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week&맛] 라오스에 왜 뚱보가 없나 했더니 …

    계피가 들어간 밥으로 감싼 닭다리 요리(左). 생선소스를 곁들인 샐러드와 라오스식 스프링롤.“라오스 음식은 건강 웰빙식입니다. 라오스에는 살찐 사람이 없거든요. 비타민C가 풍부하고

    중앙일보

    2007.10.19 15:56

  • [week&맛] 라오스에 왜 뚱보가 없나 했더니 …

    [week&맛] 라오스에 왜 뚱보가 없나 했더니 …

    계피가 들어간 밥으로 감싼 닭다리 요리(左). 생선소스를 곁들인 샐러드와 라오스식 스프링롤.“라오스 음식은 건강 웰빙식입니다. 라오스에는 살찐 사람이 없거든요. 비타민C가 풍부하고

    중앙일보

    2007.10.18 15:26

  • 수타계곡, 붕어섬, 마암터 마을

    수타계곡, 붕어섬, 마암터 마을

    수타계곡 모래사장 품은 9km 기암절벽 조일현 | 홍천-횡성 | 중도통합민주당 몸의 더위만 없애려면 에어컨이 펑펑 틀어진 아파트 거실이 제일 좋다. 그러나 마음속까지 후련한 곳을

    중앙일보

    2007.07.09 14:21

  • 수타계곡, 붕어섬, 마암터 마을

    수타계곡, 붕어섬, 마암터 마을

    수타계곡 수타계곡모래사장 품은 9km 기암절벽조일현 | 홍천-횡성 | 중도통합민주당몸의 더위만 없애려면 에어컨이 펑펑 틀어진 아파트 거실이 제일 좋다. 그러나 마음속까지 후련한

    중앙선데이

    2007.07.08 03:04

  • [장바구니리포트] 여름 바다의 꽃, 멍게

    [장바구니리포트] 여름 바다의 꽃, 멍게

    왼쪽은 일본산, 오른쪽은 국내산 멍게.'바다의 꽃'이라고 불리는 멍게. 붉은색과 주황.노란색이 꽃보다 아름답고 화사하다. 우렁쉥이라고도 하는 멍게 특유의 맛은 불포화 알코올인 신티

    중앙일보

    2007.05.17 18:24

  • [스페셜 리포트] 해독한의원 원장들이 말하는 ‘해독 디톡스’

    쌀겨찜질…발효해독요법 탁월 “건강에 좋은 발효식품에 착안해 최근 개발…노폐물 제거에도 도움” 발효해독요법으로 해독하면 림프계의 순환을 촉진하고, 땀선의 땀은 물론 피지선의 땀까지

    중앙일보

    2007.02.22 14:41

  • [시가있는아침] '북관(北關)'

    '북관(北關)'- 백석(1912~95) 명태(明太)창난젓에 고추무거리에 막칼질한 무이를 뷔벼 익힌 것을 이 투박한 북관(北關)을 한없이 끼밀고 있노라면 쓸쓸하니 무릎은 꿇어진다 시

    중앙일보

    2007.01.07 20:32

  • [week&] '맛캉스' 전국 일주

    [week&] '맛캉스' 전국 일주

    여름휴가를 떠나는 길엔 먹을 것이 많다. 산 속으로 들어가면 풋풋한 산나물 밥상이 펼쳐지고, 바닷가로 달려가면 싱싱한 생선회상이 반긴다. 강이나 들로 나가면 뜰체로 들어올린 천렵

    중앙일보

    2006.07.13 17:55

  • [시가있는아침] '짤막한 노래'

    박경원(1954~ ) '짤막한 노래' 정직하고 부드러운 빵 아름다운 푸른곰팡이를 피워내는군 자신이 썩었음을 알려주는군 부패와 발효는 썩는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인간에게 어떤 태도를

    중앙일보

    2006.04.11 18:17

  • "김치 맛 보니 엄마 생각 나요" 해외입양 20여 명 서울서 '특별한 김장'

    "김치 맛 보니 엄마 생각 나요" 해외입양 20여 명 서울서 '특별한 김장'

    네덜란드인 친구와 함께 고국을 방문한 영미(오른쪽), 독일에서 온 용수(왼쪽) 등 해외 입양인들이 10일 서울 청운동 뿌리의 집에서 김장을 담그고 있다. 김태성 기자 10일 오후

    중앙일보

    2005.12.12 05:11

  • "용기 꽉 채우지 않아야 발효 잘 돼"

    김치는 발효식품이라 익어갈수록 한결 깊은 맛이 나고 영양분도 많아진다. 김치는 좋은 재료로 맛있게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발효가 잘 될 수 있도록 제대로 보관하는 것도 중요하다.

    중앙일보

    2005.10.31 11:25

  • [건강식품 김치] "용기 꽉 채우지 않아야 발효 잘 돼"

    [건강식품 김치] "용기 꽉 채우지 않아야 발효 잘 돼"

    김치는 발효식품이라 익어갈수록 한결 깊은 맛이 나고 영양분도 많아진다. 김치는 좋은 재료로 맛있게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발효가 잘 될 수 있도록 제대로 보관하는 것도 중요하다.

    중앙일보

    2005.10.30 15:33

  • [공항 라운지] "김치가 터졌어요"

    [공항 라운지] "김치가 터졌어요"

    얼마 전 호주 시드니 공항에서는 김치와 젓갈 냄새로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사건을 기억하는 현지 공항 직원들은 '냄새테러'였다며 지금도 머리를 흔든다. 사건의 전말은 이렇다.

    중앙일보

    2005.05.16 05:14

  • [Family] 음식쓰레기 버릴 땐 이 기준으로

    [Family] 음식쓰레기 버릴 땐 이 기준으로

    새해 들어 주부들에겐 큰 골칫덩이가 생겼다. 바로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 일이다. 전국 시(市)지역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직매립이 금지된 데 따른 것이다. 종전엔 주방 일이란

    중앙일보

    2005.01.11 18:07

  • [week&] 김치 건강학

    [week&] 김치 건강학

    한국인이 상대적으로 날씬한 이유는 바로 '김치 다이어트' 덕분-. 최근 일본과 중국에선 웰빙과 다이어트 식품으로 김치가 각광 받고 있다. 김치의 주요 구성 요소인 고춧가루엔 체지방

    중앙일보

    2004.11.19 09:22

  • [week& 특집 김장] 젓갈 여행

    [week& 특집 김장] 젓갈 여행

    배추나 파·마늘은 가까운 시장에서 사더라도 젓갈은 산지에서 사야 제맛. 그렇다고 젓갈만 사러 멀리 해안 포구까지 찾아가기는 좀 멋쩍다. 이왕에 떠난 길에 산천경개 구경도 하고 젓갈

    중앙일보

    2004.11.18 15:41

  • [week& 특집 김장] 김치 건강학

    [week& 특집 김장] 김치 건강학

    ▶ 김치 한 숟갈에 들어 있는 유산균의 양은 무려 1억 마리. 그러나 소금에 절인 배추를 너무 과도하게 물로 씻어내면 이런 영양분이 빠져나갈 수 있다. 사진 속 주인공은 강원도 양

    중앙일보

    2004.11.18 15:39

  • [week& 특집 김장] 손맛 찾아 사연 찾아

    [week& 특집 김장] 손맛 찾아 사연 찾아

    "김치는 뭐니 뭐니 해도 손맛이래요." "아니랑게, 푹 우려낸 젓갈이 중요허구먼." "배추가 실하고, 간이 맞아야제" "그저 맛있으면 되지,뭐가 그리 중요하남유." 사투리만큼이나

    중앙일보

    2004.11.18 15:12

  • [식탁혁명] 소금 섭취 반으로 줄이자

    [식탁혁명] 소금 섭취 반으로 줄이자

    "국 섭취량을 줄이면서 자연히 물을 많이 마시게 됐어요. 과거엔 생수를 하루에 작은 페트병 하나(500㎖)도 채 마시지 못했는데 요즘은 두 병 이상 마십니다. 그 덕분인지 아침에

    중앙일보

    2004.11.01 09:42

  • [식탁혁명] 3. 소금 섭취 반으로 줄이자

    [식탁혁명] 3. 소금 섭취 반으로 줄이자

    "국 섭취량을 줄이면서 자연히 물을 많이 마시게 됐어요. 과거엔 생수를 하루에 작은 페트병 하나(500㎖)도 채 마시지 못했는데 요즘은 두 병 이상 마십니다. 그 덕분인지 아침에

    중앙일보

    2004.10.31 17:30

  • [식탁혁명] 2. "1% 부족한 한국 요리 허브 쓴다면 완벽할 것"

    [식탁혁명] 2. "1% 부족한 한국 요리 허브 쓴다면 완벽할 것"

    ▶ 르 꼬르동 블루 숙명 아카데미 수석요리장인 마르크 샬로팽이 김치와 치즈를 이용한 퓨전요리를 만들어 보이고 있다. 르 꼬르동 블루는 국제적인 프랑스의 요리학교로 2002년 숙명여

    중앙일보

    2004.10.24 17:51

  • [식탁혁명] 1. 탤런트 양미경씨 가족

    [식탁혁명] 1. 탤런트 양미경씨 가족

    ▶ 가족을 위해 직접 주방에서 요리하고 있는 탤런트 양미경씨. 샐러드를 만들며 소스에 넣을 레몬을 자르고 있다. 최승식 기자choissie@joongang.co.kr> ▶ 양미경씨

    중앙일보

    2004.10.17 20:31

  • 김치, 이렇게 구별한다

    중국산 김치가 식탁을 점령해 가고 있다. 올 들어 중국산 김치 수입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배가 늘었다. 관세청은 14일 중국산 김치 수입업체 40여 곳을 무더기로 적발했다.

    중앙일보

    2004.10.14 18:53

  • [week& cover story] 南에서는 전남·경남

    [week& cover story] 南에서는 전남·경남

    "앗따, 일단 물산이 풍부하잖여. 바다에, 너른 들에, 강까정(까지). 거게다(게다가) 예부터 유배온 양반님네들이 팔도 각처 음식을 다 들여왔으니…." 왜 이 지방 음식이 푸지고

    중앙일보

    2004.07.08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