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울시/주택용적률 대폭완화/백%늘려 4백%로

    ◎소규모주택 공급 늘어날듯/빠르면 7월 시행 서울시는 3일 심각한 주택난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3백%로 돼있는 주거지역 용적률(대지면적에 대한 건물연면적 비율)을 4백%로 대폭 늘

    중앙일보

    1990.05.03 00:00

  • 지방계획도시 육성 시급하다/수도권 인구분산과 주택2백만호 건설

    ◎물량공세론 유입만 가중/“자급자족형” 신도시 건설해야/택지개발 수도권 집중도 큰 문제 수도권 인구분산정책이 실종됐다. 지역균형개발이나 농어촌개발등 지난 20여년간 정부의 일관된

    중앙일보

    1990.04.03 00:00

  • "낙후강북" 되살려 지역격차 해소|「강남·북 균형발전 종합대책」세부내용

    서울시의 「강남북 균형발전 종합대책」은 68년이후 20여년간 편중돼 왔던 강남개발에서 선회,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온 강북의 재활성화로 방향을 바꾸기 위한 것이다. 이 계획은 그러나

    중앙일보

    1990.01.05 00:00

  • 수도권외엔 건축규제 완화

    앞으로 수도권이외의 지역에서는 각종 건축물의 건축기준·토지이용 규제 등이 크게 완화된다. 건설부는 최근 수도권과 수도권이외의 지역이 일률적인 건축기준·토지이용규제를 받게 되어있는

    중앙일보

    1986.02.04 00:00

  • 문답으로 풀어보는 「신축건물 고도제한」|종전 15층이하는 더 높여

    -서울시장의 지침에 의한 4대문안 고도제한조치가 백지화 됐다는데 . ▲서울시는 인구의 도심집중을 억제하고 고층건물의 높이를 들쭉날쭉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한다는 취지로 81년5월부터

    중앙일보

    1984.11.17 00:00

  • 인구·산업 적절한 재배치

    수도권정비기본계획은 82년 말 제정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수도권의 인구 및 산업을 적절하게 배치하기 위해 만든 기본지침이다. 이 기본계획에 따라 수도권전역에서 앞으로는 정부청사

    중앙일보

    1984.05.10 00:00

  • 수도권 공장 신증축땐 각종 세금 5배로

    정부는 수도권 인구 억제를 위해 서울 강북 지역에 고교 신설을 금지하고 올해부터 공동학군을 축소 조정, 81년부터 강남·강북의 학군을 점차 분리키로 했다. 3일 관계부처에 시달된「

    중앙일보

    1978.01.24 00:00

  • 수도권 인구 재배치 계획 세부내용

    (과도한 예산과 인력의 신규 소요 없이 77년 중에 시행에 옮길 수 있는 시책) ◇막는 시책 ▲공장 신·증설억제=수도권에서는 공장의 신설을 금지. 다만 공업지역은 증설만을 허용하

    중앙일보

    1977.03.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