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충북 축산농가 대형화등 구조개선-발전기금 조성 UR대비

    [淸州=安南榮기자]충북도는 농축산물 수입개방에 대비,내년도에2백40억원의 축산발전기금을 들여 축산농가의 대형화등 구조개선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20일 도에 따르면 이번 구조개선사업

    중앙일보

    1993.12.20 00:00

  • 도시민 「고향정취」 만끽/관광농원 인기

    ◎직접 농사지으며 자연풍치 즐겨/주말 가족단위 이용객들로 “북적” 『관광농원에서 고향을 맛보세요.』 강원도 산간계곡·해수욕장·온천·호수·사찰 등 관광지 주변에 10∼20여가구씩 농

    중앙일보

    1993.10.02 00:00

  • 보신가축-개 2백30만 마리 최고…흑염소 사육 크게 늘어

    무더운 여름철이면 입맛도, 체력도 떨어져 가끔 보신될만한 식품을 찾게 마련이다. 이에 따라 보신탕·삼계탕 집이 제철을 맞고 좋다고 소문난 식품들도 수요가 급증한다. 비단 여름철에

    중앙일보

    1993.06.23 00:00

  • 흑염소·오골계등 사육 자활사업|첫실패딛고 91,92년 1천4백만원 수입

    가족들로부터 버림받고 의지할 곳이 없어 사회복지시설에 수용 중인 65세 이상된 노인, 20세이상의 정신장애자, 지체장애자들이 자립의 길을 열어가고 있다. 강원도내 유일의 성인복지시

    중앙일보

    1993.03.28 00:00

  • 관상조류 길러 부농 꿈 일군다|경북상주 비룡리 조동준씨

    두메산골에 희귀종 관상용 새 농장을 일궈 부의 꿈을 키운다. 경북 상주군 낙동면 비룡리 산간 계곡에서 백공작·청공작·은계·금계·네팔 칼라치·긴꼬리 꿩·원앙새·뜸부기 등 1천여 마리

    중앙일보

    1992.11.01 00:00

  • 몸보신 가축사육 급증/개·메추리·사슴 등 “강정효과”

    ◎흑염소는 한해사이 64% 늘어 강장·강정식품 수요가 갈수록 늘면서 개·산양(흑염소)·오리·메추리·사슴 등 사육이 부쩍 늘어나는 반면 한동안 각광을 받았던 여우·밍크 등 모피 가죽

    중앙일보

    1992.05.27 00:00

  • 충북 수렵지역|소백산 줄기 멧돼지 출몰 잦아|올해의 허가난 사냥터|청둥오리도 쫓아 볼만|제주도 꿩 사냥 별미

    진홍색 단풍이 가을산을 뒤덮고 새하얀 억새가 바람에 날리기 시작하면 사냥애호가들의 가슴도 설렌다.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심산유곡과 갈대숲 우거진 들판을 가로지르며 날짐승을 쫓는 사

    중앙일보

    1991.11.01 00:00

  • 숙박시설 목욕탕 골프장/오수 정화시설 의무화/9월부터

    ◎축산 농가에도 폐수처리장/농어촌 하수처리장등 2백39곳 건설/ 95년까지/환경처 입법예고 수질개선을 위해 9월부터 숙박시설·목욕탕·골프장 등에 오수정화시설설치가 의무화되고 일정규

    중앙일보

    1991.04.06 00:00

  • "농촌도 유통 정보망 구축 서둘러야"

    우루과이라운드(UR) 등 개방 압력으로 농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농촌 등 지역 정보화가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체신부는 전국 우체국을 단위 지

    중앙일보

    1991.03.28 00:00

  • 사회·교양|변모하는 북한의 생활상

    KBS 제1TV『남북의 창』(4일 밤10시)=북한의 최근 변화된 여러 모습을 보여준다. 다양해지고 있는 여름철 여성패션과 팝송이 서서히 유행하고 있다는 소식, 전자 악단이 등장했다

    중앙일보

    1990.09.04 00:00

  • 미국 노예잔혹상 폭로

    『굿바이 엉클 톰』(원제 Uncle Tom)은 갤리오리 야코페티의 유작이다. 『이것은 역사적 사실이다』라는 마지막 자막은 야코페티의 냉소 어린 유언처럼 보인다. 역사는 자유의지로

    중앙일보

    1989.10.28 00:00

  • (14)양주 소놀이굿 김인기옹|소값흥정 구성진 원마부 40년

    소놀이굿은 소를 주제로 한 굿이요, 여흥의 놀이다. 한국에 있어 소는 결코 신격화된 가축은 아니다. 인도 힌두교도들처럼 신성시하여 도살과 육식을 엄금하거나 수단·에티오피아 등 동아

    중앙일보

    1988.07.05 00:00

  • (15)생산 현장 견학

    그릇·식료품·가전제품·화장품·의류 및 침구 등의 생산현장을 찾는 주부들이 계속 늘고 있다. 이른바 「주부견학단」. 왕복차편과 점심식사나 간단한 음료 및 기념품까지 제공하는 등 나날

    중앙일보

    1987.03.12 00:00

  • 오리 수입 규제

    오리 식용 붐을 타고 도입물량이 크게 늘던 오리수입이 묶이게 된다. 농수산부는 17일 축산법시행규칙을 고쳐 지금까지 수입자유화품목이던 오리를 앞으로는 정부의 수입추천을 받아야만 수

    중앙일보

    1986.07.17 00:00

  • 태도「새마을운동」큰 성과

    【동경=최철주 특파원】한국의 새마을운동이 태국국경지방의 농촌부흥을 위한 교과서로 활용되고있다. 농촌빈곤을 타개하기위해 한국에서 새마을운동의 현장학습을 마친 태국청년들이 이운동을 본

    중앙일보

    1985.10.08 00:00

  • (463) 과민성 폐장염

    우리나라 겨울의 기후는 차고 건조하다. 특히 아파트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실내공기의 건조함이 단독주택보다도 더욱 심하여 인후두염·기관지염등의 호흡기 감염에 걸리기 쉽고 기관지천식등

    중앙일보

    1984.11.24 00:00

  • 34억들여 123종 756마리가 첫선 서울대공원 희귀동물갖춰|11월 개원 앞두고 미리 만나본 동물가족

    서울대공원동물원(경기도시흥군과천면막계리청계산중턱)에 갖가지 진기한 동물들이 미국·영국·서독·일본·아프리카등 세계각국에서 들어온다. 새로 들여올 동물은 1백80종 1천19마리로 이중

    중앙일보

    1983.08.20 00:00

  • (55) 개성왕씨

    경기도 이천군 율면 오성리 조선왕조의 탄압과 핍박속에서도 4백여년간 끈질기게 개성왕씨의 혈맥을 이어온「왕서방 마을」. 마을전체 60여가구중 10여가구를 제외하고 몽땅 개성 왕씨들이

    중앙일보

    1983.03.05 00:00

  • 모유·해조류 등| 머리 좋게 한다.

    어떤 음식을 섭취하면 머리가 좋아질까. 머리에 활력을 주고 건강한 어린이로 키울 수 있는 건뇌식이 바로 그것. 식품 약품의 효능을 집대성한 중국의 「본초강목」과 『식료본초』에 소개

    중앙일보

    1983.03.01 00:00

  • (56) 700여 주민이 오리 5만 마리 길러 남태평양·호주까지 수출 길터-나주군 고동리 오리마을

    『괙괙 괙괙 삐약 삐약』 -. 마을 안이 온통 오리들의 합창으로 요란스럽다. 김씨네 「다란 (다란) 이」가 식구들을 거느리고 정씨네 담장 밖에서 「약돌이」식구를 불러내고 있다. 얼

    중앙일보

    1981.06.05 00:00

  • 국내가축 13종에 5천만 마리… 소·돼지가 4백50만 마리

    우리나라의 가축 사육두수는 소 1백76만2천두. 돼지 2백84만3천두, 닭 4천1백12만수를 비롯, 13종류에 4천9백2만7천 마리인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축산진흥회가 집계한 지

    중앙일보

    1980.04.02 00:00

  • 하루한번 소독지시|가축기르는 5천3백여 가구에

    서울시는 2일 시내일부 중심가와 변두리에서 가축을 기르고 있는 5천3백여 가구에 대해 하루한번 사육장안팎을 살균·살충소독하고 주위를 청결히 하도록 해당주민들에게 명령했다. 서울시는

    중앙일보

    1978.09.02 00:00

  • 바다 오리고기 일본에 처너수출

    【광주】전남지방에서 생산되는 바다오리 고기가 중공산을 누르고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된다. 전남도는 특수 시책사업으로 76년부터 도내 연안에 있는 부존사료를 활용하는 바다

    중앙일보

    1978.01.24 00:00

  • 순천시 비봉산 일대 등 l0여 마을에 맹수 출몰

    【순천】전남 순천시 비봉산, 승주군 조계산, 광양군 백운산 일대 10여개 마을에 지난 11월 중순부티 맹수로 보이는 산짐승이 출몰, 10일 현재까지 닭·토끼 등 1백여마리를 잡아

    중앙일보

    1976.12.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