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6개 간선도로 정비

    서울시는 17일 봄철을 앞두고 시내 중앙청∼원남동∼종로5가 노선 등 시내16개 주요간선도로를 중심으로 봄맞이 환경정비작업에 나섰다. 3월말까지 실시될 봄맞이 환경정비는 해빙기대책으

    중앙일보

    1972.02.17 00:00

  • 질서 잃은 건축행정

    고층건물이 들어설 수 없는 지역에 버젓이 건축허가를 내주고 위법 건물로 일단 철거했던 지역에 똑같은 조건으로 건축허가가 새로 나가는 등 최근 서울시각구청의 건축 행정이 질서를 잡지

    중앙일보

    1971.09.07 00:00

  • 세종로 지하도 침수

    17일 새벽 불과 4∼5시간 동안 갑자기 내린 폭우로 서울에서만 30명이 사망하고 1천2백여 가구가 한때 침수, 3천여 명이 대피하는 소동을 벌였다. 침수지역은 도심지 9개소를 비

    중앙일보

    1971.07.17 00:00

  • 서울은 물에 약하다

    지리한 장마가 계속되고 있다. 비만 오면 서울시내는 항상 물난리를 겪고 곳곳에서 축대와 건물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일으키며 낮은 지대에서는 침수소동이 일어난다. 위험한 건물이나

    중앙일보

    1971.07.13 00:00

  • 위험 축대 3백74개

    서울시는 5일 장마철을 앞두고 시내 1백45개소 위험 축대를 모두 5윌말까지 완전 보수하라고 지시했다. 시는 이들이 5월까지 보수하지 않을 경우 강제 철거 등 행정 집행권을 발동키

    중앙일보

    1971.04.06 00:00

  • 위험 아파트 두곳

    서울시경은 지난 2월 한달동안 서울시내 1백14개 지역의 아파트 7백14동에 대한 안전도 조사결과 2개소가 위험 아파트로 입주를 시킬 수 없을 정도이며 60개소가 불안전한 것임을

    중앙일보

    1971.03.04 00:00

  • 허술한 「수방」2백75개소

    서울시내의 위험축대. 위험「아파트」등 수방상 위험한 곳이 모두 2백75개소가 있음이 2일 서울시경소방과의 조사로 밝혀졌다. 경찰에 따르면 위험「아파트」를 포함한 위험건물이 1백4동

    중앙일보

    1970.07.02 00:00

  • 수방대책의 만전

    호우는 그쳤으나 본격적인 장마가 예보되고 있다. 관상대에 의하면 본격적 장마전선은 26일현재 북위 30도 근처에서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으나 멀지않아, 어쩌면 수일 이내에 전국에

    중앙일보

    1970.06.27 00:00

  • 서울은 비에 약했다

    비에 수방대책은 너무 허술했다. 25일 내린 집중호우로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서 11명이 목숨을 잃고 7명이 실종, 8명이 부상하는 등 26명의 인명피해를 냈으며 6천8백55동의

    중앙일보

    1970.06.26 00:00

  • 제1한강교 축대붕괴

    21일 하오 6시쯤 서울 제1한강교 중지도 왼쪽 제l번 교각을 받치고 있던 축대가 길이 10m 높이8m 너비3m쯤 무너져 내리고 교각 위 시멘트가 약3m 둘레로 내려앉아 인도교의

    중앙일보

    1970.04.22 00:00

  • 봄을 맞아

    오랫동안 맹위를 떨치던 동장군도 물러가고 개나리꽃이 피고 봄바람이 불어와 이젠 완연한 봄을 즐기게 되었다. 봄철이라 온몸이 나른하고 고단하며 우선 만성질환자들의 병세가 악화될까 걱

    중앙일보

    1970.04.13 00:00

  • 아파트 61동이 결함

    서울 시경은 10일 하오 서울시내 37개 지구 4백6동의 시민 「아파트」에 대한 일제 안전도 진단을 실시한 결과 61동이 부실함을 밝혀내고 이를 검찰에 보고했다. 이 부실 시민 「

    중앙일보

    1970.04.11 00:00

  • 봄맞이 환경정리

    따사로운 봄의 입김이 추녀끝에서 안방구석구석에 까지 깊숙이 파고드는 3월-. 요즘의 이상기온이 풀리면 주부들의 일손은「봄맞이 단장」에 바빠진다. 창문의 문풍지도 뜯어야하고 겨울동안

    중앙일보

    1970.03.06 00:00

  • 전국에 물난리

    중앙재해 대책본부는 이번 장마로 19일 정오현재 사망18명, 부상7명, 실종5명등 인명피해와 1천2백78명의 이재민, 그리고 4억7천만윈의 재산손실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피해내용

    중앙일보

    1969.07.19 00:00

  • 대책없는 수방

    본격적인 장마철을 앞두고 서울시의 수방 대책은 허술하기 이를데없어 오는 장마에도 물난리를 면치 못할것 같다. 17일 서울시 집계에 따르면 하수도시설을 당장해야할곳이 2백59개소 3

    중앙일보

    1969.07.17 00:00

  • 위험축대 보수령

    서울시는 12일 해빙기에 접어들면서 무너질 염려가 있는 위험건물과 축대를 소유주로 하여금 자진 철거하거나 보수토록하라고 각 구청장에게 지시했다. 서울시는 또한 위험건물에 사는 시민

    중앙일보

    1969.02.12 00:00

  • 예산 없는 수방 대책

    장마철을 앞두고 건설부 안에 설치된 중앙 풍수해대책본부는 예산당국에 6천8백23만원의 수해대책 비(예비비)를 요청했으나 예산조처가 되지 않아 운영비를 비롯한 긴급 수방자재의 확보,

    중앙일보

    1968.07.06 00:00

  • 「A급위험」에강권

    서울시는 5일 A급 위험축대로서 아직까지 보수되지않은 시내 24개 축대 소유주에게 금주말까지 보수하지않으면 강제철거하겠다고 통고했다. 서울시는 또 침사지(침사지)48개지역에대한 준

    중앙일보

    1968.07.05 00:00

  • 전천후난리

    목타게 기다리던 비가 하룻밤 쏟아지자 서울은 물난리를 겪었다. 중앙관상대는 3일하오 『소나기가 내리겠다』는 가벼운 예보만했을뿐 이렇다할 경고를 못내렸는가하면 곳곳에서 날림공사축대가

    중앙일보

    1968.07.04 00:00

  • 뒷골목 완전포장

    서울시는 시내 6천46개의 뒷골목을 오는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완전 포장키로 했다., 5억∼10억원의 시비로 착수할 뒷골목 포장작업은 하수도 정비·위험축대·언덕개축·변소시설개수·

    중앙일보

    1968.06.25 00:00

  • 방치위험축대 도괴|주민진정 묵살

    30밀리의 봄비에 서울시내 두곳에서 올해들어 첫축대 붕괴사고가 나 집한채는 완전히 묻히고 한채가 반파됐다. 무너진 축대는 쌓을때부터 불실해 이웃들이경찰과 구청에 여러차례 조처해 달

    중앙일보

    1968.04.09 00:00

  • 장마철 대비한 위험제거대책

    앞으로 장마철의 도래와 더불어 각종 건설공사 및 축대붕괴·산사태·가옥침수등의 위험이 크게 닥쳐올 것이 예상된다. 올해에는 특히 서울을 비롯한 전국도처에서 성급하게 벌여놓은 각종 건

    중앙일보

    1968.03.21 00:00

  • 오늘 아침에야 간판 걸고 「재해위」부재중

    서울시의 수방 대책이 엉망임이 드러났다. 서울시는 19일 밤 내린 비로 무너져 사람을 죽인 축대를 앞서 실시한 「안전진단」에서 위험축대로 진단하지 않았음이 밝혀졌으며 상설토록 되어

    중앙일보

    1967.07.20 00:00

  • 15일까지 완료지시

    서울시는 장마수해대책을 15일까지 모두 끝내도록 관하에 시달하고 다음과 같이 위험지구에 대한 응급조치를 하기로 했다. ▲하수도=1백4개소의 A급 지역에 대해 토사의 유출을 막고 준

    중앙일보

    1967.07.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