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기획 특집] "테러 북한-미국 대화 걸림돌 아니다"

    토머스 허버드 신임 미국대사는 미국 국무부 안에서도 손꼽히는 아시아 전문가며 북한통이다. 남북관계와 북.미관계의 변화와 북한의 개방 움직임을 중심으로 한반도 주변 정세가 크게 바뀌

    중앙일보

    2001.10.20 00:00

  • 홍순영 통일부 장관 "북한에 쌀지원"

    홍순영(洪淳瑛)통일부 장관은 23일 "대북 쌀 지원 문제는 다른 현안과 연계시키지 않고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진행하는 게 좋을 것" 이라고 밝혀 정부가 조만간 북한에 조건없는 무상

    중앙일보

    2001.09.24 00:00

  • [평화포럼 국제회의] 국내외 석학 30여명 토론

    남북화해와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학술회의가 평화포럼(이사장 姜元龍) 주최로 5일 서울 수유동 아카데미하우스에서 열렸다. '동아시아의 평화와 화해' 를 주제로 열린

    중앙일보

    2001.09.06 00:00

  • [파월 미 국무장관 일문일답]

    한승수(韓昇洙)외교통상부 장관과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미국의 대북정책 재검토 결과를 토대로 양국의 의견을 조율했다. 다음은 회담 후 국무부 청사 현관 및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있

    중앙일보

    2001.06.09 00:00

  • 한국·미국 '대북분업' 할 때

    미국 조야(朝野)가 한반도 문제를 둘러싸고 연일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스캔들이 아닌 대(對)한반도 정책 문제가 미국 내에서 이처럼 뜨거운 쟁점으로 부각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

    중앙일보

    2001.03.29 00:00

  • [조지타운대 세미나 요지]

    미 워싱턴의 조지타운 대학에선 27일 미국내 한반도 전문가들이 모여 '변환기의 한국 - 김대중 정부 3년' 이라는 주제로 이틀째 세미나를 열었다. 존스 홉킨스 대학의 돈 오버도퍼연

    중앙일보

    2001.03.28 15:35

  • YS 회고록 요약본

    김영삼(金泳三)전 대통령의 회고록이 15일 발간됐다.‘민주주의를 위한 나의 투쟁’이란 제목의 회고록은 상·하 두권으로 합쳐서 8백쪽 분량으로 조선일보사에서 펴냈다. 金전대통령은 자

    중앙일보

    2001.02.16 00:00

  • [중앙일보 세계 지도자 특별 인터뷰]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창간 35주년을 맞은 중앙일보 독자들과 다시 만났다. 그는 지난 6월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의 남북 정상회담 개최 직전에도 "남북 정상회담

    중앙일보

    2000.09.21 00:00

  • [중앙일보 통일의식 조사] "북에 대한 인식변화 반영"

    여론조사 결과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대다수 국민이 통일의 당위성을 지지한다는 점이다. 통일문제는 21세기를 맞이하는 우리에게 민주주의 정착 및 경제의

    중앙일보

    2000.08.14 00:00

  • [정상회담 현안 풀기] 3. 기본합의서 이행

    “기본합의서 이행을 모든 대북 접촉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합니다.”수십년간 남북관계를 다뤄온 이상우(李相禹)서강대 교수의 당부다. 1992년 2월 발효된 남북기본합의서는 남북한이 화

    중앙일보

    2000.06.07 00:00

  • [시론] 남북 정상회담에 바란다

    새 밀레니엄의 시작과 함께 진정 한반도에도 새로운 기운이 오는가 보다. 그동안 말로만 무성했던 남북정상회담이 마침내 실현되게 된 것이다. 이 사건은 남북간의 어떤 대화나 접촉과도

    중앙일보

    2000.04.11 00:00

  • [남북정상회담 각계반응1]

    ◈농림부 비료 지원 등 그간 남북 협력방안을 준비해온 농림부는 남북정상회담 일정이 구체적으로 발표되자 일제히 고무적인 반응을 보였다. 농림부는 그간 민간차원의 단편적인 남북교류가

    중앙일보

    2000.04.10 11:00

  • [사설] '탈북자 외교' 이래도 되나

    '탈북(脫北) 7인의 북한 강제송환 사태' 는 우리를 한없이 부끄럽게 한다. 경과야 어찌됐든 결과적으로는 우리가 그들을 사지(死地)로 몰아넣은 것이다. 그것도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

    중앙일보

    2000.01.15 00:00

  • 북·일 일본인 처 고향방문 내년 재개

    북한과 일본 적십자사는 21일 북한에 살고 있는 `일본인 처'의 고향방문을 내년 봄 재개하고 일본인 행방불명자에 대해 북한의 해당 기관에 조사를 의뢰하기로 합의했다. 양측은 또 북

    중앙일보

    1999.12.21 23:42

  • 한·중 외교사령탑 산책·온천 1박2일 동행회담

    한국과 중국의 외교 사령탑이 '온천 외교' 를 벌인다. 10일 한국을 찾은 탕자쉬안(唐家璇)중국 외교부장은 홍순영(洪淳瑛)외교통상부 장관과 11일 경기도 이천에 내려가 온천욕을 즐

    중앙일보

    1999.12.11 00:00

  • '黨 민주화 위해 대통령과 총재직 분리해야'

    김대중 대통령의 당적 이탈을 강력히 주장해 왔던 한나라당 김덕룡 부총재가 이번에는 대통령과 당 총재직의 분리를 주장하고 나섰다. 언뜻 보면 칼날이 김대통령만을 향한 것 같지만 차기

    중앙일보

    1999.10.21 15:28

  • 탈북자 정부대책 촉구

    탈북동포들을 국제법상 난민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는 탈북난민보호 유엔청원운동본부는 8일 홍순영(洪淳瑛)외교통상부장관의 탈북자 발언에 대한 성명을 내고 "정부는

    중앙일보

    1999.10.09 00:00

  • 탈북단체, 외무부장관 발언 성명

    탈북동포들을 국제법상 난민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는 탈북난민보호 유엔청원운동본부는 8일 홍순영 외교통상부장관의 탈북자 발언에 대한 성명을 내고 "정부는 대북

    중앙일보

    1999.10.08 22:00

  • 홍순용 외교 '차관회담 상관없이 비료 계획대로 지원'

    홍순영 (洪淳瑛) 외교통상부장관은 18일 "만일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 (NLL) 과 관련해 무력도발이 아니라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의를 제기한다면 (우리측은) 이를 협의할 의사가

    중앙일보

    1999.06.19 00:00

  • [시론] 베이징회담과 서해긴장

    21일 베이징 (北京)에서 열리는 남북 차관급회담은 모처럼 찾아온 남북관계 개선의 돌파구로서 기대가 크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이나 임동원 (林東源) 통일부 장관도 이 회담이

    중앙일보

    1999.06.12 00:00

  • [레이니 前주한미국대사 특별인터뷰]

    제임스 레이니 미 에모리대 총장 (전 주한미국대사) 이 크리스챤 아카데미 초청으로 방한, 오재식 월드비전 (구 선명회) 회장과 한반도 주변정세와 미국의 정책방향에 대해 얘기를 나눴

    중앙일보

    1999.04.22 00:00

  • [열린마당]북한포용 효과없다면 정책을 바꿀수밖에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의 대북 포용정책이 도마 위에 올랐다. '포용' 이라는 말의 뜻은 남의 잘못을 덮어준다는 것일 게다. 윌리엄 페리 전 미 국방부장관은 金대통령의 대북 포용정

    중앙일보

    1999.03.10 00:00

  • [한미일 정책협의회] 북핵사찰 보상불가 美 재확인

    한.미.일 3국은 9일 정부 세종로청사에서 한반도 정책협의회를 열고 금창리 핵의혹시설 접근과 북 미사일개발 저지 등 대북 (對北) 현안에 대해 집중 협의했다. 미국은 금창리 핵시설

    중앙일보

    1999.02.10 00:00

  • [제네바 3차협의 전망]북-미 타협 가능성 전망

    16일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북.미간 3차 협의의 핵심쟁점은 금창리 지하 핵의혹시설에 대한 사찰. 이 문제가 순조롭게 풀려야만 곧이어 열리는 4자회담도 부드럽게 굴러갈 수

    중앙일보

    1999.01.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