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책 속으로] 정보, 권력의 전복자

    [책 속으로] 정보, 권력의 전복자

    인포메이션제임스 글릭 지음박래선·김태훈 옮김동아시아656쪽, 2만5000원블록체인 혁명돈 탭스콧·알렉스 탭스콧 지음박지훈 옮김, 을유문화사588쪽, 2만5000원“시간은 돈이다.”

    중앙일보

    2017.01.21 00:16

  • [매거진M] 주말에 뭐 볼래?…거친 남성 누아르 '아수라' vs 로코 퀸의 귀환 '브리짓

    이 영화, 볼만해?지금 영화관에선…[사진 `아수라` 스틸컷]  ■아수라 「각본·감독 김성수출연 정우성, 황정민, 주지훈, 곽도원, 정만식제작 한재덕촬영 이모개미술 장근영무술 허명행

    중앙일보

    2016.09.29 11:31

  • '있어빌리티' 욕구···30대 유부남, 돈 많은 총각 의사인 척

    '있어빌리티' 욕구···30대 유부남, 돈 많은 총각 의사인 척

    재력·직업 꾸며내는 ‘SNS 허언증’ 확산| “우월한 기분에 우쭐, 멈출 수가 없어”사기·유명인 사칭 등 범죄로 이어져정모(36)씨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친구들은 그를 ‘청

    중앙일보

    2016.05.21 01:06

  • 복면의 심리학…“내 정체 모르지” 과격 행동 ‘폭력·저항의 아이콘’ 복면

    복면의 심리학…“내 정체 모르지” 과격 행동 ‘폭력·저항의 아이콘’ 복면

    복면은 다양성을 띤다. 파괴와 폭력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카니발에서의 복면은 익명이 보장되는 소통의 도구다. 이나미 박사는 “복면은 중립적”이라며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중앙일보

    2015.12.05 02:05

  • 러시아인 절반 "정부의 인터넷 검열 반대하지 않는다"

    러시아인 절반 "정부의 인터넷 검열 반대하지 않는다"

    [사진 게티이미지. 러시아 국민 절반이 인터넷 검열의 필요성을 받아들인다. 그러면 이 아기들은 검열을 피하려면 이불 속으로 숨어야 할까.]러시아인의 49%는 인터넷 검열을 반대하지

    중앙일보

    2015.09.25 00:02

  • [국감] 배덕광 의원, 중앙일보 흔들며

    [국감] 배덕광 의원, 중앙일보 흔들며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미방위)의 새누리당 배덕광 의원은 21일 한국정보화진흥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21일자 중앙일보 1면에 보도된 중국 알리바바그룹 마윈 회장의 인터뷰내용

    중앙일보

    2015.09.21 15:19

  • [시사 NIE] 왜 인터넷서 원조교제 기록을 지워줬나

    [시사 NIE] 왜 인터넷서 원조교제 기록을 지워줬나

    잊혀질 권리 vs 기억할 권리 사이버 공간에 있는 내 정보를 지울 수 있는 ‘잊혀질 권리’에 대한 논쟁이 한창이다.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찬성 논리와 정

    중앙일보

    2015.08.12 00:02

  • [Saturday] "선생님도 '김치녀'인가요?" 초등 남학생까지 여성 조롱

    [Saturday] "선생님도 '김치녀'인가요?" 초등 남학생까지 여성 조롱

    옛날 이야기 하나. 하느님인 환인의 아들 환웅과 동굴에서 100일 동안 쑥과 마늘만 먹다 여성이 된 곰 웅녀가 결혼한다. 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바로 단군 왕검이다. 옛날 이야

    중앙일보

    2015.04.25 00:33

  • [Saturday] 학벌·인맥 사회의 그늘 … 타인 사칭 메신저 판친다

    [Saturday] 학벌·인맥 사회의 그늘 … 타인 사칭 메신저 판친다

    새벽 2시. SNS 메신저 알림이 깜빡인다. ‘언니 하이.’ 절친 대학 후배 A다. 반가운 마음에 채팅 창을 열고 대화를 시작한다. ‘A야 잘 지내지? ^^’ 돌아온 대답은 졸음을

    중앙일보

    2015.04.18 00:09

  • [안혜리 칼럼] 일상화한 나이 차별

    [안혜리 칼럼] 일상화한 나이 차별

    ‘만 29세 이상 출입금지(걸리면 죽음!!)’얼마 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서 우연히 본 문구다. 요즘 잘 나간다는 서울 홍대앞 한 라운지 바의 안내판을 찍은 사진이었는

    중앙선데이

    2015.04.05 03:24

  • 일상화한 나이 차별

    '미성년자 또는 만 29세 이상 출입금지(걸리면 죽음!!)' 얼마 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상에서 우연히 본 문구다. 요즘 잘 나간다는 서울 홍대앞 한 라운지 바의 안내판을

    중앙일보

    2015.04.04 22:01

  • [글로벌 워치] 한국의 언론 자유 순위가 하락하는 이유

    [글로벌 워치] 한국의 언론 자유 순위가 하락하는 이유

    스테판 해거드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석좌교수 한국이 민주국가라는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1987~88년 민주화 이래 한국에서 표현의 자유는 우려할 정도로 쇠

    중앙일보

    2015.03.21 00:02

  • [사설] 법관 윤리 저버린 현직 부장판사의 막말 댓글

    수원지법의 이모 부장판사가 인터넷에 익명으로 막말을 사용해 댓글을 달아온 것으로 드러났다. 대법원은 이 부장판사의 행위가 법관 윤리강령을 위반했는지를 조사 중이다. 그가 2008

    중앙일보

    2015.02.13 00:04

  • 인터넷 속 비밀의 공간

    인터넷 속 비밀의 공간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인터넷은 너무 거대해서 크기를 가늠하기도 어려운 빙산의 아주 작은 일각에 불과하다. 구글에서 검색을 하거나 페이스북으로 친구들과 잡담을 나누는 차원을 넘

    온라인 중앙일보

    2014.12.03 00:05

  • SNS 인맥 관리 노하우 ‘우울한 내용의 글은 올리지마’

    SNS 인맥 관리 노하우 ‘우울한 내용의 글은 올리지마’

    잘 쓰면 전화 수십 통 못지않은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작은 실수 하나가 힘들게 쌓은 인맥의 탑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인맥 관리에 노하우가 필

    온라인 중앙일보

    2014.09.26 00:01

  • 패션은 유행인가 또다른 미술인가

    패션은 유행인가 또다른 미술인가

    1 이석태 디자이너의 ‘힙스터’ 컬렉션. 1940년대 하위문화 집단이던 힙스터 문화를 테마로 삼아 디자이너 특유의 오트 쿠튀르적 감성으로 재해석했다. 2 임주연 작가의 ‘무제’.

    중앙선데이

    2014.08.16 01:19

  • [江南通新 사용설명서] 상식을 묻다

    [江南通新 사용설명서] 상식을 묻다

    르네 마그리트의 ‘골콘다’‘골콘다’(1953·겨울비). 중절모 쓴 신사가 비처럼 쏟아지는 이 작품은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작가 르네 마그리트(1898~1967)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

    중앙일보

    2014.07.16 06:42

  • [문소영의 문화 트렌드] 닭장 닮은 아파트, 병영 같은 학교 건축의 그늘

    [문소영의 문화 트렌드] 닭장 닮은 아파트, 병영 같은 학교 건축의 그늘

    요즘 나는 건축가 서현의 책 『빨간 도시』(2014)를 읽고 있다. 서문에 나와 있듯 한 마디로 “건축으로 목격한 대한민국이라는 사회”에 대한 책이다. 한국의 공공건물에 대해 저

    중앙선데이

    2014.07.13 02:06

  • [이하경 칼럼] 문창극 사퇴로 우리가 잃은 것

    [이하경 칼럼] 문창극 사퇴로 우리가 잃은 것

    이하경논설주간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사퇴로 한국 민주주의는 퇴행의 순간을 맞고 있다. 민주주의는 국민의 여론, 법치를 실현하는 정치의 시스템으로 굴러간다. 그런데 일부 언론에 의해

    중앙일보

    2014.06.25 00:32

  • [커버스토리] 확인 하느냐 무시 하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커버스토리] 확인 하느냐 무시 하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shutterstock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카톡). 휴대폰으로 문자(SMS)하듯 대부분 카톡을 쓴다. 아니, 그런 줄만 알았는데 카톡과 문자는 다르단다. 상대방이 내 문자를 읽었

    중앙일보

    2014.06.18 00:01

  • 대자보엔 온기가 있다

    지난 10년간 한국은 인터넷 선진국으로 통했다. 세계 최초로 초고속 브로드밴드 가입이 대중화된 인구 5000만의 이 나라는 “세계에서 인터넷 연결이 가장 빠른 나라”로 통하곤 한다

    중앙선데이

    2014.01.26 02:42

  • [취재일기] '찌라시'의 인격 살인 더 이상은 안 된다

    [취재일기] '찌라시'의 인격 살인 더 이상은 안 된다

    김기환사회부문 기자 지난 8월 기자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한 검사와 유명 아나운서의 파경설이 담긴 ‘찌라시’(ちらし·전단)였다. 이런 유의 찌라시가 하루가 멀다 하고 나돌았기 때

    중앙일보

    2013.10.25 00:26

  • 삶을 던지기 전 마지막 통화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했다

    삶을 던지기 전 마지막 통화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했다

    지난 15일 밤 서울 마포대교에 설치된 생명의 전화 옆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생명의 전화 위에는 시민들이 남긴 ‘넌 혼자가 아냐’ ‘죽지 마요 살아요!’ 등의 메시지가 적혀

    중앙일보

    2013.10.22 01:41

  • 역극 … 요즘 10대의 위험한 대화

    역극 … 요즘 10대의 위험한 대화

    “(목에 칼자국을 내고 피 묻은 메스를 핥으며) 어떻게 해야 재미있게 죽일까?”  “(얼굴에 상처를 내고는 머리에 총을 겨누며) 크큭, 이제는 바이바이.”  지난 10일 자정. 네

    중앙일보

    2013.10.17 0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