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정신.신체.자연,조화이루면 질병死 없다

    28,29일 이틀간 무주리조트에서는 한국.중국.일본등 동양3국의 전통의학자들이 참가한 제1회 국제양생학술세미나가 열려 관심을 모았다.이들은 한결같이『적절한 운동과 식사를 하는 야생

    중앙일보

    1994.05.30 00:00

  • 21.제주 감귤

    제주도남제주군남원읍하례리 농촌진흥청 감귤연구소는 최근 묘목으로 보존해 온 토종 감귤의 뛰어난 유전적 특성을 이용한 신품종개발에 바싹 달라붙어 있다. 품종별로 세그루씩 보존해 온 3

    중앙일보

    1994.03.18 00:00

  • 20.오리

    쌀 시장 개방이 임박한데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무공해 쌀이 인기를 끌자 오리를 이용해 벼 농사를 짓는 「오리농법」이 각광받고 있다. 한국오리협회.한국공익문제연구원.

    중앙일보

    1994.03.11 00:00

  • 홍천에 포리스토피아 조성-총 7천5백만평 광릉의 10배

    국민의 보건휴양과 자연학습,임업기술연구등을 위한 숲속의 이상향「포리스토피아」(Forestopia)가 江原道 홍천지역에 조성된다. 산림청은 18일 홍천군운두령 국유림지역에 광릉수목원

    중앙일보

    1994.01.19 00:00

  • 한국자생식물협회 회장 김창열씨

    한국자생식물협회 김창렬회장(44)은 연중 이맘때가 가장 바쁜 사람이다. 그는 요즘 이달 말께로 예정된「꽃 박람회」준비에 눈코 뜰새가 없다. 한라에서 설악까지 산과 들에 피어나는 우

    중앙일보

    1993.04.05 00:00

  • 국교중퇴가 야생화박사로-한국 야생화연구소 김태정 소장

    한국 야생화연구소의 김태정 소장(50)은 우리나라 야생식물연구의 독보적 존재로 꼽힌다. 지난 20년간 휴전선과 섬 지방을 포함해 남한의 모든 지역을 샅샅이 탐사해온 그의 머리 속에

    중앙일보

    1992.02.21 00:00

  • 우리산림 아직 어려 육림 힘써야

    무릇 산림은 인류가 지구상에 출현하면서부터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뗄래야 뗄 수 없는 환경인자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산림은 목재등 임산물생산, 국토보호,

    중앙일보

    1991.11.06 00:00

  • 자연 보존·개발 균형 절실|이경재

    인간은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자연 생태계에서 탈출해 인공 생태계를 창출하였다. 비록 인간은 인공 생태계를 만들었다해도 항상 자연 생태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우리 인간이 사용하고

    중앙일보

    1991.03.04 00:00

  • (19)킬리만자로|안보면 못 믿는 「적도의 만년설」

    지구상에 있는 해발 5천m가 넘는 고산들 가운데 아마추어 등산가들이 가장 손쉽게 오를 수 있는 산은 아프리카의 탄자니아에 있는 킬리만자로(해발 5천8백95m) 일 것이다. 7세의

    중앙일보

    1991.01.06 00:00

  • “인공적 생태계 복원은 금물”/남산 제모습찾기 전문가 제언

    ◎산토끼등 제발로 찾아 오도록 주변건물 고도제한이 급선무 서울시의 남산 제모습찾기 계획이 17일 발표되자 시민과 각계 전문가들은 『늦었지만 다행한 조치』라고 환영하며 생태계의 균형

    중앙일보

    1990.08.18 00:00

  • (1)하원에서 발해까지…동양사 5천년의 베일을 벗긴다

    1985년5월2일. 북경의 하늘은 끝없이 개 있었다. 맑은 햇빛에 초록색 기와가 반짝이는 민족문화궁에서 공동취재를 위한 협정서에 조인을 마친 취재팀은 마침내 황하탐험의 장도에 올랐

    중앙일보

    1986.04.29 00:00

  • 남극과 북극서 사는 동물들

    KBS제1TV『동품물의 세계』(11일 저녁6시15분)=「남극과 북극의 동물」. 북극곰·갈색곰·야생염소·바다오리·가마우지·사향소·펭귄·흑등고래·도둑갈매기·바다코끼등 북극과 남극에 서

    중앙일보

    1985.12.11 00:00

  • 〃죽으나 사나 금메달〃…팬티도 황금색으로 한국팀

    한국선수들은 대회가 임박하면서 외국선수들과는 달리 극도로 신경히 날키로와져 임원들을 걱정시키고 있다. 저녁식사후 외국선수들은 영화관·디스코실및 오락실에서 여가를 즐기는 반면 한국선

    중앙일보

    1984.07.25 00:00

  • 희귀동물 78종 422마리 남서울대공원서 첫날밤

    현대판 「노아의 방주」의 대이동. 남서울대공원의 새가족이되기위해 최신식 방주인 보잉747점보기를 타고 서울에 날아온 세계의 희귀동물 78종 4백22마리가 새보금자리인 경기도과천 청

    중앙일보

    1983.11.03 00:00

  • 사향 노루와 인간의 관계

    우리가 애써 야생 동유물을 보호하려는것은 그들을 지나치게 잡아 없앰으로써 멸종되지나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산이나 들에 뛰노는 짐승이나 새, 어느 고산이나 외딴 섬 바위밑에

    중앙일보

    1983.08.02 00:00

  • 희귀조와 자연보호|윤무부 교수

    황새 한 마리가 들 개울가에서 죽었다고 모든 매스컴에서 야단들이다. 그러나 작은 참새가 구운 참새 집에서 수백 마리나 죽어 가는 것은 말이 없다. 우리는 모든 들새(야생조류)를 보

    중앙일보

    1982.11.18 00:00

  • 미스터 로봇|우려되는 비인간화

    지금 이 시간에도 새로운 로보트들이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이미 돌이킬수 없는 로보트 시대로 접어든 것이다. 물론 로보트가 산업사회나 서비스사회에서 주역을 차지하기까지몇차례의 장애

    중앙일보

    1982.03.08 00:00

  • "남산은 역시 새의 낙원"

    차량소음과 매연에 찌든 도심에 자리잡고 있지만 그래도 서울남산은 새들의 낙원이다. 참새·박새·산비둘기·진박새·붉은머리 오목눈이등 텃새에다가 검은방울새·황여새·쑥새등 철새까지 어울러

    중앙일보

    1981.02.26 00:00

  • 구조된 어린이들

    7, 6, 7. 실종 28일만에 산중에서 발견된 어린이들의 나이다. 모두 미취학. 사진으로 본 이 아이들은 흡사 언젠가 외국잡지에 실린 「비아프라」기아들의 앙상하게 뼈만 남은 모습

    중앙일보

    1979.08.07 00:00

  • “농촌주택개량 최우선적으로 추진”

    박정희대통령은 14일 내무부순시에서 『다른 건축분야를 좀 누르는 한이 있더라도 농촌주택개량에 제 1우선 순위를 두어 중점적으로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박대통령은 『지방에 가보면 어

    중앙일보

    1979.02.14 00:00

  • "우리들에게도 생존권을 달라"|『에스키모』, 국제회의 개최

    줄잡아 10만 명으로 추산되는 「에스키모」들은 「알래스카」 「캐나다」 「핀란드」 「시베리아」 및 「그린란드」에 흩어져 고래나 북극곰을 사냥하면서 「이글루」(얼음집)에서 살고들 있다

    중앙일보

    1977.06.22 00:00

  • 경험 1년은 쌓아야, 20만원 투자로 월 3만원 내다봐|한쌍에 잉꼬 천원·십자매 3백원·금화조와 문조 7천원 정도

    ◇수족관 주인입니다. 30만원 정도의 자본으로 꿩·새·다람쥐 등을 사육해 볼 생각인데 ⓛ수출과 국내시장 전망 ②사육지식을 배울 수 있는 곳과 기간·비용 ③구입처 등을 알려 주십시오

    중앙일보

    1973.01.25 00:00

  • (61)원시 속에 자연을 구가하는 원주민들|김찬삼

    호주대륙 북쪽으로 달리고있는 「버스」는 「퀸즐랜드」주의「브리즈베인」시 까지 가서는 대 분수령산맥을 횡단하였다. 어떤 건조지대에 이르렀을 때 「버스」가 멎기에 그 동안을 이용하여 좀

    중앙일보

    1970.08.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