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중국, 대북제재 말 아닌 행동 나서

    중국, 대북제재 말 아닌 행동 나서

    중국이 핵·대륙간탄도미사일(ICBM)·생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WMD)로 전용될 수 있는 900여 개 품목과 기술을 북한에 수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일보

    2013.10.17 02:03

  • [전문가 칼럼] '731'표기 항공기서 손가락 세운 몰지각한 아베

    [전문가 칼럼] '731'표기 항공기서 손가락 세운 몰지각한 아베

    일본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가 731이란 숫자가 표시된 자위대 비행기에 올라 엄지 손가락을 치켜들고 찍은 사진을 언론에 공개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일본 자위대 비행기에 731이

    중앙일보

    2013.05.28 03:40

  • 황사·방사능 오염 찜찜하다면 … 클로렐라와 친해져라

    황사·방사능 오염 찜찜하다면 … 클로렐라와 친해져라

    요즘처럼 외출이 꺼려질 때도 드물다. 일본 원전에서 나온 방사능 물질이 전국에서 검출된 데다 중금속을 함유한 황사 시즌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30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4월은 사상

    중앙일보

    2011.04.04 00:16

  • 전면전 때는 南 확실한 우위, 국지도발 때는 北 파괴력 갖춰

    관련사진공군 장병들이 F-15K 전투기에 슬램이알 공대지공 유도미사일을 장착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불타는 연평도, 무너진 믿음2010년 11월 23일 북한은 연평도에 수백 발의

    중앙일보

    2010.12.30 15:58

  • [e칼럼] 로켓공학의 아버지 베르너 폰 브라운(8)

    [e칼럼] 로켓공학의 아버지 베르너 폰 브라운(8)

    미국의 달 탐사계획인 아폴로 프로젝트는 사실상 로켓공학의 아버지 폰 브라운의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The dangers that face the world can,

    중앙일보

    2010.12.28 05:42

  • 일본, 태평양 전쟁 때 부산서 세균무기 실험

    일본, 태평양 전쟁 때 부산서 세균무기 실험

    일제가 태평양전쟁 중이던 1944년 부산에서 세균무기 실험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 최근 출판된 『육군 노보리토(登)연구소의 진실』에서다. 노보리토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세균무기 개

    중앙일보

    2010.08.13 02:23

  • “731부대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일본 731부대’는 2차 세계대전 때 ‘마루타 생체실험’으로 악명을 떨쳤다. 관동군 산하 세균전 부대로 한국·중국인을 대상으로 해부와 냉동 등 비인간적인 생체실험을 자행했다. 중

    중앙일보

    2010.02.08 03:40

  • 실리콘 나노 센서로 폭탄·세균 테러 걱정 ‘뚝’

    실리콘 나노 센서로 폭탄·세균 테러 걱정 ‘뚝’

    광나노소재연구실에서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손홍래 교수와 장승현 박사.국내에서 기능성 실리콘 나노소재를 이용한 화학 및 생물센서로 폭발물·화학신경제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중앙일보

    2009.03.26 09:15

  • [e칼럼]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를 부활시키다-중

    [e칼럼]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를 부활시키다-중

    1970년대 인기리에 상영된 스릴러 영화 가운데 카산드라 크로싱(Cassandra Crosing)이라는 영화가 있다. 어느 연구소 창고에 안전하게 보관돼 있는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

    중앙일보

    2009.03.10 09:12

  • 화장품에도 활용되는 ‘마법의 방사선’

    화장품에도 활용되는 ‘마법의 방사선’

    방사선이라고 하면 무섭다는 생각이 먼저 들지만 사실 방사선은 지구의 역사만큼 긴 역사를 갖고 있다. 인간이 방사선의 존재를 오랫동안 인식하지 못했을 뿐이다. 그러나 공기·나무·흙

    중앙선데이

    2007.07.21 18:34

  • [생활과학] 초음파 생활 속 파고든다

    초음파가 생활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 가습기나 건강 진단 정도에 쓰이던 것에서 벗어나 과일이나 야채에서 농약을 깨끗이 없애주고, 치아의 플라크를 제거하는가 하면, 해충 퇴치.피부

    중앙일보

    2003.02.26 15:57

  • 美 생물무기 연구 극비 진행

    [뉴욕=연합] 미국 정부가 지난 수년간 생물무기 연구를 비밀리에 진행시켜 왔다고 뉴욕 타임스가 4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정부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부터 세

    중앙일보

    2001.09.05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 바이러스와 반세기 (43)

    43. 구소련 군의관의 폭로 세균전은 태평양전쟁 뿐 아니라 한국전쟁에서도 뜨거운 논쟁거리로 부각된다. 냉전시대에도 나는 세계보건기구 자문관 자격으로 중국이나 소련 등 당시 적성국가

    중앙일보

    2000.12.11 00:00

  • [기업 다이제스트]서울우유 협동조합, '푸르네치즈'개발 外

    ◇SK㈜는 13일 금속가공유등 특수 윤활유를 생산판매하는 자회사 SK훅스의 보유주식 (지분율50%) 전량을 이달중 독일 훅스사에 매각키로 양사가 합의했다고 밝혔다. ◇동양화학공업은

    중앙일보

    1998.05.14 00:00

  • 세균폭탄으로 테러가능성 높아

    [런던 로이터=연합]수백만명의 인명을 한꺼번에 살상할 수 있는 세균폭탄 테러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고 영국의 전문지뉴사이언티스트 매거진이 8일 보도했다.이 잡지는 탄저병 포자

    중앙일보

    1996.05.10 00:00

  • DDS 국내연구 활기

    약물포탄을 가득 실은 DDS비행기편대가 인체 속으로 출격을 시작했다.비행기에는 이미 목표물까지 찾아가기 위한 열추적 장치가 설치돼 있고,인체의 면역기지에서 쏘아대는 백혈구와 분해효

    중앙일보

    1995.09.16 00:00

  • 북한 생화학무기 보유/안기부 국감보고

    ◎페스트등 13종…6곳에 비축/스커드에 장착… 남전역 위협/협상카드 이용 가능성… 사찰 필요 북한은 최근 대량생산 및 살상효과가 높은 생화학무기 개발에 착수,장티푸스·결핵·발진티푸

    중앙일보

    1992.10.23 00:00

  • (11) 유전자공학

    출발한지 7년밖에 안되는 유전공학은 그 가능성 때문에 지금은 어느나라, 어느기업을 막론하고 일단 욕심을 낼 만한 분야로 꼽히고 있다. 80년 미기술평가국의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서기

    중앙일보

    1983.01.18 00:00

  • 서울대 암연, 단클론항체 실험 착수

    서울대 의대 암연구소는 최신 생명과학기술인 세포융합법에 의한 항체제조 실험에 착수했다. 이 연구소는 앞으로 1년간에 걸쳐 단클론항체를 실험 생산할 예정이다. 단클론 항체는 질병의

    중앙일보

    1982.04.23 00:00

  • 생화학무기 순간마비서 죽음에까지|소「황색의 비」충격을 계기로 그 실체를 알아본다

    『전쟁이 계속되고 있던 어느날 대규모 군수공장이 있는 도시의 주민들이 갑자기 목을 움켜쥐고 가슴을 쥐어뜯기 시작했다. 대소변과 구토가 계속되는 가운데 몸부림을 치던 사람들은 몸이

    중앙일보

    1981.09.21 00:00

  • 항생제가 맥을 못쓴다

    항생제를 함부로 쓰기 때문에 세균들이 강해져 우리 나라에선 항생제들이 제대로 맥을 쓰지 못한다는 보고가 나와 경종이 되고있다. 최근 국립보건연구원은 각종 세균성 질병에 만능특효약으

    중앙일보

    1973.09.21 00:00

  • 미래기술 어느 해 무엇이 실현되나

    얼마 전에 미국의 저명한 출판사인 「매그로힐」사에서 제2회 미래 기술예측 결과를 발표했다. 동사는 지난 초년에 제1회 미래 기술예측 결과를 발표한바 있다. 이번에는 그 제1회 예측

    중앙일보

    1973.02.05 00:00

  • 인도적이냐 비인도적이냐|「딜레머」에 빠진 미 생화학병기|여론은 "반대"…골치 아픈 군당국

    인류살상을 위한 무기의 개발은 한이 없다. 핵폭탄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미소가 끈질기게연구 개발하고있는 생물화학병기가 바로 그것. 「캄보디아」정부는 25일 월남에서 미군이벌인 고엽작

    중앙일보

    1969.06.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