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왕의 명령에 한국 왔던 중동 청년들…화성탐사선 쏘아올렸다 [영상]

    왕의 명령에 한국 왔던 중동 청년들…화성탐사선 쏘아올렸다 [영상]

      UAE가 공개한 화성 탐사선 '아말'이 화성 궤도를 도는 일러스트. 사진 MBRSC   서로 다른 세 나라가 만든 세 우주탐사선이 지난달 10일부터 19일 사이에 나란히 화성

    중앙일보

    2021.03.05 18:00

  • 왕의 명령에 한국 왔던 중동 청년들…화성탐사선 쏘아올렸다 [영상]

    왕의 명령에 한국 왔던 중동 청년들…화성탐사선 쏘아올렸다 [영상]

        UAE가 공개한 화성 탐사선 '아말'이 화성 궤도를 도는 일러스트. 사진 MBRSC   서로 다른 세 나라가 만든 세 우주탐사선이 지난달 10일부터 19일 사이에 나란히

    중앙일보

    2021.03.05 18: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 한국 첫 위성 ‘우리별’ 아버지 최순달, 과학재단 바통 넘기다

    [남기고 싶은 이야기] 한국 첫 위성 ‘우리별’ 아버지 최순달, 과학재단 바통 넘기다

    아주대 에너지학과 특임 석좌교수로 일하던 1987년, 한국과학재단의 최순달(31~2014년) 이사장이 전화를 걸어왔다. 최 이사장은 서울대 공대 전기공학과 출신으로 미국 스탠퍼드

    중앙일보

    2018.12.28 01:00

  • [삶과 추억] 최순달 KAIST 명예교수 별세

    [삶과 추억] 최순달 KAIST 명예교수 별세

    ‘한국 정보통신의 선구자’이자 ‘인공위성의 아버지’로 불려온 최순달(사진) KAIST 명예교수가 18일 별세했다. 83세.  대구 출신인 최 명예교수는 1954년 서울대 전기공학과

    중앙일보

    2014.10.20 00:30

  • 발사 1주년 맞은 `우리별 3호'

    지난해 5월 26일 오후 3시22분 인도 남동부 샤르발사장에서 인도 PSLV로켓에 탑재돼 쏘아 올려진 국산 1호 위성 `우리별 3호''가 오는 26일로 발사 1주년을 맞는다. 우리

    중앙일보

    2000.05.23 14:15

  • 국산위성 '우리별3호' 완성…4.5월께 발사

    국내 기술진이 국산1호 실험 인공위성인 '우리별 3호' 를 제작했다. 이 위성은 오는 4, 5월께 인도 우주개발연구소에서 발사된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

    중앙일보

    1999.02.08 00:00

  • 1백% 국산 인공위성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소장 崔順達)가 설계에서 조립까지 모든 과정을 전담해 완성한 국산 1호 위성 '우리별 3호' .올해 중반 인도우주개발연구소의 PSLV

    중앙일보

    1998.01.14 00:00

  • 인공위성 영상 수신.처리지상국 始動式

    국내 최초의 인공위성 영상 수신.처리지상국(사진)이 26일 대전 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에서 시동식(始動式)을 갖고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정보통신부.과학기술처등의 지원으로 지난

    중앙일보

    1997.03.26 00:00

  • 한국,아태 소형위성 개발주도국 선정

    한국이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소형 인공위성 개발 주도국으로 선정돼 앞으로 이 지역에 대한 소형위성및 관련기술 수출에 유리한지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폐막된 유엔 아태경제사

    중앙일보

    1996.05.07 00:00

  • 科技院「위성센터」건립 현대전자서 30억 지원

    현대전자(대표 鄭夢憲)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대덕캠퍼스내 「인공위성연구센터」연구동 건립에 30억원을 지원키로 하고 22일 기부금 약정식을 가졌다(사진).한국과학기술원에서 있은

    중앙일보

    1995.08.24 00:00

  • 위성 우리별3.4호 97.99년 발사키로

    우리별 3,4호 위성이 각각 오는 97,99년에 발사된다. 이 위성의 제작을 맡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인공위성연구센터 최순달(崔順達)소장은 『현재 개발중인 우리별 3호는

    중앙일보

    1995.06.16 00:00

  • 민주당 생활정치-이기택대표 발로 뛴다

    「생활현장의 목소리를 정책대안에 적극 반영한다」는 民主黨의「生活政治」가 본격화되고 있다. 李基澤民主黨대표는 지난주 시장을 방문해 체감물가를 확인한데 이어 11일 낮에는 大德연구단지

    중앙일보

    1994.01.11 00:00

  • 인공위성연 최순달소장

    『우리별 2호는 소형위성의 대표적인 모델로 알려진 영국 서리대의 설계를 기본으로 했지만 결국 세계 인공위성산업에서 한국의 고유모델을 잉태할 수 있는 전초단계입니다.』 순수 국내기술

    중앙일보

    1993.03.24 00:00

  • 9월 발사 "이상무"

    우리나라도 오는 9월이면 명실상부한 인공위성제작국 대열에 들어선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인공위성시대를 연 「우리별 1호 (KITSATA)」에 이어 두번째 인공위성으로 올해 9월1일

    중앙일보

    1993.03.24 00:00

  • 우리별 2호 9월1일 발사/가이아나서… 예정보다 25일 늦춰

    순수 국내기술로는 처음으로 제작되는 한국형 인공위성 「우리별 2호(KISAT­B)」가 원래 계획됐던 대전엑스포 개막일보다 25일 늦어진 오는 9월1일 발사된다. 한국과학기술원 인공

    중앙일보

    1993.03.22 00:00

  • 밝은 내일을 연다 자랑스런 한국인(1)「우리별」제작팀|우주산업 씨앗 뿌렸다

    최근 들어 한국인과 한국사회는 너무 비관적으로 자신을 보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는 구한말에 나타난 「총체적 위기의식.」도 지도자의 입에서 나오고 「민족 무기력론」을 거리낌 없이 외

    중앙일보

    1992.09.23 00:00

  • 저녁7시부터 밤새며 교신|빠른 안정세…성능 우수성 입증

    13일 오후7시-. 대덕연구단지 내 한국과학기술원 2호 관2층에 위치한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위성지구국은 낮 동안의 정적에서 깨어난 듯 갑자기 분주해지기 시작했다. 아침에 퇴근했던「우

    중앙일보

    1992.08.17 00:00

  • 사명감갖고 참여한 젊은 학생들에 감사/최순달 인공위성센터소장

    『대단히 기쁩니다. 처음 하는 일이어서 법적 제도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는데 과기처·체신부 등 관계부처에서 지원해주고 학생들이 사명감을 갖고 매진한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별1

    중앙일보

    1992.08.12 00:00

  • “올림픽 버금가는 쾌거” 환호/「우리별1호」 첫 교신 성공하던 날

    ◎교신율 10% 가슴졸인 4백20분/“첨단집약된 위성제작기술 확보” ○첫 교신성공 드문 일 ○…11일 오후 7시35분쯤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1호」가 대전 대덕연구단지내

    중앙일보

    1992.08.12 00:00

  • 한국 첫 위성 우주로 날다/「우리별1호」 발사성공/남미 기아나서

    ◎22번째 보유권/5년간 지구돌며 각종 실험 【쿠루(남미 기아나)=대한민국 공동취재단】 92년 8월11일 오전 8시8분(한국시간) 드디어 우리에게도 우주시대,인공위성의 시대가 열렸

    중앙일보

    1992.08.11 00:00

  • 한국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내일 우주나들이

    11일오전8시30분(한국시간)을 전후해 한국 최초의 인공위성인 킷샛-A(별칭「우리별」1호)가 아리안 스페이스의 남미쿠루발사장을 떠나 지상 1천3백km 궤도에 진입하게 된다. 세계최

    중앙일보

    1992.08.10 00:00

  • "우리도 「우주시대」 열어야죠"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인 과학위성 「우리별」1호가 11일 오전8시8분(현지시간 10일오후8시8분)에서 53분 사이 남미 프랑스영기아나의 쿠루발사장(적도부근)에서 발사된다. 과학위

    중앙일보

    1992.08.05 00:00

  • 국내 첫 인공위성 KITSAT-A|7월23일 발사

    우리 나라도 오는 7월23일이면 대망의 인공위성시대에 접어든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인공지능연구센터 (소장 최순달)는 최근 국내 최초의 인공위성 KITSAT-A가 프랑스의

    중앙일보

    1992.03.16 00:00

  • 과학위성 2개 띄운다/1호는 내년 7월 불서… 계약 완료

    ◎국내제작 2호 93년 8월 소서 발사 국내최초의 인공위성이 내년 7월 프랑스에서 발사되며 국내에서 자체제작한 인공위성도 93년 8월 소련에서 발사되는 등 2개의 과학위성이 발사된

    중앙일보

    1991.05.3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