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창녕에 콜레라 증세

    【창녕=김택용기자】지난 8일부터 창령군 부곡면 부곡리와 온정리 두 마을에 「콜레라」증세와 비슷한 전염성이 강한 괴질이 번져 11일 상오까지 2명이 죽고 46명이 앓고 있다. 현지

    중앙일보

    1970.08.11 00:00

  • 최고본 「삼국사기」 전 9권 도난

    【대구=최순복기자】경북 월성군 안강읍 옥산동 1600 옥산서원과 독악당에 보관돼 있던 삼국사기 전 9권, 신증동국여지승람 22권 등 모두 1백 17권의 귀중한 문화재가 지난 7월

    중앙일보

    1970.08.05 00:00

  • 천억원이 노리는 일석이조

    정부는 항구적 수해대책과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등 4대 강에 대한 장기개발계획을 세우고 지난 66년부터 이를 추진해 오고 있다. 한강 등 4대강의 유

    중앙일보

    1970.08.05 00:00

  • 허술한 여름 방발|그 대책을 점검 해 본다

    지난 27일 보건사회부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인도, 버마, 파키스탄 등 동남아 일대에 콜레라가 창궐하고 있다는 세계 보건기구 (WHO) 의 통보에 따라 전국 19개 공항·항구에

    중앙일보

    1970.07.30 00:00

  • 장마는 주내에 퇴각하고 |더위 몸부림

    한달 동안 계속된 장마가 이번주 안으로 걷히리라는 중앙 관상대의 예보 속에 무더위가 엄습, 잠시 푸른 하늘이 비쳤던 21일 강릉지방에서 수은주가 올 들어 최고인 35도까지 올라간

    중앙일보

    1970.07.22 00:00

  • 지방도로망의 정비

    우리 나라에서는 장마때만 되면 연중 행사처럼 인명 피해가 늘어나고 도로 유실, 교통 두절 사태가 속출한다. 하늘을 원망하고 있기에는 너무나 안타까운 인간의 무능과 무위를 한탄하는

    중앙일보

    1970.07.21 00:00

  • 노후 교실의 개수

    장마철이면 으례 있게 마련인 수해 피해 중에도 국민학교 노후 교실의 도괴 등으로 인한 어린 학생들의 인명 피해가 몹시 걱정된다. 수해로 인한 교실 감축은 지난 68년도에 88개였던

    중앙일보

    1970.07.14 00:00

  • 하계 방역대책

    보사부는 지난 7일에 발생한 진주 등지에서의 장티푸스 예방접종 집단 부작용 사건이 예방약의 관리 소홀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고 자가진단하고 예방접종 약 관리지침을 마련하여 각 시·도

    중앙일보

    1970.07.11 00:00

  • 「시시포스」의 비

    연례의 풍수해가 시작되었다. 지난 4일부터 내린 비에 38명이 생명을 잃었다. 부상자도 퍽 된다. 당국의 집계에 따르면 인명 피해 말고도 16억원이 넘는 재산 피해를 보았다. 칠곡

    중앙일보

    1970.07.07 00:00

  • 전염병 발생 지역적 경향|수도 서울 발생률도 수위

    우리 나라의 수도인 서울에서의 전염병 발생률이 전국 11개 시·도 중에서 가장 높아 도시 방역에 헛점이 있는 것이 드러나고 있다. 장마철에 접어들면서 수인성 전염병인 장티푸스가 부

    중앙일보

    1970.07.03 00:00

  • 서울은 비에 약했다

    비에 수방대책은 너무 허술했다. 25일 내린 집중호우로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서 11명이 목숨을 잃고 7명이 실종, 8명이 부상하는 등 26명의 인명피해를 냈으며 6천8백55동의

    중앙일보

    1970.06.26 00:00

  • (14)정릉 2동

    정릉 2동은 동자체로 어머니 자랑대회를 열어 해마다 훌륭한 어머니를 표창하고 있다. 자기 어머니를 자랑하는 내용의 학생 글짓기를 해서 이 글에 나타난 내용을 심사해 가장 훌륭한 어

    중앙일보

    1970.06.23 00:00

  • 「임야개간 허가」남발

    서울시의「임야 개간 신규허가 억제방침」이 요즘 무질서해 져서 올해 들어 10만평의 허가가 나는 등 남발되고 있다. 서울시의「임야개간 신규허가 억제방침」은 작년 8월1일부터 시행되어

    중앙일보

    1970.05.11 00:00

  • 초록의 뜰 잔디를 심을 때

    【질문】앞뜰에 잔디밭을 만들려고 하는데 씨를 뿌리자느니 사다 심자느니 가족들끼리 의견 백출입니다. 적어도 내년 여름까진 금잔디밭이라고 부를 만큼 좋은 잔디를 만들려면 어떤 방법으로

    중앙일보

    1970.04.13 00:00

  • 『천기도』로 내일의『스케줄』을|「아마추어」기상학

    일기가 우리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심히 크다. 맑고 흐리고 비가 오고 눈이 옴에 따라 모든 생활이 변화된다. 더구나 집을 고친다든지, 빨래를 말린다든지, 이사를 한다든지, 간장을,

    중앙일보

    1970.03.21 00:00

  • 영점하 수도보호

    겨울철의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됨에 따라 서울 시내곳곳에서 수도가 얼어 물이 나오지 않거나 양수기나 급수관이 얼어 터지는 일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일은 급수주를 미리 가마니

    중앙일보

    1969.12.12 00:00

  • 김장|장보기와 맛의 비결

    9일부터 서울시내 1백26개소에 「김장시장」이 개장된다는 소식. 기온의 변화에 예민하게신경쓰며 구체적으로 김장준비를 서두를 무렵이다. 요리연구가 최구씨의 맛있게 김치 담그는 비결과

    중앙일보

    1969.11.06 00:00

  • 「시민아파트」날림공사

    서울시가 1동에 1천2백만원을 들여 건립한 시민 「아파트」가 준공 1년도 못되어 벌써부터 벽이 갈라지는가 하면 연탄「개스」가 굴뚝 밖으로 나가지 않고 굴뚝벽사이로「개스」가새어 겨울

    중앙일보

    1969.10.20 00:00

  • 고지개간에 부작용

    서울시내 변두리 고지대마다 마구파헤치고있는 개간공사에대한 서울시의 관리가 소홀하여 풍치미관은 고사하고 흙사태가 나는등 부근주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서울시는 고지대개간이 ①도시건

    중앙일보

    1969.09.09 00:00

  • 상·하수도시설없어 불편

    서울시가 난민정착지로정한 서울 영등포구 사당동일대는 그동안 3천여호, 7천여가구에 주민 4만여명이 정착하고 있으나 상·하수도 시설은 물론 소방도로마저 없어 주민들은 큰불편을 겪고있

    중앙일보

    1969.08.29 00:00

  • 서울시 조사에 비친 실태|옹염만원…수영장

    장마로 한강수영장이 폐쇄된 틈에 실내 「풀」이 인기를 끌고 있으나 「풀」의 물은 각종 피붓병의 오염등 수질이 나쁜데다 잘 갈지를 않아 「풀」의 위생은 완전히 영점지대. 그래도 갈곳

    중앙일보

    1969.08.19 00:00

  • 「바캉스」결산

    12일은 말복. 이제는 더위도 한고비를 넘길 때가 되었다. 입추를 지나고 처서를 바라보는 이즈음 하늘은 찌푸리기만 하고 벼르고 벼르던 「바캉스」의 꿈도 이제 사라지기만 한다. 지루

    중앙일보

    1969.08.13 00:00

  • (213)물에 잠긴 강산…「연예」에 시달린다

    「상전이 벽해』가 되었다는 고장 그대로의 수해지대. 8일 상오 무섭게 깔린 먹구름사이로 햇빛은 물바다가 된 금강상류일대를 비웠다. 수해는 공주·부여·오치원 일대만이 아니다. 강원도

    중앙일보

    1969.08.09 00:00

  • 「고지대기간 허가」남발

    서울시가고지대 1백여 군데에 개간허가를 해주고 준공허가 기간을 계속 연장해 주고 있어 개간장 부근주민들은 돌이 굴러 내려오고 장마 때는 토사와 흙탕물이 쏟아져 내려 많은 피해를 보

    중앙일보

    1969.08.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