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침팬지 22번 염색체 완전해독

    국내 연구진이 참여한 5개국 공동 연구팀이 세계 처음으로 침팬지의 22번 염색체를 완전 해독하는데 성공했다. 침팬지의 22번 염색체는 사람의 21번 염색체에 해당하는데, 이들 염색

    중앙일보

    2003.07.02 13:08

  • 지놈+IT=생물정보학…지놈지도 해독할 `나침반`

    지놈+IT=생물정보학…지놈지도 해독할 `나침반`

    지난 4월 미국 국립인간지놈연구소(NHGRI)가 발표한 99.99% 완성도의 인간지놈지도. 인체의 숨겨진 모든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는 30억쌍의 DN

    중앙일보

    2003.06.05 15:33

  • 지놈 + IT = 생물정보학…지놈지도 해독할 '나침반'

    지난 4월 미국 국립인간지놈연구소(NHGRI)가 발표한 99.99% 완성도의 인간지놈지도. 인체의 숨겨진 모든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까지는 30억쌍의 DN

    중앙일보

    2003.05.28 15:11

  • '포스트 지놈'…도전은 계속된다

    '포스트 지놈'…도전은 계속된다

    뇌신경세포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조합을 가리켜 '액손 길잡이(Axon Pathfinding)'라고 한다. 뇌세포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에 규칙적인 방향성을 부여

    중앙일보

    2003.04.24 10:33

  • "지놈지도 완성은 인류에 최고 선물"

    "지놈지도 완성은 인류에 최고 선물"

    "인간지놈프로젝트의 완성은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최고의 선물입니다." 인간지놈프로젝트(HGP)를 주도한 미국 국립인간지놈연구소(NHGRI)의 프랜시스 콜린스(47.사진) 소장은 본

    중앙일보

    2003.04.24 10:26

  • "지놈지도 완성은 인류에 최고 선물"

    "인간지놈프로젝트의 완성은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최고의 선물입니다." 인간지놈프로젝트(HGP)를 주도한 미국 국립인간지놈연구소(NHGRI)의 프랜시스 콜린스(47.사진) 소장은 본

    중앙일보

    2003.04.23 15:59

  • '포스트 지놈'…도전은 계속된다

    뇌신경세포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조합을 가리켜 '액손 길잡이(Axon Pathfinding)'라고 한다. 뇌세포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에 규칙적인 방향성을 부여

    중앙일보

    2003.04.23 15:57

  • 연세대 백융기 교수 "인간 프로테옴 국제 연구 주도"

    "인간지놈프로젝트(HGP)는 한국이 늦었지만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HPP)만큼은 앞장서야죠." 연세대 백융기(생화학과) 교수는 프로테오믹스에 대단한 열정을 갖고 있다. 지놈프로젝트의

    중앙일보

    2003.04.23 15:56

  • 인간 DNA 가진 실험동물 줄이어

    인간 DNA 가진 실험동물 줄이어

    인간의 전체 염기서열을 밝히는 휴먼지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인체의 모든 신비가 풀리고 인간은 각종 고질병에서 금세라도 해방되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염기서열

    중앙일보

    2003.04.10 10:45

  • [DNA 발견 50주년] 2. 인간 DNA 가진 실험동물 줄이어

    [DNA 발견 50주년] 2. 인간 DNA 가진 실험동물 줄이어

    인간의 전체 염기서열을 밝히는 휴먼지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 인체의 모든 신비가 풀리고 인간은 각종 고질병에서 금세라도 해방되는 줄 알았다. 그러나 그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염기서열

    중앙일보

    2003.04.09 16:12

  • 비브리오 패혈증 치료 길 열려

    '괴저병'으로 불리는 비브리오 패혈증의 치료와 예방이 가능해지게 됐다. 비브리오균 유전체 염기서열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처음으로 완전 해독됐기 때문이다. 전남대 의대 최현일

    중앙일보

    2002.12.17 00:00

  • '유전자 분석대회' 국내 첫 개최

    미리 제공된 사람과 동물의 유전자 단서를 가지고 누가 빨리 그 유전자의 기능을 찾아내는가를 겨루는 유전자 분석대회가 국내 처음으로 열린다. 한국생물정보학회와 서울대 바이오정보기술연

    중앙일보

    2002.12.03 10:52

  • '내 유전정보' CD에 담는다

    염기 30억쌍으로 이뤄진 인간 지놈의 비밀을 하루만에 해독하는 날이 올 수 있을까. 1997년 미국 메사추세츠주에서 US지노믹스㈜를 설립한 중국계 미국인 유진 챈(28)이 하루만

    중앙일보

    2002.11.21 00:00

  • 소아마비 바이러스 실험실서 인공합성 생화학 테러에 쓰일 우려

    미국의 생의학자들이 인터넷 서핑과 우편 주문 등을 통해 박멸된 소아마비 바이러스(사진)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멸종된 바이러스라도 인공합성해 치명적인 생화학적 무기로 전

    중앙일보

    2002.07.13 00:00

  • 미래 컴퓨터 '어떤게 있나'

    현재의 반도체 컴퓨터와는 전혀 다른, 차세대 컴퓨터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와 반도체 회로를 연결한 컴퓨터 개발 연구가 진행되는가 하면, 원자 하나하나를

    중앙일보

    2001.12.03 09:21

  • [미래 컴퓨터 '어떤게 있나']

    현재의 반도체 컴퓨터와는 전혀 다른, 차세대 컴퓨터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뇌를 구성하는 신경세포와 반도체 회로를 연결한 컴퓨터 개발 연구가 진행되는가 하면, 원자 하나하나를

    중앙일보

    2001.12.03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인간지놈 초안 작성 크레이그 벤터

    모든 생물은 자신이 속한 종(種)의 특성에 맞는 형태를 갖고 있다. 생명체에는 세포 속 깊숙한 곳에 자신의 형태를 만든 설계도가 있다. 이것이 바로 지놈(genome)이다. 생명을

    중앙일보

    2001.11.09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인간지놈 초안 작성 크레이그 벤터

    모든 생물은 자신이 속한 종(種)의 특성에 맞는 형태를 갖고 있다. 생명체에는 세포 속 깊숙한 곳에 자신의 형태를 만든 설계도가 있다. 이것이 바로 지놈(genome)이다. 생명을

    중앙일보

    2001.11.08 16:48

  • [방한 유전자 해석 세게 권위자 나카무라 유수케 교수]

    인간 유전자 해석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나카무라 유수케(中村祐輔.사진) 도쿄대 교수가 지난 1일 한국을 방문했다. 1일과 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일 과학기술 포럼에 참석

    중앙일보

    2001.11.05 09:31

  • [방한 유전자 해석 세게 권위자 나카무라 유수케 교수]

    인간 유전자 해석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나카무라 유수케(中村祐輔.사진) 도쿄대 교수가 지난 1일 한국을 방문했다. 1일과 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한.일 과학기술 포럼에 참석

    중앙일보

    2001.11.05 00:00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⑫

    "우리의 최종 목표는 물론 인간질병의 예방과 치료다. 셀레라 제노믹스는 기존에 확보한 데이터베이스와 컴퓨터기술을 바탕으로 유전자와 단백질 기능연구 등으로 영역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

    중앙일보

    2001.07.24 09:41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⑦

    인간 게놈지도 완성으로 발전의 속도를 높이고 있는 생명공학 벤처기업들이 서서히 첨단산업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복제와 게놈지도 등 생명공학과 관련해 불고 있는 바이오벤처 바

    중앙일보

    2001.07.24 09:35

  • [선진국 생명공학현장] 유전자지도 ④

    컴퓨터 속에서 세포 또는 생명체를 시뮬레이션으로 재구성해 생명의 신비를 풀어내는 `실리콘 생물학(Biology in Silicon)'' 시대가 열리고 있다." 미 국립보건원(NIH

    중앙일보

    2001.07.24 09:32

  • 인간 질병유전자 검색시스템 세계 첫 구축

    치매와 암, 파킨슨씨병 등 각종 인간질병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유전자발굴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처음으로 개발됐다. 바이오 벤처기업인 제넥셀㈜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중앙일보

    2001.07.12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