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유해여부 떠나 도덕성의 문제|정제과정 등 철저히 주사해야

    「우지 라면」사건과 관련, 해당 업체들이 『정제를 해서 식품 제조에 사용하므로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는데 대해 학계에서는 『비식용 우지를 식용으로 속여 수입해온 행위는 도덕적으로

    중앙일보

    1989.11.06 00:00

  • 수입식품 안전기준 마련 급하다.

    국민의 식생활을 위협하는 각종 가공식품이나 농산물 등 수입식품이 외국으로부터 무방비 상태에서 수입돼 이를 안전하게 지켜부는 법적·제도적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같은

    중앙일보

    1989.04.20 00:00

  • 노동부 산업재해대책 주요내용

    산업재해는 올들어 5월까지만도 5만3천5백97명이 재해를 당해 매일 3백57명꼴로 재해를 입고 그중 5명이 숨지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거기다 수은중독 집단발병, 소년공 사망,

    중앙일보

    1988.07.12 00:00

  • 직업병 위험없소 특별관리|노동부 연내 전국사업 장 실태 조사

    노동부는 12일 직업병과 산업재해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국의 5인이상 고용사업장 4만6천9백여곳에 대해 연말까지 작업환경실태조사를 실시, 3등급으로 분류한뒤 C급업체는 특

    중앙일보

    1988.07.12 00:00

  • 걱정만 할 수 없는 직업병

    그동안 말로만 들어오던 직업병들이 요즘 우리의 산업현장에서도 빈발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카드뮴과 비소(비소)등 중금속에 의한 복합중독은 근육과 신경계통을 마비시키고 좀처럼 소

    중앙일보

    1988.07.06 00:00

  • 「공해 개연성」인정한 판례

    개연성이라는 말은 어떤 현상의 원인이 확실하지는 않지만『아마 그럴 것이다』라는 가능성의 정도를 인정한다는 뜻이다. 서울고법은 지난 8일 공해 피해는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어렵기 때문

    중앙일보

    1986.10.10 00:00

  • 깨끗한 수도물

    정부는 가정에 공급되는 상수도의 질을 개선키로 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언제부터인지 우리가 가정에 공급되는 수도물을 꼭지에서 나오는 그대로 마셔본 것이 무척 오래된 것 같다. 반드

    중앙일보

    1983.12.09 00:00

  • (34) 간의 기능(하)

    간장의 하는 일 중 대사이외에 중요한것은 노폐물의 제거다. 간장은 다른 기관처럼 자체활동을 위한 동맥혈관과 정맥혈관을 가진 것은 물론, 위·장 등에 모세혈관을 깔아놓고 소화관계에서

    중앙일보

    1982.10.13 00:00

  • 우유 속의 항생물질

    가족의 건강을 돌보고, 아기를 기르며, 하루하루의 식단을 꾸려 나가야하는 우리 나라 주부들이 오늘날 식품「노이로제」에 걸리지 않는 것이 도리어 이상하게끔 돼가고 있다. 참깨·고수·

    중앙일보

    1978.01.18 00:00

  • 섬유 제품에 함유된 「포르말린」|실태파악도 안된 상태

    서울동대문시장등 직물·의류상가를 지나본 사람이면 누구나 눈을 뜰수없을 정도로 눈이 쓰리며 콧속이 시큰시큰해지는 경험을 할수 있었을 것이다. 이 자극적인 냄새의 주범은 섬유제품의 수

    중앙일보

    1976.08.19 00:00

  • 스톡홀름 인간환경선언 23개 원칙(안)

    ①인간은 품위 있고 행복한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 속에서 충족한 생활조건을 향유할 기본적 권리를 가짐과 동시에 장래의 세대를 위해 그 환경을 보호하고 향상시킬 엄숙한 책임을 진

    중앙일보

    1972.06.01 00:00

  • 횡설수설 약품 감정보고-국립 보건연구원

    민간 제약회사에서 「데트라사이클린」체제약품을 제조하는 도중 유독 성분이 함유된 것을 발견, 유독 성분의 생기는 이유와 인체에 미치는 독성에 대해 분석해 주도록 국립 보건연구원(원장

    중앙일보

    1971.09.01 00:00

  • 엇갈린 주장 불량과자|소비자 당국·「메이커」 공개좌담회

    한국부인회는 18일 최근 대장균과 연쇄상구균·철편·인공감미료 등 유해물질이 검출된 소위 일류 메이커들의 제과·제빵에 관한 공개좌담회를 교육회관 8층 강당에서 열었다. 이날 좌담회에

    중앙일보

    1970.11.20 00:00

  • 무방비 식품위생|불결해질 여름 앞둔 그 실태

    여름철의 식품위생실태는 어떠한가? 우리 나라의 식품제조 및 판매업소는 접객업소를 합쳐 유허가만 해도 40여 업종에 5만3천여 개소를 헤아린다. 그밖에 무허가가 많다. 당국은 무허가

    중앙일보

    1966.06.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