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가 보았습니다] 오키즈몰

    [가 보았습니다] 오키즈몰

    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역 4번 출구로 나와 70m쯤 가면 귀여운 아기 얼굴 사진이 커다랗게 걸린 건물이 나온다. 이곳은 지난해 5월까진 부도로 텅 비었던 아크리스백화점 자리다.

    중앙일보

    2005.03.07 18:16

  • [열전! 창업현장] 노점상 형제, 떴다 웹 쇼핑몰

    [열전! 창업현장] 노점상 형제, 떴다 웹 쇼핑몰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전자상거래 업체가 날이 갈수록 늘고 있다. 지난해 말 통계청이 집계한 업체 수는 3489개. 하루에도 수십 개의 인터넷 쇼핑몰이 문을 열거나 닫고 있다. 이런

    중앙일보

    2005.03.06 17:10

  • [과학으로 세상보기] 개미의 민방위경보

    우리나라는 민방위 기본법 제27조 2항(민방위 경보) 규정에 의거해 적기의 공습이나 각종 재난 발생시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경보 종류별 신호방법과 주민 행동요령이 있

    중앙일보

    2005.02.17 18:50

  • '새대가리'는 칭찬 ?

    새들은 도구를 사용하고, 숫자를 셀 수 있다. 의사소통을 위해 사람의 언어를 흉내내고, 거짓말까지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머리가 나쁜 사람을 속된 말로 '새대가리(birdbrai

    중앙일보

    2005.02.01 21:55

  • 아동비만 ↔ 정서장애

    아동비만 ↔ 정서장애

    '당신의 자녀는 뚱뚱한 편입니까. 그렇다면 아이의 '삶의 질'은 이미 떨어져 있다고 봐야 합니다.' 비만과 정서는 상호 영향을 미친다. 뚱뚱함으로 인해 정서 문제가 발생하고, 정서

    중앙일보

    2005.01.17 10:01

  • [Family/건강] 아동비만 ↔ 정서장애

    [Family/건강] 아동비만 ↔ 정서장애

    '당신의 자녀는 뚱뚱한 편입니까. 그렇다면 아이의 '삶의 질'은 이미 떨어져 있다고 봐야 합니다.' 비만과 정서는 상호 영향을 미친다. 뚱뚱함으로 인해 정서 문제가 발생하고, 정

    중앙일보

    2005.01.16 18:09

  • 디지털 국회 2차 포럼 발언록 전문

    인터넷 중앙일보 디지털 국회(www.joongang.co.kr/assembly)가 개최한 제2차 오프라인 포럼은 한나라당 박형준 의원의 주제 발표에 대해 보수 쪽에서 강화식.김경숙

    중앙일보

    2004.11.12 11:11

  • [cover story] 지독해서 더 달콤한 사랑의 향기

    [cover story] 지독해서 더 달콤한 사랑의 향기

    오랜만에 1호선 전철을 탔다. 책을 읽으며 가을을 느끼기엔 차안이 최고다. 차안은 따뜻했고 책을 잡은 마음은 설랬다. 창밖엔 붉고 노란 잎으로 물든 산줄기가 흘러갔다. 참 예쁜

    중앙일보

    2004.10.30 09:11

  • 우리 '해피' … 러닝머신 뛸 시간

    우리 '해피' … 러닝머신 뛸 시간

    국내 애견은 280만마리에 달하고 사료.위생용품 등 애견용품 시장은 8050억원 규모로 커졌다. 개가 전기 코드를 잘 물어뜯는 바람에 애견용 가전제품은 그동안 드문 편이었다. 하지

    중앙일보

    2004.10.18 18:15

  • 산만한 것도 질병, 혼내기만 했나요?

    산만한 것도 질병, 혼내기만 했나요?

    '내 아이가 공부를 못할 때 매를 드십니까'. 성적은 학생의 뇌기능과 집중력.심리 상태.노력 등 다양한 학습 수행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아이의 성적이 떨어지면

    중앙일보

    2004.10.13 09:29

  • 산만한 것도 질병 혼내기만 했나요?

    산만한 것도 질병 혼내기만 했나요?

    ▶ 공부 못하는 아이의 성적 향상을 위해선 지능검사·심리검사 등을 통해 학습부진의 원인을 밝힌 뒤 대책을 세워야 한다. '내 아이가 공부를 못할 때 매를 드십니까'. 성적은 학생의

    중앙일보

    2004.10.12 17:52

  • [신간] 우리 아이 머리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초등학생이 한자 시험에 합격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어떻게 해야 우리 아이도 저렇게 키울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그런 생각과 노력보다 중요한 건 아이들을 가르치는 우

    중앙일보

    2004.09.11 10:06

  • 왼손잡이, 임신초기에 결정된다

    임신 10주면 태아가 왼손잡이인지 여부가 결정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최소한 세 살이 지나야 알 수 있다는 일반적인 학설과는 사뭇 어긋나는 것이다. 영국 북아일랜드 퀸스 대

    중앙일보

    2004.07.23 10:22

  • [SUCCESS 인상학] 上. 아이 교육

    [SUCCESS 인상학] 上. 아이 교육

    ▶ 아이가 문제가 있어 전학시키고 싶다고요? 그러기 전에 아이 입장에서 생각해 보시죠. 마주앉아 눈맞추고 이야기하면 마음이 열립니다. 영화 ‘맹부삼천지교’의 한 장면. 몇 년 전

    중앙일보

    2004.04.22 15:27

  • 아동학대의 현황과 대책

    ◇ 들어가는 글 전 세계에서 매일 4,400명이 전쟁을 제외한 각종 폭력으로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물론 그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폭력 행위로 인해 다치거나 고통을 당하고 있으며

    중앙일보

    2004.04.02 14:03

  • 이혼 가정 자녀의 정신건강

    ◇ 부부 갈등과 아이의 적응 부부 갈등은 아이의 적응에 이혼 자체나 이혼 후의 갈등보다 더 큰 영향을 준다. (1) 증상 이러한 경우 아이들은 품행장애(conduct disord

    중앙일보

    2004.04.02 12:25

  • [계요병원] 정신질환은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계요병원[신경정신과전문병원](http://www.keyo.co.kr)원장 : 정신과전문의 함 웅알코올중독치료센터, 치매센터, 재활병동과 청소년병동 등을 갖추고 활발한 치료활동을 벌

    중앙일보

    2004.03.30 14:50

  • [가난에 갇힌 아이들] 3. 중상층 아이보다 키 평균 7.4㎝ 작아

    [가난에 갇힌 아이들] 3. 중상층 아이보다 키 평균 7.4㎝ 작아

    가난으로 말미암아 질병에 부대끼며, 질병에 걸려 있으므로 가난해지는 것-. 그것이 빈곤에 갇힌 아이들이 부딪치고 있는 질곡의 순환 고리다. 본사 취재팀이 연구기관 및 관련 단체와

    중앙일보

    2004.03.25 18:39

  • 아름다운 가슴을 위하여

    가슴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예전에는 아이에게 먹일 모유의 원천으로만 가슴이 인식됐지만 요즘은 미적인 아름다움을 빛내주는 요인으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중앙일보

    2004.03.03 11:36

  • “우리집 개구쟁이 ADHD증상 아닐까?”

    타고난 ‘개구쟁이’일까, 치료 받아야 할 ‘뇌 기능 장애’일까.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공부시간에 두리번거리며, 충동적이며, 눈물이 쏙 빠지게 야단맞고도 금방 ‘하지 말라’는

    중앙일보

    2004.02.28 11:13

  • [문화 단신] 갤러리 빗재가마 도자기교실 外

    *** 갤러리 빗재가마 도자기교실 갤러리 빗재가마는 17일부터 매주 토.일요일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프라자에서 학생들을 위한 '체험 도자기 교실'을 연다. 도예가 김용문씨가 물레작업

    중앙일보

    2004.01.11 17:30

  • 여자의 몸, 이게 궁금했다

    여자의 몸, 이게 궁금했다

    자신의 성기를 제대로 본 사람이 있나요? 시트콤 섹스앤더시티(Sex and The city)에서 나온 장면 기억하세요?요조숙녀인 샬롯이 "그걸 어찌 보니? 망측해~"라고 했더니 나

    중앙일보

    2004.01.06 15:42

  • 성장을 결정하는 요인

    키 성장에 관여하는 유전적인 요인으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부모님의 키 이외에 본인이 속한 인종, 민족, 가계, 성별, 유전적인 염색체이상, 성장호르몬 결핍 등의 선천적 대사장애

    중앙일보

    2003.11.05 15:08

  • [과학과 미래] 유전자 조작하면 쥐가 고양이 문다

    미국 록펠러 대학 프리드먼 박사는 1994년 비만과 당뇨를 앓는 쥐를 개발했다. 그 질병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잘라 없앤 것이다. 이 쥐는 보통 쥐보다 25% 정도 더 뚱뚱해졌으며,

    중앙일보

    2003.06.25 1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