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삼지연촌 "천혜의 무공해 스키장"

    95년 동계아시안게임 개최지로 결정된 북한의 삼지연 (삼지연) 은 해발2천m의 고원(고원)에자리잡은 천혜의 무공해 스키장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깔나무·자작나무등 침엽원시림에 뒤덮인

    중앙일보

    1989.12.14 00:00

  • 쓸만한 물건은 거의가 수입품-「개혁」을 기다리는 소 경제의 실상

    소련을 방문하는 서방측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것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나라 소련의 경제는 한마디로 「부족의 경제」라는 사실이다. 모스크바시의 번화가인 고리키가 상점들은 무언가

    중앙일보

    1989.09.27 00:00

  • (2)사할린 교포들의 망향

    한국인의 서러움을 묻어둔 라시스카야 산록의 공동묘지는 말한다. 『조선이여』-. 무릎이 빠지도록 눈이 쌓인 그곳에는 한글 비문이 적힌 숱한 묘비들이 을씨년스럽게 서있다. 유즈노사할린

    중앙일보

    1989.02.11 00:00

  • "여제" 슈미트 등 동구 세 막강 관록 자랑

    커누가 스포츠로 정착된 것은 확실하지 않으나 1백50년 전 영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1865년 「존· 맥그리버」 란 사람이 런던에서 에스키모족의 카약을 본뜬 간단한 커누를

    중앙일보

    1988.09.10 00:00

  • (4)「백조의 호수」엔 관광객들만 법석

    『러시아를 이해하려면 모스크바에 와보고 찬미하라.』「안톤·체호프」가 한 말이다. 그러나 막상 모스크바에 가있어도 인구 9백만명의 도시윤곽을 잡기 어려웠다. 그렇다고 크렘린과 붉은

    중앙일보

    1988.06.17 00:00

  • 꽃가루 식품 유·무해론 공방|전국주부교실중앙회 세미나

    건강식품으로 최근 큰 인기를 모으고 있는 꽃가루 식품을 놓고 학계와 업계간에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다. 전국 주부교실중앙회는 25일 오후2시 동회강당에서 「꽃가루에 관한 세미나」를

    중앙일보

    1988.05.25 00:00

  • 문학 출판계 다각적 복원작업 전개|"잊혀진「북방정서」되찾는다"

    분단 40년 동안 잊혀져왔던 우리 민족고유의 북방정서가 다양한 문학출판 작업에 의해 복원되고 있다. 국토와 체제의 분할이 초래한 민족정서의 단절 및 이질화가 분단을 내면적으로 더욱

    중앙일보

    1988.01.19 00:00

  • 24개 수종 묘목값 고시|최고 31% 올려

    산림청은 9일 내년에 조림용에 쓰일 24개 수종의 묘목가격을 결정 고시했다. 이번에 결정된 묘목값은 올해보다 1%(자작나무)∼31.3%(느티나무) 올랐는데 주요 수종의 묘목값은 다

    중앙일보

    1987.12.09 00:00

  • (7) 여명 하늘과 대지(7)

    여름이 되어 들판의 곡식은 키가 넘도록 자라났고 가끔씩 비가 퍼부었다. 덕이의 아버지 큰돌은 약속대로 그의 아들을 데리고 장가를 들이기 위한 여행을 떠날 준비를 마쳤다. 갈래마을인

    중앙일보

    1986.12.06 00:00

  • (6)

    모닥불 주위에 모여 있던 자들이 한배와 우를 둘러쌌다. 두 사람을 잡은 망보기는 다른 사람들에게 빼앗길까 겁이 났던지 우선 한배와 우의 가죽띠를 풀었고 칼을 빼앗았다. 이들 무리의

    중앙일보

    1986.11.29 00:00

  • (1)여명

    대평원은 아직 어둠에 묻혀있었다. 초원을 쓰다듬고 스쳐온 바람이 멀고 먼 산맥 기슭의 숲을 향하여 미끄러져 갔고 바람 소리는 차츰 뚜렷하게 커져갔다. 그리하여 늪과 소택지에서 피어

    중앙일보

    1986.10.25 00:00

  • (1)술의 건강학①

    사람이 만들어낸 가공식품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 술이다. 원숭이도 발효된 과실주를 즐기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술의 종류는 매우 많으나 제조방법으로 보아 발효주·증류주·재제주

    중앙일보

    1986.08.30 00:00

  • 구주중부는 고구려의 식민지|일본의 뿌리 한국문화

    확실한 물적 증거가 있는데도 일인학자들은 인정하려들지 않는다. 고구려가 2,3세기께부터 7세기, 즉 망할 때까지 구주중부지대에 진출, 그곳을 식민지로 삼아 많은 물자를 본국에 조달

    중앙일보

    1986.08.28 00:00

  • 컬러로 본 「서울 올림픽 공원」

    86서울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을 치를 올림픽 공원의 4개경기장과 공원 조성공사가 끝나 웅장한 모습을 드러냈다. 서울 둔촌·방이동일대 50만6천5백평 부지에 사이클·역도·펜싱·체

    중앙일보

    1986.05.17 00:00

  • 나무가 모자란다|도시의 대기정화 주역

    5일은 41회 식목일. 한때 척박한 민둥산으로 대표되던 우리나라의 산들은 그간 범국민적인 조림사업결과 이제 어느 정도 우거진 모습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74년

    중앙일보

    1986.04.02 00:00

  • 일본제외 수출가능

    ★…오는 7월1일부터 석비· 석등등 석재가공품의 수출지역제한이 일부 풀리고 오동나무원목은 수출의 길이 트이게 된다. 산림청에 따르면 현재 석비등 석재가공품은 일본· 홍콩· 모만등

    중앙일보

    1985.06.05 00:00

  • 생태·지질구조

    백두산은 웅장한 산세와 많은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영산으로 자연생태면에서도 큰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927년 육당 최남선 선생이 쓴 『백두산근삼기』의 구절처럼 일망무제의 빽빽한

    중앙일보

    1985.03.04 00:00

  • ″고분발굴, 보존 잘할 수 있을 때까지 미루자,, | 보존기술 미숙 으로 원형상실·부식 등 우려

    한때 천마총출토의 천마도가 보존과학의 미숙 으로 원형을 상실해간다는 학계의 주장이 제기된 적도 있었고, 무령왕릉 출토유물 역시 부식이 심하다고 해서 문제가 된 적도 있었다. 문화재

    중앙일보

    1985.02.14 00:00

  • 「중앙갤러리」개관기념 | 아르누보 유리 명품전 | 「돔」형제 작 자작나무 무늬램프

    수정(수정)과 같은 투명유리, 취미를 넘어서서 다양한 색채감과 형태감, 그리고 여러기법을 적용시켜 만든 새로운 예술유리 작품을 만나게되는 소위 아르누보라는 세기말(세기말) 미술운동

    중앙일보

    1984.10.16 00:00

  • 삼림욕 수목 울창하고 경치 좋은 곳에서|휴양림 예정지 전국서 12곳 선정 산림청

    깊은 산속에서 나무들이 내뿜는 향기로 심신을 단련하는 삼림욕. 수목이 발산하는 방향성용질인「핀톤차드」가 신체의 각 부위를 활성화시켜주기 때문에 삼림욕은 건강레저로 크게 평가받고 있

    중앙일보

    1984.06.14 00:00

  • 「나무박물관」만든다|광릉임업시험장에 88년 완공

    전국 방방곡곡의 나무와 풀·꽃이 한곳으로 모여 선보이는 나무박물관이 경기도포천군소흘면직동리 광릉임업시험장 1백74만평 단지에 우리나라 최초로 만들어진다. 산림청은 70억원의 예산을

    중앙일보

    1984.04.05 00:00

  • 오왕진씨 동경서 「각문전」14일부터 서각등 160점 내놔

    한국 서각예술의 맥을 잇고있는 각장 철재 오옥광씨(50)가 동경 한국문화원에서 우리 전통서각의 진면목을 보이는「각문전」(14-20일)을 연다. 이번 일본전에는 설각 1백점, 표주박

    중앙일보

    1984.03.02 00:00

  • 3월의 산 덕유산 설중 등반

    국내 산중에 머리에 떠오르곤 하는 산이라면 아무래도 1939년 중학생때 올랐던 금강산(내금강∼비로봉∼온정리)에다가 그뒤의 한라산(관읍사∼개미등∼백록담∼남성각∼서귀포), 설악산(외가

    중앙일보

    1984.03.02 00:00

  • 산림욕|수목의 향기로 심신을 다진다

    「삼림욕」- 최근 유럽이나 일본에서 인기를 얻고있는 이름마저 생소한 신종레저다. 숲속의 상큼한 공기를 마시며 심신을 단련한다. 해수욕이나 일광욕의 원리와 같이 삼림욕은 수목 속에

    중앙일보

    1983.05.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