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앙시평] 탈진실 시대를 사는 법

    [중앙시평] 탈진실 시대를 사는 법

    김은미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2016년 옥스퍼드대학이 매 연말 발표하는 그해의 단어는 ‘탈진실’ 이었다. 탈진실이란, 객관적인 사실보다 감정이나 개인적 신념에 따른 주장이나

    중앙일보

    2023.10.26 01:00

  • 기술이 다 해결? 인간적 통제 강조하는 이유

    기술이 다 해결? 인간적 통제 강조하는 이유

    권력과 진보 권력과 진보 대런 아세모글루·사이먼 존슨 지음 김승진 옮김 생각의힘   휴대전화와 인터넷, 인공지능(AI)·로봇·자율주행차에서 내 장기 속을 이 잡듯 훑어 병의 원인

    중앙선데이

    2023.07.01 00:28

  • 테크놀로지가 구세주? 낙관주의 대신 '인간적 통제' 강조하는 이유[BOOK]

    테크놀로지가 구세주? 낙관주의 대신 '인간적 통제' 강조하는 이유[BOOK]

    책표지 권력과 진보 대런 아세모글루·사이먼 존슨 지음 김승진 옮김 생각의힘             휴대전화와 인터넷, 인공지능(AI)‧로봇‧자율주행차에서 내 장기 속을 이 잡듯 훑

    중앙일보

    2023.06.30 14:00

  • "차이나+1로 리스크 대응해야"…2022년 아시아 11대 이슈

    "차이나+1로 리스크 대응해야"…2022년 아시아 11대 이슈

      ■  「 올 5월 출범하는 새 정부는 수많은 외교적 난제를 마주하게 된다.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선 국민의 생각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국내적 지지 없이는 어떤 외교 정책도 지속

    중앙일보

    2022.01.21 05:00

  • [이정민의 시선] 좀비 정치 퇴출의 날

    [이정민의 시선] 좀비 정치 퇴출의 날

    이정민 논설위원 2019년 한국인이 가장 많이 봤다는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은 좀비가 된 왕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왕의 후광을 업고 세도를 누려온 외척 조학주(영의정)는 권력

    중앙일보

    2020.04.09 00:21

  • ‘밥상머리 사옥’ 로이드빌딩, 유대감 형성에 좋아

    ‘밥상머리 사옥’ 로이드빌딩, 유대감 형성에 좋아

     ━ [도시와 건축] 기업의 집, 사옥  영국 런던의 금융회사 사옥인 로이드빌딩(위 사진)은 다른 층끼리 서로 바라볼 수 있는 구조다. 이런 공간은 공동체의식을 만든다. 4층 높이

    중앙선데이

    2017.06.18 02:23

  • [사설인사이트]세계에서 '막말 정치'가 먹히는 이유

    [사설인사이트]세계에서 '막말 정치'가 먹히는 이유

    제 남편도 만족을 못 시키면서 미국을 만족시키겠다고?저 X이 보도한 것은 다 거짓말이다. 저 X은 삼류기자다.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사실상 공화당 후보가 된 도널드 트럼프의 ‘유명한

    중앙일보

    2016.05.19 17:28

  • [논쟁]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 체계 도입의 외교적 득실은?

    [논쟁]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 체계 도입의 외교적 득실은?

    논쟁의 초점-최근 국내 안보 및 외교 현안으로 떠오른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도입을 둘러싼 찬반 양론을 들어본다. 지난 회(8일자)에는 군사적 차원에서 사드 기술의 신

    중앙일보

    2015.04.22 00:05

  • [논쟁] 시민운동가들이 뛰어들면 정치가 나아질까

    [논쟁] 시민운동가들이 뛰어들면 정치가 나아질까

    4월 총선을 앞두고 시민운동가들이 대거 정치판으로 뛰어들고 있다. 올 선거판에서 주목할 만한 새 흐름이다. 찬성론자들은 신선한 시민세력이 기성 정치판을 새롭게 바꿀 것이라며, 이

    중앙일보

    2012.03.03 00:35

  • 역대 정부 예외 없이 불신의 악순환...개도국 문제에 선진국형 권위 붕괴 겹쳐

    역대 정부 예외 없이 불신의 악순환...개도국 문제에 선진국형 권위 붕괴 겹쳐

    ‘한국 사회 대논쟁’ 참석자들이 토론을 시작하기에 앞서 담소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이준웅(서울대)·장수찬(목원대)·원숙연(이화여대)·정용덕(서울대) 교수· 최상연 정치 에디터

    중앙선데이

    2012.02.19 02:03

  • [사설] 대북 전략 새롭게 가다듬어야 할 때

    북한은 지금 위기다. 절대권력을 행사하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세상을 떴기 때문이다. 물론 북한의 위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그러나 절대권력자가 사라진 지금과 이전과는 그 위기

    중앙일보

    2011.12.21 00:00

  • 부패의 흰개미

    부패의 흰개미

    학술행사 참석차 최근 방문했던 인도네시아에선 더운 기후 때문에 현지인들이 생선회나 날음식을 거의 먹지 않는다. 팜유에 볶거나 튀긴 음식이 주류다. 밥도 볶은 것(나시 고랭)을 즐

    중앙선데이

    2011.11.06 00:27

  • 가면 쓴 권력, 발가벗겨진 개인

    가면 쓴 권력, 발가벗겨진 개인

    명문 대학을 나왔건만 복사 가게 점원으로 일하면서 도박으로 소일하는 청년 제리(샤이아 라보프). 빈털터리인 그의 계좌에 어느 날 거액이 송금되고, 집에 와보니 무시무시한 무기들이

    중앙일보

    2008.10.09 16:27

  • GONGO … PONGO … BUNGO "권력화된 NGO가 문제"

    GONGO … PONGO … BUNGO "권력화된 NGO가 문제"

    유엔 NGO협의체 르네타 블룸 의장과 경희대 조인원 총장, 세계시민단체연합 쿠미 나이두 사무총장(왼쪽부터)이 8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국제화 시대에 NGO와 대학이 어떤 역할을 할

    중앙일보

    2007.11.12 04:48

  • [글로벌책읽기] 테러 공포·미래 불안 … 미국은 '유령의 나라'

    [글로벌책읽기] 테러 공포·미래 불안 … 미국은 '유령의 나라'

    윌리엄 깁슨은 1948년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토목기술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베트남 전쟁에 징집당하지 않기 위해 캐나다로 이민한 후 뱅쿠버에서 계속 살고 있다. 1982년 발표하여

    중앙일보

    2007.09.21 20:02

  • [중앙 시평] 감시사회와 민주주의의 위기

    조지 오웰은 소설 '1984년'에서 디스토피아의 극점을 묘사했다. 오세아니아라는 가상의 전체주의 체제는 국민을 세뇌시키기 위해 과거사를 끊임없이 날조한다. 당이 새 언어를 만들어

    중앙일보

    2005.07.27 20:49

  • [논쟁과 대안] 6. 민주주의, 참여냐 대의냐

    [논쟁과 대안] 6. 민주주의, 참여냐 대의냐

    ▶ 왼쪽부터 이내영 고려대 교수, 장훈 중앙대 교수, 김호기 연세대 교수,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 [박종근 기자] 진정한 민주주의의 공고화는 참여와 대의의 효율적인 결합을 통해 가

    중앙일보

    2004.05.26 18:55

  • 정보에도 색깔이?

    제목은 근사한데 저자가 생소할 때, 나는 출판사에 의지한다. 영국의 루트리지(Routledge)는 제목만 보고 책을 주문해도 '본전' 생각이 나지 않는 기특한 출판사 중의 하나다

    중앙일보

    2002.03.30 00:00

  • ['마드리드 정상회담' 전문가 좌담]

    '제왕적 대통령제'로 대변되는 한국의 민주주의가 글로벌 스탠더드에는 여전히 못미치고 있다는 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다. 진정한 민주주의는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세계 33개국의 전

    중앙일보

    2001.10.29 00:00

  • [우리 학문의 새 길] 6. 비판시민사회론

    시민사회는 지난 10여 년 간 우리사회 변동을 판독할 수 있는 대표적인 화두(話頭) 가운데 하나다. 1987년 권위주의 국가에 대한 시민사회의 폭발에서 최근 총선시민연대의 낙선운동

    중앙일보

    2000.09.27 00:00

  • [엿보기] 한국적 변용 구체화 과제

    사회구성체(사구체)논쟁이 뜨겁던 1980년대 이후 국내 사회학계는 별다른 담론을 키워내지 못했다. 시대의 변화를 이끌어야할 사회학으로서는 일종의 직무유기였다. 누가 어떤 '논(論)

    중앙일보

    2000.09.27 00:00

  • [21세기 키워드] 4. 시민권력

    민주주의는 지난 1천년간 인류 역사의 가장 커다란 성취 중의 하나지만 아직 미완의 과제다. 특히 근대정치의 주요한 성과라 할 수 있는 대의민주주의는 의사결정의 권리를 다른 사람에게

    중앙일보

    1999.12.06 00:00

  • [밀레니엄포럼] 조한혜정 교수 주제발표

    *** 가부장적 국가권력 왜곡.파행 막아야 이제 차별은 소수들의 권리찾기 문제가 아니라 모든 사람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인권문제로 풀어야 한다. 차별의 문제는 전 지구적인 논의의 연

    중앙일보

    1999.05.12 00:00

  • [99년에 묻는다]11.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인가

    문화에 대한 사유가 우리처럼 척박한 사회에서 '문화의 세기' 를 말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거품 중의 거품, 허위의식 중의 허위의식이다. 우리 삶의 방향과 가치에 관계된 근본적인 문

    중앙일보

    1999.01.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