이 사람](120) 경기 성남분당갑 열린우리당 허운나 후보

    [이 사람](120) 경기 성남분당갑 열린우리당 허운나 후보

    ▶ 허운나 상세정보 보기▶ 허운나 PR페이지한나라당의 텃밭인 경기 성남 분당갑에서 벌어지고 있는 성(性) 대결이 관심을 끌고 있다. 맞수는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과 그에게 도전장을

    중앙일보

    2004.03.29 18:33

  • [주목! 이 여성] 정보통신부 IT정책자문관 송정희 박사

    '전문가이긴 해도 현실을 너무 몰라' '실무는 오래 했지만 비전과 국제적 안목이 부족해'. 정보통신부의 IT 정책자문관 송정희(宋正姬.46)박사는 이 같은 비판을 무색케 하는 화려

    중앙일보

    2004.02.15 16:47

  • CMM레벨3 인증 획득

    시스템 방산업체인 삼성탈레스(www.samsungthales.com)가 소프트웨어 CMM레벨3 인증을 획득했다. CMM은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 부설 연구기관인 SEI가 실시하는 소

    중앙일보

    2003.05.28 18:02

  • 陳정통 맏아들 병역 이중국적으로 면제

    진대제 신임 정보통신부 장관의 맏아들(25)이 이중 국적인 상태에서 병역을 면제받은 것으로 3일 밝혀졌다. 1978년 陳장관이 미국 MIT대학에서 공부할 때 태어난 陳씨는 초등학교

    중앙일보

    2003.03.03 22:46

  • [사이버 뉴스] 케이알라인·컴트루테크놀로지 外

    ◇기업용 인터넷전용선업체인 케이알라인(www.krline.net)과 스팸메일 차단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컴트루테크놀로지(www.comtrue.com)는 '스팸메일 쫑(終)캠페인'을

    중앙일보

    2003.02.25 16:54

  • "우주쓰레기와 충돌 폭발 가능성"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의 공중폭발 사고의 원인을 조사 중인 미 항공우주국(NASA)이 발사 당시 외부 연료탱크 파편에 의한 왼쪽 날개 손상이 아닌 다른 원인을 찾고 있다고 5일 밝혔

    중앙일보

    2003.02.06 19:58

  • 美대학과 공동 석사과정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이 이화여대와 공동으로 국내에 e-비즈니스 석사학위 과정을 만든다. 이대 경영대학원은 카네기멜론과 공동 석사과정을 개설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중앙일보

    2003.02.06 08:07

  • 이화여대, 미국 대학과 공동 석사과정

    미국 카네기멜론 대학이 이화여대와 공동으로 국내에 e-비즈니스 석사학위 과정을 만든다. 이대 경영대학원은 카네기멜론과 공동 석사과정을 개설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중앙일보

    2003.02.05 18:06

  • 세계 최고 MBA 와튼스쿨 3년째 차지

    미국 펜실베니아대의 와튼스쿨이 3년 연속 세계 최고의 경영학 석사학위(MBA) 과정으로 선정됐다고 파이낸셜 타임스(FT)가 20일 보도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은 3년 연속 2위

    중앙일보

    2003.01.20 17:43

  • 3D 공간 인지 로봇 개발 '복잡한 길도 거뜬!' [1]

    초능력 로봇 진화론으로 유명한 카네기멜론대학의 한스 모라벡 교수가 로봇의 시각 능력을 개선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한스 모라벡 교수는 로봇 3차원 시각 시스템을 완성했다고 밝

    중앙일보

    2003.01.03 10:02

  • 사이버뉴스

    ◇포스데이타(www.posdata.co.kr)는 국제 품질 인증인 'CMM(Capability Maturity Model)레벨4'를 국내 기업 가운데 최초로 전사 부문에서 획득했

    중앙일보

    2002.12.04 00:00

  • 군중 속 테러리스트 걸음걸이로 잡아내기

    2003년 영국 런던의 히드로 국제공항. 출장간 金모씨가 입국신고를 한다. 하지만 출입국관리원에게 여권을 내고,도장을 받고 하는 과정은 없다. 단지 작은 카메라에 약 1초 정도

    중앙일보

    2002.11.07 00:00

  • 다양성·개방성·혁신성 앞세운 '창조적 계급'이 몰려온다

    『창조적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들』(원제: The Rise of Creative Class)이 비판을 하는 대상은 피터 드러커다. 앞날 경제와 사회발전, 그리고 일과 여가의 전개

    중앙일보

    2002.10.12 00:00

  • 출판 문화 밀어줄 든든한 후원 아쉬워

    반도체 집적도가 18개월마다 두 배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도 유명한 인텔 공동 설립자 고든 무어는 케임브리지 과학기술도서관 건립에 1천2백50만달러를 기부했다. 케임브리지

    중앙일보

    2002.09.28 00:00

  • '이모티콘' 쓴 지 벌써 20년 ? 1982년 문서서 발견

    인터넷에서 감정을 표현할 때 쓰는 기호인 '이모티콘(Emoticon)'의 나이는 얼마나 될까. 이모티콘이 본격적으로 활용된 것은 PC통신·인터넷이 대중 속으로 파고든 1990년대

    중앙일보

    2002.09.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