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민환·이유미 부부 '쉽게 찾는 우리 나무' 펴내

    불과 10년 전만 해도 국내 출판계는 식물도감의 불모지나 다름없었다. 최근 몇년새 자연알기 붐이 일면서 관련서가 쏟아지고 있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일반인이 읽기에는 너무

    중앙일보

    2000.04.21 00:00

  • [동정] 우보명 서울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우보명(禹保命.서울대 산림자원학과 교수)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장은 8일 천안시 단국대 농대에서 2000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중앙일보

    2000.02.04 00:00

  • 서울대특차접수 둘째날...대부분 정원초과

    서울대 특차전형 원서접수 둘째날인 11일 대부분의 학과에 지원자가 몰려 모집정원을 넘어섰다. 서울대 교무처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둘째날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의예과가 8.42

    중앙일보

    1999.12.11 19:56

  • 식물들의 치열한 생존현장…'신갈나무 투쟁기' 출간

    흔히 참나무로 알려진 신갈나무. 이 나무는 도토리 열매를 맺는 참나무속 (屬) 의 낙엽 활엽교목으로 떡갈나무.갈참나무.졸참나무.굴참나무 등과 함께 참나무류로 분류된다. 그러니까 우

    중앙일보

    1999.09.09 00:00

  • [경제계인사] 델컴퓨터 外

    ◇ 델컴퓨터 ▶한국지사장 이수현 ◇ 수협중앙회 ▶감사 신종기 ◇ 임업협동조합 ▶임산유통부장 홍성현 ▶개발부장 윤강섭 ▶산림토목사업소장 조원래 ▶경남지회장 직무대리 정종수 ▶감사부속

    중앙일보

    1999.03.26 00:00

  • 올 서울단풍 오존에 상하고 날씨 변덕에 볼품없어

    단풍의 계절이 왔다. 그러나 올 서울 도심지역의 단풍은 유난히 색이 곱지 않고 일부지역은 11월 중순이 다 되도록 단풍조차 들지 않고 있다. 단풍이 울긋불긋 다양한 색을 내는 것은

    중앙일보

    1998.11.09 00:00

  • [부음]김태욱씨(서울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별세 外

    ▶金泰旭씨 (서울대 산림자원학과 교수) 별세 = 2일 오전3시 서울 보라매병원서, 발인 6일 오전9시, 836 - 8322 ▶崔永福 (서울시 공보관).永哲 (사업).永善씨 (백운중

    중앙일보

    1998.01.03 00:00

  • [주말예감]하늘메운 철새 만추의 날갯짓

    마도요. 크기 50~60㎝의 작은 새. 그러나 태평양을 건너 호주까지 8천㎞를 날아가는 대단한 녀석이다. 화성에 탐사선 보내는 인간들의 비행기술이 별것 아니라는 듯 마도요는 오늘도

    중앙일보

    1997.11.22 00:00

  • 법대학생도 물리학 복수전공 가능-의.약.치.수의대는 제외

    내년도 서울대 신입생부터는 졸업할 때 의.약.치.수의대를 제외한 다른 단과대학의 전공학위를 동시에 받을 수 있게 된다.또올해 입학한 신입생은 소속 단과대 내에서의 복수전공이 허용된

    중앙일보

    1996.08.03 00:00

  • 동물이동로 건설보다 생태계 조사가 더 시급

    2005년까지 전국 주요 도로에 100여개의 동물이동로를 건설하여 산림내에서 분리된 동물서식지를 연결시키겠다는 환경부의 최근 발표는 국가의 자연환경 및 생태계의 보호.보존을 걱정하

    중앙일보

    1995.11.25 00:00

  • 동물이동로 건설보다 생태계 조사가 더 시급

    2005년까지 전국 주요 도로에 100여개의 동물이동로를 건설하여 산림내에서 분리된 동물서식지를 연결시키겠다는 환경부의 최근 발표는 국가의 자연환경 및 생태계의 보호.보존을 걱정하

    중앙일보

    1995.11.25 00:00

  • 서울大 해양학과 高哲煥교수

    지난 23일 전남여천군 소리도앞 해상에서 좌초된 「시 프린스」號의 기름유출사고로 남해안 청정해역이 기름띠로 뒤덮이고 굴. 조개.가두리 양식장을 오염시켜 연안 어민들은 일순간 삶의

    중앙일보

    1995.07.31 00:00

  • 뿌리혹형 유전자 첫 분리성공-서울大 연구팀

    오리나무에서 뿌리혹을 만들어 대기중의 질소를 고정,척박한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뿌리혹박테리아의 뿌리혹형성 유전자가 우리나라 과학자에 의해 처음 분리됐다. 뿌리혹을 형성,질소를 고정

    중앙일보

    1995.06.28 00:00

  • 들꽃여행 삶의 향기-주부.학생들 식물탐사 참가 늘어

    『앙증맞은 흰색 꽃잎 사이에 노란꽃술이 박혀있는 이 꽃이 바로 홀아비바람꽃입니다.꽃대 하나가 외롭게 피어 그런 이름이 붙었나봐요.』 『세상에… 예쁘기도 해라.그럼 이 노란색 주머니

    중앙일보

    1995.05.12 00:00

  • 식목일 맞아 알아본 수목育種 개발실태

    서울대 현정오(玄正悟.산림자원학과)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임야.산악지대임에도 불구하고 1㏊당 삼림자원(목재축적량)은 44입방m로 일본 1백13입방m,독일 2백66

    중앙일보

    1995.04.05 00:00

  • 뇌성마비 극복 인간승리-서울大 산림자원학과 합격 崔銀亨군

    『장으(애)자라고…트(특)별대우르(를)바끼(받긴) 시러쓰이다(싫었습니다).이르(를)아무(악물)고…공부 해쓰이다(했습니다).』 95년 서울대 신입생 합격자발표에서 뇌성마비의 장애를

    중앙일보

    1995.01.27 00:00

  • 세계 으뜸 한국단풍 심한 일교차에서 생긴다

    설악(雪嶽)에서 한라(漢拏)까지,전국의 명산이 단풍으로 활활타오르고 있다.올해 단풍은 이번 주초부터 월말까지 지역별로 절정을 이루리라는 것이 기상청 등의 전망이다.단풍하면 흔히 그

    중앙일보

    1994.10.11 00:00

  • 구봉산 체육공원 조성-여수시

    여수시는 총사업비 4천만원을 들여 최근 주민이 크게 늘고있는시내 신월동 동사무소 뒤쪽 구봉산 중턱에 각종 체력단련시설등을갖춘 동네체육공원을 조성키로 했다.이 체육공원은 오는 10월

    중앙일보

    1994.09.14 00:00

  • 30.연재에 도움 주신 분과 기관.단체

    ▲안완식(농촌진흥청 유전자원과장)▲정일정(농촌진흥청 축산시험장 기획실장)▲이상진(농촌진흥청 축산시험장)▲이장형(同)▲백봉현(同)▲오운용(同)▲김용권(同)▲양창범(농촌진흥청 특수가금

    중앙일보

    1994.06.30 00:00

  • 식목만 하고 育林은 소홀-산림 大氣정화능력 떨어진다

    우리나라 산림의 大氣 淨化능력이 92년부터 거의 늘어나지 않았으며 2000년에는 오히려 92년의 75%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진단됐다. 이는 그동안 나무를 심는데만 힘써 천연림은

    중앙일보

    1994.04.04 00:00

  • 「식목」만 하고 「육림」은 소홀/산림/대기정화능력 떨어진다

    ◎임업연구원 보고서서 밝혀져 우리나라 산림의 대기정화능력이 92년부터 거의 늘어나지 않았으며 2000년에는 오히려 92년의 75%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진단됐다. 이는 그동안 나

    중앙일보

    1994.04.04 00:00

  • 대학 학과명칭 「개명」바람/“시류에 안맞아 촌스럽다” 등 이유

    ◎신입생 모집·졸업생 취업에 효과/도서관→문헌정보 전산→컴퓨터공학 농학→식량자원 축산→동물자원 가정→생활과학 소련→러시아 요업→세라믹공학 대학의 학과 명칭 변경이 러시를 이루고 있

    중앙일보

    1992.10.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