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8개 국립대학 73년까지 사립화

    문교부는 13일 서울대학교를 제외한 충남·전남·전북·경북·부산 등 5개 국립종합대학교와 춘천농대·충북대·제주대 등 3개 국립단과대학 등 모두 8개 국립대학을 오는73년까지 연차적으

    중앙일보

    1966.01.13 00:00

  • 전기대학 입시가이던스

    금년도 전기대학의 신입생 전형도 앞으로 보름 남짓. (전기=1월31일·후기=2월18일) 벌써일부 대학에서는 입학원서접수가 한창이다. 국민학교에 입학해서부터 진학할 때마다 번번이 시

    중앙일보

    1966.01.12 00:00

  • 학사등록제 반대

    전국18개 국·공·사립종합대학교 교학 처장들은 8일하오1시 서울시내「앰버서더·호텔」에서 모임을 갖고 학사등록제와 대학정원 령 및 사립대학 등록금인상등 각 대학이 당면하고 있는 모든

    중앙일보

    1966.01.08 00:00

  • 11대1의 첫 [좁은 문]

    예년과 달리 같은 날짜에 신입생을 전형키로한 서울시내 22개 국립·사립 초등학교에서는 명년도 신입생 전형을 15일상오 9시부터 일제히 실시했다.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국민교의 1

    중앙일보

    1965.12.15 00:00

  • 학사등록제·정원규제 대책 의논

    서울시내 10개 사립대학 총장들은 문교부가 확정한 학사 및 석사등록제와 명년도 대학입시 신입생모집 정원책정에 충격을 받고 15일 조선[호텔]에서 긴급회의를 소집 대책을 논의했다.

    중앙일보

    1965.12.15 00:00

  • 치열한 [노크]|각사 신입사원 채용시험 그 분석

    졸업을 앞둔 새학사후보들의 얼굴에선 공무원이나 일류기업체의 비좁은 취직전선에 시달려 밝은 빛을 찾기 어렵다. 내년 봄 대학을 나오는 새학사는 약 2만3천명, 게다가 이미 대학을 졸

    중앙일보

    1965.12.11 00:00

  • 6개 사립국민교 인가

    서울시교육위원회는 2일 6개 사립국민학교 설립을 인가했는데 그 명단은 다음과 같다. ▲유석국민학교(마포중·고교재단) ▲홍익국민교(홍익대학재단) ▲대광국민교(대광중·고교재단) ▲운화

    중앙일보

    1965.12.02 00:00

  • 6일부터 원서접수

    서울시내 25개 사립국민학교 및 2개 대학교 부속국민학교는 1일 일제히 66학년도 신입생입학을 팔기 시작했다. 원서접수는 6일부터 10일까지, 시험은 15일∼16일 양일간이다.

    중앙일보

    1965.12.01 00:00

  • 자라는 새세대 7백만 어린이|건강 처방전|세계 소아과계의 최고권위 여섯 박사에게 물어본다|본사주최·대한소아과학회와의 좌담회에서

    부모에게는 자기네들 어린이만큼 소중하고 귀여운 것이 있을 수 없다. 잘 생겼든 못생겼든 말을 잘 듣든 잘 안 듣는 어린이만큼 소중하고 귀여운 것이 더 있을 수가 없다. 그런 만큼

    중앙일보

    1965.11.09 00:00

  • (5) 대학의 연구 기관

    대학은 글자 그대로 상식 또는 교양을 배우는 곳이 아니라 자신이 택한 전문적 학문을 폭넓게 또 깊이 파고드는 연구기관 이기도하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대학은 아직도 교양과 상식을

    중앙일보

    1965.09.27 00:00

  • (4) 기업화한 한국대학

    『학교를 하면 일확천금을 할 수 있단다.』 …우리 나라에는 어느 때부터인가 이런 소문이 입지전의 좌우명처럼 되어왔다. 해방 전 또는 해방 후 조그마한 학원 또는 사설강습소에 불과했

    중앙일보

    1965.09.25 00:00

  • (1)자유의 장

    [학원의 위기]라는 말과 함께 학문연구의 자주성이 많이 논의되고 있다. 학생들의 한·일 협정반대「데모」가 심해지면서 정부당국의 대학에 대한 감독권 강화방안이 줄기차게 계속되는 동안

    중앙일보

    1965.09.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