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어디까지 왔나 - 활기 띈 기초과학

    67년의 과학기술 붐은 순수학문에 속하는 과학이라 하여 한동안 산업계서 소외되었던 「기초과학」부문에도 활기를 불어넣었다. 최근까지 물리·화학·생물·지학 등 순수과학은 순전한 「응용

    중앙일보

    1967.12.14 00:00

  • 「신비」 자라는 비무장지대|5차 학술조사반도 개가

    【간성=양정희기자】비무장지대학술조사반(KCCN) 최기철(서울대사대 교수) 강영선(서울대문리대 교수) 이영로(이대 교수) 박만규(고대 교수)씨 등 13명의 생물학 연구진은 지난 15

    중앙일보

    1967.08.22 00:00

  • 작년보다 높은 편

    전기대학의 금년도 「커트·라인」은 작년보다 평균 5∼10점 정도 높은 것으로 2일 알려졌다. 올해에는 전기 각 대학고의 경쟁률이 작년보다 평균 1.5대 1 이상 높아진데다가 객관식

    중앙일보

    1967.02.02 00:00

  • 동물학「심포지엄」

    제9회 전국대학생 동물학 「심포지엄」이 13일(일) 서울문리대에서 열린다. 「암의 여러문제」를 토론하게된 이번「심포지엄」에는 동국대·서울대물리대 동물과·중대·전남대·성대·부대가 연

    중앙일보

    1966.11.10 00:00

  • 새로운 조류 분류법 세워|해양학총회의

    서울 문리대생물학과, 대학원을 거쳐 연대·고대 등에서 교편을 잡았던 홍 교수는 56년도 미, 미「네브라스카」대학원에서 연구하고 돌아온 뒤 60년 서울문리대조교수가 됐다. 식물형태학

    중앙일보

    1966.03.29 00:00

  • 공전의 수확|쏟아진 세계 「신속」·「신종」|대이골 종유굴 학술 조사

    지난 11일 출발한 중앙일보사 주최의 대이골 학술 조사단은 우리 나라 동굴 탐험 사상 초유의 대 성과를 올렸다. 탐험반의 뒷받침을 받은 생물 (수중·육상 및 식물) 및 지질반이 거

    중앙일보

    1966.01.22 00:00

  • (8) 7시 한강을 살리자

    한강은 서울의 젖줄. 젖줄이 좋아야 아기는 무럭무럭 자란다. 그러나 서울의 그 한강은 질식직전에, 아니 이미 질식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서울의 인구가 1백20만 명이던 2O년 전

    중앙일보

    1965.10.28 00:00

  • (2)한글학자 유희와 정영호 교수

    식물학자가 1세기 전 한글 학자를 골똘히 연구하는 데는 그럴 까닭이 있다. 서울대 문리대 정영호(42)교수는「유희는 언문지의 저자로만 알려져 있지만 어디까지나 과학자」라고 말한다.

    중앙일보

    1965.10.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