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조제약수난…매상 50% 줄어|잇단 약화에 시민들 불신…약국은 울상

    약국의 조제약이 수난을 겪는다. 부산친화약품에 의한 약화사고를 비롯, 곳곳에서 조제약사고가 잇따르자 감기철에 감기조제약이 특히 영향을 받아 서울, 부산 등 각 도시약국의 매상고가

    중앙일보

    1973.10.24 00:00

  • 소분 의약품의 국가검정 건의

    대한약사회는 부산기정약국의 감기조제약 치사사건이 의약품 소본업자의 소본 실수로 일어났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15일 『앞으로 소본의약품은 국가검정 없이는 팔지 않겠다』고 주장,

    중앙일보

    1973.10.16 00:00

  • 감기 약 살인

    최근 약국에서 조제한 감기 약을 먹고 부작용을 일으켜 사람이 죽은 사건이 부산과 대전에서 잇달아 발생하였다. 부산시 약사회부회장이 실험한 결과 문제의 탄산「칼슘」을 먹인 토끼는 설

    중앙일보

    1973.10.13 00:00

  • 전국 16개 종합병원에 약해「모니터」제실시

    보사부는 8일 독자적인 의약품안전성 조사체제를 갖추기위해 병원협회와제휴, 전국 16개 종합병원에 약해(약해) 「모니터」제도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는 지금까지 WHO(세계보건기구),

    중앙일보

    1973.02.08 00:00

  • 의·약 업소 감시

    서울시는 19일 시내4천3백18개 의료업소와 4천7백56개 매약 업소에 대한73년도 정기감시에 나섰다. 부정의료행위일소와 의약품거래질서확립을 위한 이번 감시에서 의료업소에 대해서는

    중앙일보

    1973.01.19 00:00

  • 8개 품목 제조 정지, 2개 허가·등록 취소

    보사부는 10월중 의약품 검정에서 불합격된 2개 품목을 허가 또는 등록 취소하고 8개 품목을 1∼6개월간 제조정지 처분했다. 행정처분 된 의약품은 다음과 같다. ▲방향관장약(한국방

    중앙일보

    1972.11.07 00:00

  • 유해야...무해냐 소비자 주목 속-두 국가기관 환만식초전

    감정에 있어서 우리나라 최고 권위기관인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국립보건연구원의 환만식초 「검증」결과가 엇갈려 적지 않은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과학수사연구소의 감정회보에 따라 환만식초

    중앙일보

    1972.02.12 00:00

  • 부정 식·약품 강력 단속

    26일 이동호 보사부장관은 올해의 행정목표를 『부정식품·부정약품을 뿌리뽑는 해』로 정하고 강력한 행정력을 동원, 불량식품·의약품의 출회 요인을 뿌리부터 막는 시책을 펴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1972.01.26 00:00

  • 국가 검정 의약품·결핵·주사·호르몬제 등 6개 약품 대중 광고 금지

    보사부는 12일 항생제를 포함한 국가 검정 의약품 등 6개 제제 등에 대해서는 일반 대중 광고를 금지하고 약국 등 의약품 판매 업소에서 의약품을 판매할 때 사은품 및 현상품을 제공

    중앙일보

    1971.11.12 00:00

  • 횡설수설 약품 감정보고-국립 보건연구원

    민간 제약회사에서 「데트라사이클린」체제약품을 제조하는 도중 유독 성분이 함유된 것을 발견, 유독 성분의 생기는 이유와 인체에 미치는 독성에 대해 분석해 주도록 국립 보건연구원(원장

    중앙일보

    1971.09.01 00:00

  • 계절적인 품목 집중검정

    서울시 약무당국은 16일 이제까지 산발적으로 실시하던 시중유통의 약품의 수거검정을 오는 9월부터는 계절적으로 수요도가 높은 품목을 골라 검정하기로 했다. 이 같은 시 당국의 계획은

    중앙일보

    1971.08.17 00:00

  • 국산 약 5.7%가 부정

    보사부는 18일 작년 1년 동안 우리 나라에서 생산된 의약품 5천2백78건을 수거, 검정한 결과 5.7%가 부정약품으로 모두 폐기 처분했다고 밝히고, 올해 의약품품질관리지침을 마련

    중앙일보

    1971.02.18 00:00

  • (10)- 세균과 싸우는 보건연구원

    『우리가 먹는 식품 속에서 생명을 좀먹는 각종 유해물질을 검출해내고 전염병균을 밝혀내는 작업은 의사의 진료행위 못지 않게 중요한 일이 아니겠읍니까?』 국립 보건연구원 세균3과장 손

    중앙일보

    1971.01.18 00:00

  • 「사카린」도 유해하다|FDA서 허가량 규제 통보

    정확한 품질검정으로 전통이 있는 미 식품의약품국(FDA)은 현재 모든 식품에 첨가해도 괜찮다고 알려진「사카린」은 안전첨가물로 인정되어 각종 통조림·과자·식이식품·「드링크」제 약품

    중앙일보

    1970.12.05 00:00

  • (하)부정약품과 과자 류 그 대책

    보사부는 현재 각종 의약품의 검정결과 유해물질이 함유, 폐기 처분하는 약품을 국민에게 공표하지 않고 보안 조치해 왔는가하면 비공개로 행정조치만을 취하고 있었다. 보사부는 이번 사이

    중앙일보

    1970.11.04 00:00

  • (상)부정약품과 과자류 그 실태

    우리 나라 전역에 팔리고 있는 일부 약품에 발암물질인 「사이클라메이트」가 포함된 사실이 밝혀지는가 하면 서울에서 일류 제과점으로 손꼽히는 업소에서 만든 빵과 과자류에 대장군, 세균

    중앙일보

    1970.11.03 00:00

  • 드링크제 등 인기약품서 사이클라메이트 검출

    보사부는 28일 D제약 제품인「박카스」등 12개 약품「메이커」의 18개 품목에서 암 유해물질인 인공 감미료 「사이클라메이트」가 포함된 반응이 나타난 데 따라 재검사에 나서는 한편

    중앙일보

    1970.10.28 00:00

  • 법제화될 속결 민원|총2,140종 대통령령으로 규제

    정부는 2천1백40종의 각급 민원사무의 처리기간을 대통령령으로 일괄 규제, 법제화키로 했다. 대통령령으로 처리기간이 정해질 민원사무는 ①국민생활과 직결되는 민원(2백40) ②출원이

    중앙일보

    1970.10.20 00:00

  • 검정단계서 저질을 묵인

    보사부의 의약품부정납품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은 납품에 따른 증수회 부정 이외에도 업자들이 당초 계약한 물품보다 저질의 약품을 납품했는데도 검정단계에서 관련 공무원들이 이를 묵인해 왔

    중앙일보

    1970.10.05 00:00

  • 백만원 이상엔 사형

    보사부는 10일 인체에 해로운 부정 식품과 의약품을 제조, 판매하는 사람들을 최고 사형까지의 무거운 형에 처하게 하는 것을 골자로 한 「특정 보건 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 조치법」을

    중앙일보

    1969.06.10 00:00

  • 끊일줄 모르는 「부정의 강」|보건3대악

    부정식품·부정의약품·부정의료업자등 이른바 「보건3대악」은 아무리 단속해도 끊일줄 모르는 부정의 강물이었다. 지난 7월20일부터 8월20일까지 한달동안 전국에 걸쳐 실시됐던 특별단속

    중앙일보

    1968.08.29 00:00

  • 의약품 검정 수수료 인상

    보사부는 25일 물가가 오름에 따라 현행 국가검정의약품의 제조에 따른 검정수수료를 인상, 항생제는 1만5천원으로(현행1만원),피임제는 9천원으로, 생물학적제제는 2만원으로(현행1만

    중앙일보

    1967.07.25 00:00

  • 무방비 상태의 안전도(하)

    농약의 잔류 독성에 관한 물의는 세계적인 현상, 이의 해독과 안전관리에 대한 연구는 60년께 부터 국제적으로 번져 이미 미국·호주·「스웨덴」·소련·서독 등이 잔류 허용도를 정하고

    중앙일보

    1967.05.30 00:00

  • 약사 감시를 공개적으로

    보사부는 18일 약사 감시를 공개적으로 실시키로 하고 전국의 의약품제조 및 판매업소에 약사 감시 검정표를 마련하도록 지시했다.

    중앙일보

    1967.03.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