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9)마산 민돌석 씨 댁 갈치젓갈김치

    마산에서 김치라면 민돌석 씨(41·마산시 동성동 96의2) 댁의 갈치젓갈김치를 빼놓을 수 없다. 특히 고향을 떠났다 오래 만에 마산을 찾는 친지들은 이 민 씨 집의 김치 맛을 반드

    중앙일보

    1977.12.07 00:00

  • 맛있는 김장담기 (1)|항아리·양념 준비

    입동을 넘긴 날씨는 언제 갑자기 추워질지 예측하기 힘들다. 배추·무우는 김장날을 잡으면서 사더라도 그 이외의 준비는 미리미리 해 놓도록 한다. 소금·젓갈·마늘·고추 등 양념과 항아

    중앙일보

    1972.11.11 00:00

  • 「식품개선」에 괄목할 연구|과학전서 선보인 새「아이디어」몇 가지

    10월5일∼11월4일 국립과학관에서 열리고 있는 제17회「과학전람회」에는 물리, 화학, 생물, 지학, 산업의 5개 분야에 걸쳐 전국각지에서 출품된 1백50점의 연구작품이 전시되고

    중앙일보

    1971.10.06 00:00

  • (8) 전라도

    「짭짤한 음식 맛」을 자타가 공인하는 전라도 지방의 김치는 역시 짭짤하고 냄새가 짙고 복합의 맛을 지니고 있다. 이 지방 여자들은 자신의 음식 솜씨에 대해 전통적으로 프라이드를 가

    중앙일보

    1970.11.14 00:00

  • (7)황해도

    시장 채소전에 가서 『고수 주세요』하면 『이분 황해도에서 오셨군』할만큼 황해도사람들은 고수를 즐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파세리」같이 잎이 자잔하고 약간 납작하면서 냉이 비슷한 모양

    중앙일보

    1970.11.13 00:00

  • 함경도

    이미 떠나 온지 20년은 넘었지만 해마다 이때가 되면 두고 온 고향의 매서운 추위가 오히려 그리워진다는「월남」작가 임옥인 여사(건국대 가정대 학장)는 특히『맵싸한 상갓 김치를 한번

    중앙일보

    1970.11.09 00:00

  • 김장

    쌀과 땔감과함께 깨 겨우살이 준비에는 김장이 소중한 역할을한다. 겨울철 식탁에는 특히 김장김치가 고기보다 더입맛을 돋워 김장은 반식량의역할을 하는셈이다. 올겨울의 김장감은 풍작이어

    중앙일보

    1968.10.26 00:00

  • 김치맛의 비결 (9개 조)

    한겨울의 양식인 감장준비를 하는 주부는 더 맛있는 김치를 담기위해 마음을 쓴다. 보다 좋은 김치를 담기 위한 방법을 김병설(숙대교수·요리연구가)씨에게서 듣는다. ①배추는 신선한 속

    중앙일보

    1967.11.09 00:00

  • 김장 맛있게 담그려면|그 요령 몇가지

    김장은 섭씨 5도안팎에서 담근후 같은 기온이 15∼20일간 계속된 후 추워지면 이상적이 다. 금년에는 11월말까지 평년보다 약간 기온이 내려갈 우려가 있다고 관상대는 예보하고있지만

    중앙일보

    1965.11.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