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양재찬이 만난 사람] “뻔한 연구는 안하는 게 낫다”

    국내 최고의 이공계 대학 KAIST(한국과학기술원)에 개혁 태풍이 몰아쳤다. 테뉴어(tenure·정년보장)를 신청한 교수 35명 가운데 15명을 탈락시켰다. 07학번 학생부터 영

    중앙일보

    2008.04.04 12:09

  • [재계 ‘고교 파워인맥’ ⑤] 큰 밭 일구는‘선비 CEO’의 본산

    다른 명문고에 비해 대전고는 “학교를 대표한다”고 할 만한 거물급 인사가 드물다. 그렇다고 큰 인물이 없다는 말이 아니다. 대전고 출신들은 ‘양반의 고장’이라는 충청도 출신이어서

    중앙일보

    2007.01.20 19:55

  • [글로벌 단독인터뷰] "한국, '위험한 이웃'중국 잘 다뤄야"

    의 저자 폴 케네디 교수. 최근 미국 쇠락론이 일면서 다시 바쁘다. 케네디 교수는 오늘의 강대국·약소국 등 세계 질서 변화를 어떻게 바라보나? 또 2007년은? 본사 윤정호 객원

    중앙일보

    2007.01.15 15:19

  •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 반대 성명 참가 학자들

    강경근(숭실대 법학과 교수), 강경태(신라대 교수), 강귀순(부산남중 교사), 강근형(제주대 교수), 강대기(숭실대 정보사회학 교수), 강명헌(단국대 경제무역학부 교수), 강석주(

    중앙일보

    2006.09.12 13:13

  • [신년 특별 대담] 공노명 前외무·박재규 前통일

    새해 남북관계는 남북 양측의 내부사정과 미국의 대테러전쟁 후속조치 등 국제정세로 인해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남측은 대통령선거와 지방자치선거 등 정치일정과

    중앙일보

    2002.01.04 00:00

  • ['상호주의' 미국 전문가 시각]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방미(訪美)중 '포괄적 상호주의' 구상을 밝힘으로써 '상호주의' 가 남북관계의 화두(話頭)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상호주의 해석과 관련,

    중앙일보

    2001.03.13 00:00

  • [해외 석학에게 듣는다] 루시안 파이 MIT 석좌교수

    ◇ 중국 '이념의 새틀' 짜야 중국은 세계 6위의 경제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한국을 포함하는 동북아지역의 세력균형에 결 정적 축을 이루고 있다. 중국과 아시아 전문가인 루시안 파이

    중앙일보

    2000.01.17 00:00

  • [경제개혁 긴급점검 대토론회 지상중계]

    "정상적 입법절차에 의해서는 경제위기 극복이 불가능하다. 대통령 긴급재정경제명령권 발동이 시급하다. " "일시적 실업을 감수하더라도 재취업확률을 높이는 쪽으로 실업정책이 이뤄져야

    중앙일보

    1998.07.24 00:00

  • '지속 가능한 시민사회' 국제세미나 지상중계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끝났지만 새로운 세계질서 (New World Order) 는 아직 보이지 않는다. 새로운 세계질서는 개개 국가와 사회들이 안정되고 건강한 '지속 가능한 사회'

    중앙일보

    1997.09.29 00:00

  • 김기인,구상,박용학,김근태,박종식,양문희,황근식등

    ◇金基仁 한국담배인삼공사 사장은 94년도 담배인삼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경영전략회의」를 24일 공사 회의실에서 개최.이 자리에는 공사본부장.국장급 이상및 제조창장.지역본부

    중앙일보

    1994.01.24 00:00

  • 박성용,강인덕,최동섭,이철,장한성,박용학

    ◇朴晟容 금호그룹회장은 光州과학기술원에 석좌교수제 도입을 위한 기금 5억원을 최근 기부. 현재 光州기술원 설립추진 준비위원장을 맡고 있는 朴회장은 이기술원을 철저히 연구중심의 기관

    중앙일보

    1994.01.04 00:00

  • 박수길.성낙승.김광웅.아쉘 나임.김영광 등

    安 秉 泰씨 金 向 洙씨 韓 萬 年씨 李 柱 天씨 ◇朴銖吉 외교안보연구원장은 22일 러시아 외무차관을 지낸 브라드미르 페테로프스키 유엔 제네바사무소 사무처장을 초청,「유엔의 예방및

    중앙일보

    1993.09.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