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삶과 문화] 아마존의 비명

    며칠 전 아마존에 있는 친구 카팍스의 전화를 받았다. 그는 그곳에서 태어나 30년 넘게 아마존 보호운동을 하고 있다. 요즘 그는 최악의 가뭄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아마존의 비명소리

    중앙일보

    2005.10.25 21:22

  • [이 지역 이 사람!] "달콤한 야콘 맛에 푹 빠져 볼랍니다"

    [이 지역 이 사람!] "달콤한 야콘 맛에 푹 빠져 볼랍니다"

    연구원에서 야콘 농사꾼으로 변신한 강성식씨가 야콘 뿌리를 들어 보이고 있다. 남미가 원산지인 야콘은 뿌리 모양이 고구마와 비슷하나 맛은 배처럼 청량감이 있다.충북 옥천군 이원면 건

    중앙일보

    2005.10.08 09:05

  • [이상희의 색 다른세상] 빨간 입술의 유혹

    [이상희의 색 다른세상] 빨간 입술의 유혹

    용인 에버랜드에서 백합축제가 한창이다. 흰 백합 물결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본 사람은 안다. 백합은 고귀함과 순결을 나타내고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해 심신의 저항력을 높여준다. 꽃의

    중앙일보

    2005.07.21 16:15

  • 원시 속의 고급 리조트,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바루

    원시 속의 고급 리조트,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바루

    말레이시아의 코타키나바루는 때묻지않은 자연 환경과 고급 리조트로 휴양지로서 명성을 얻고 있다. 코타키나바루는 보르네오섬 북단에 위치한 사바주의 도시. 사바는 '바람 아래 땅'으로

    중앙일보

    2005.06.27 10:10

  • [독도 그 섬엔…] 1. 풍광이 천연기념물

    [독도 그 섬엔…] 1. 풍광이 천연기념물

    독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동쪽에 있는 작은 돌섬이다. 크기도 5만5000여 평에 불과하고 사람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인간적'인 섬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중앙일보

    2005.06.08 05:42

  • [week& In&Out 레저] 쪽빛 바다와 떠나는 '스크린 투어' 한려수도 300리

    [week& In&Out 레저] 쪽빛 바다와 떠나는 '스크린 투어' 한려수도 300리

    5월의 남해안 쪽빛 바다는 마음을 들뜨게 한다. 빼어난 곡선미의 해안을 따라 흩뿌려진 보석 같은 섬들은 나그네의 마음을 단박에 사로잡는다. 한려수도와 다도해로 대표되는 남해안의

    중앙일보

    2005.05.26 16:48

  • 허브로 10억 매출 올린 '서울농부'

    허브로 10억 매출 올린 '서울농부'

    ▶ 로즈메리.라벤더 등 140여종의 허브를 키우고 있는 조강희씨가 자신의 농장 온실에서 꽃이 만발한 갖가지 허브를 돌보고 있다. "흔히 허브 하면 향기가 좋다는 정도만 떠올리지만

    중앙일보

    2005.04.26 18:40

  • [시론] 돌아오라 크낙새여

    이른 아침 고요한 광릉숲 속을 걷다보면 '딱딱 따다다닥~ 딱딱~'하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다. 참나무.소나무 등 오래된 고목 줄기를 딱따구리가 두드리는 소리다. 조용히 다가가

    중앙일보

    2005.03.24 18:42

  • [박태균 기자의 약선] 스피룰리나

    용수철처럼 생겼다. 그래서 이름이 나선형(spiral)을 뜻하는 스피룰리나(spirulina)다. 지구에서 가장 먼저 생겨난 생물체. 지구의 탄생 시기는 지금부터 40억년 전인데

    중앙일보

    2005.01.21 09:22

  • [박태균 기자의 약선] 스피룰리나

    용수철처럼 생겼다. 그래서 이름이 나선형(spiral)을 뜻하는 스피룰리나(spirulina)다. 지구에서 가장 먼저 생겨난 생물체. 지구의 탄생 시기는 지금부터 40억년 전인데

    중앙일보

    2005.01.20 15:16

  • [week& In&Out 레저] 눈과 얼음의 세계로 은빛 유혹

    겨울방학도 반쯤 지났다. 구들장을 지기 시작한 아이들 등이 근질근질해질 무렵이다. 덩달아 들볶이는 엄마.아빠의 짜증 지수도 고조될 때다. "추우니까 가만히 있자"는 회유와 협박은

    중앙일보

    2005.01.13 15:42

  • 제주 특산식물서 항암물질 개발

    제주도 특산식물인 솔비나무에서 항암제로 활용할 수 있는 신물질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중앙대 약학대학 김하형(金夏亨) 교수 연구팀은 11일 제주도 특산식물 솔비나무로부터

    중앙일보

    2004.11.11 15:09

  • 홍당무 껍질茶 성인병 예방에 효과

    홍당무껍질 차는 동맥경화, 심근경색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크며 항암작용도 한다고 북한 의학관계자가 15일 밝혔다. 북한 고려의학과학원 신혜영 과장은 이날 북한방송에

    중앙일보

    2004.09.15 09:12

  • 김치 유산균서 천연 항생물질 대량 생산

    김치 유산균에서 천연 항생물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서울대 강사욱(姜思旭.52) 교수팀은 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를

    중앙일보

    2004.08.31 10:03

  • 티베트 전통 약품, 경제에도 '약발'

    티베트 전통 약품, 경제에도 '약발'

    재래식 방법으로 만들어진 약품이 '세계의 지붕' 티베트의 주요 수입원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고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FT)가 보도했다. 불교에 바탕을 둔 티베트의 전통 약품은

    중앙일보

    2004.07.05 17:57

  • [사람 사람] "호주 자생식물 300여종 국내서 감상을"

    [사람 사람] "호주 자생식물 300여종 국내서 감상을"

    동양 최대의 민간 식물원인 한택식물원(경기도 용인시 백암면 소재)의 이택주(63)원장이 29일 주한 외국대사 부인들의 봉사단체인 '가든클럽' 회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 식

    중앙일보

    2004.04.29 17:55

  • [week& 레저] '티베트' 지구 끝 무인구엔 절대 고독과 태고의 별빛

    [week& 레저] '티베트' 지구 끝 무인구엔 절대 고독과 태고의 별빛

    ▶ 무인구에서 만난 유목민. 티베트 전통 의상의 다채로운 색이 눈길을 끈다. 지구 끝 無人區엔 절대 고독과 태고의 별빛 '저 높은 정신의 땅'을 가다 티베트(Tibet). 세계의

    중앙일보

    2004.01.29 16:08

  • [week& Leisure] 나, 여름으로 간다

    [week& Leisure] 나, 여름으로 간다

    호주 내에서 유일하게 인도양과 만나며, 호주 대륙의 3분의 1 정도를 차지할 만큼 땅덩어리가 넓은 주(州)인 서호주(Western Australia). 한국인 여행자에게는 아직 생

    중앙일보

    2003.12.18 15:47

  • [week& life] 선유도의 풍경들

    선유도공원은 합정동과 당산동을 잇는 양화대교의 중간지점에 자리잡고 있다. 양화대교 쪽 입구나 양평동과 선유도를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다리인 선유교를 통해 접근한다. 공원은 수질정화원

    중앙일보

    2003.10.30 16:25

  • 미래의 백신 맞지 않고 먹는다

    독감예방 백신을 맞는 철이다. 그러나 일부러 병원을 찾아가 백신주사를 맞아야 하고, 자칫 고열 등 부작용을 겪기도 한다. 그러나 앞으로 몇 년 안에 병원에 가지 않고도 토마토나 시

    중앙일보

    2003.10.01 15:54

  • [week& 맛] 서울서 맛보는 동남아 食

    [week& 맛] 서울서 맛보는 동남아 食

    베트남 쌀국수는 아오자이 차림의 아름다운 베트남 여인을 연상시킨다. 쌀로 만든 투명한 국수 가닥이 몸매를 살짝 내비치는 아오자이를 닮았다. 인도 여인들은 박음질 없는 천옷인 사리를

    중앙일보

    2003.06.26 14:58

  • 나비의 특이한 생존 전략

    생물에게는 가능한 한 오래 살며 자손을 많이 퍼뜨리려는 본능이 있다. 봄의 상징인 나비도 마찬가지다. 생존률을 높이려는 나비의 노력은 알 낳을 장소를 택하는 부모의 행동에서 시작된

    중앙일보

    2003.04.16 15:58

  • [지구는 신비 덩어리] 3. 심해의 생물

    불과 1백50년 전만 해도 사람들은 심해에 생물이 살고 있지 않다고 생각했다. 박물학자 에드워드 포브스(1815~1854)는 약 2천5백년 전 아리스토텔레스가 에게해에서 관찰했던

    중앙일보

    2003.03.26 15:41

  • [STOP! 노화] 13. 중국의 장수村 난퉁市

    [STOP! 노화] 13. 중국의 장수村 난퉁市

    황해(黃海)로 흘러드는 장강(長江)하류의 남쪽에 상하이(上海)가 있다면 북쪽엔 난퉁(南通)이 있다. 8천㎢ 면적에 인구 7백86만명인 이곳은 1984년 중국의 14개 연안 개방 도

    중앙일보

    2003.03.26 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