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장마비 일단 주춤

    1일 밤부터 강풍과 함께 찾아온 장마전선은 2, 3일 양일과 4일 새벽까지 춘천 1백70mm, 속초 1백45·9mm, 서울 77·6mm를 비롯, 호남지방을 제외한 전국에 20∼70

    중앙일보

    1983.07.04 00:00

  • 강풍동반 장마시작

    <해상에 폭풍주의보 장마가 시작됐다. 중앙기상대는 6월 하순까지 근 한달동안 남해상에 동서로 뻗쳐있던 장마전선이 중국 상해부근의 저기압에 밀려 북상, 한반도에 상륙하면서 1일밤 부

    중앙일보

    1983.07.02 00:00

  • 중부·경북 해갈|영호남엔 호우

    서울·중부지방에 국지적으로 호우를 쏟은 장마전선이 28일 밤에도 경기와 충남일부지방에 최고 1백 39·9(서산)∼1백 89㎜(안양)의 호우를 내리고, 경북지방에도 평균 43·9㎜

    중앙일보

    1982.07.29 00:00

  • 서울-중부에 집중호우

    오랜 가뭄 끝에 27일 자정부터 서울·중부지방에 40∼1백여㎜의 천둥· 번개를 동반한 집중호우가 내렸다. 이에 따라 경북 일부지방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은 완전 해갈됐으며, 서울

    중앙일보

    1982.07.27 00:00

  • 경북 일부 제외, 전국이 해갈

    영·호남 해안 지방의 호우에 이어 일요일인 25일 전국적으로 단비가 내려 그동안 가뭄에 목이타던 경북과 중부 일부지방도 흡족치는 않지만 해갈에 큰 도움을 줬다. 일요일 비는 대관령

    중앙일보

    1982.07.26 00:00

  • 재산피해 36억원, 이재민 백77명

    대서인 23일 영·호남해안지방에 호우가 내려 전남도내에선 바다와 육지에서 5명이 익사하고 8명이 실종되고 1백77명의 이재민, 36억7천만원의 재산피해를 냈다(중앙재해대책본부집계)

    중앙일보

    1982.07.24 00:00

  • 전남지방에 호우

    좀처럼 비를 뿌리지 않던 장마전선이 기압골의 영향으로 활성화되면서 22일 하오 제주도남쪽 해상까지 북상, 호남지방엔 최고 2백75·6㎜(전남 완도) 의 폭우가 쏟아졌다. 중앙기상대

    중앙일보

    1982.07.23 00:00

  • 주말께 장마비

    세력이 약화된채 제주도 남쪽해상에 머물고있는 장마전선이 다소 활성화돼 주말인 24일과 28일쯤 건국적으로 한차례 장마비가 내릴것으로 보인다. 중앙기상대는 현재 북위31도 선상에 정

    중앙일보

    1982.07.21 00:00

  • 기대했던 장마 퇴각

    마른 장마 속에 흡족한 비를 내리지 않고 있는 장마전선은 세력이 약화된 채 다시 동지나 해상으로 빠져나가 비가 기대됐던 21일에도 비는 내리지 앉을 것 같다. 중앙기상대는 제주도

    중앙일보

    1982.07.20 00:00

  • 남부지방일부해갈|호남전역­영남일부에 비 전북순창 최고114㎜

    전국이 장마 권에 든 가운데 13일부터 가뭄에 찌든 남부지방에 시원스런 비가 쏟아져 제주·호남전역과 영남일부지방이 해갈됐다. 중앙기상대는 제주도와 남해안쪽에 동서로 약한 장마전선이

    중앙일보

    1982.07.14 00:00

  • “시원스런 비”주내 엔 없다

    전국이 장마 권에 들었으나 제주지방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시원스런 비가 내리지 않고 있으며 주 내에 한두 차례 비가 오지만 큰비는 기대 할 수 없을 것 같다. 중앙기상대는 13일 현

    중앙일보

    1982.07.13 00:00

  • 오늘·내일, 단비 한차례

    기록적인 가뭄과 폭염 끝에 10일 하오∼11일까지 목 타는 대지를 다소나마 식혀줄 10∼30㎜ 정도의 단비가 내리고 지역에 따라서는 호우도 내릴 것 같다. 중앙기상대는 중국 산동반

    중앙일보

    1982.07.10 00:00

  • 가뭄 속 폭염 기승

    7일은 소서. 예년 같으면 본격적인 장마비가 내릴 때지만 애타게 기다리는 비는 내리지 않고 폭염만 계속, 6일 낮 청주지방은 수은주가 섭씨 34.3도까지 치솟아 올 들어 가장 무더

    중앙일보

    1982.07.07 00:00

  • 7월초 장마 전엔. "흡족한 비" 안 와

    초여름 무더위 속에 계속되고있는 영· 호남지방의 가뭄은 7월초로 예상되는 장마전선 북상 전엔 해갈이 어려울 것 같다. 중앙기상대는 중국대륙의 북동에서 남서쪽으로 길게 자리잡은 기압

    중앙일보

    1982.06.21 00:00

  • 장마 올 때까지는 더 많은 비 없을 듯

    초여름 가뭄으로 목 타는 영·호남 지방의 해결은 6윌 하순 장마전선이 북상할 때까지는 어렵겠다. 지난 12일 밤부터 전국에 산발적으로 내린 비는 대관령 67·5mm, 서귀포 60·

    중앙일보

    1982.06.14 00:00

  • 중앙관상대-기상기술원 양성소

    『똑똑 또르르 똑 똑』 탤리타이프의 요란한 금속성을 타고 전국의 날씨와 소련·중공·일본지역의 기상상태가 암호화된 활자로 전문에 기록된다. 「서울지방, 낮12시 현재 기온 섭씨 27

    중앙일보

    1981.07.16 00:00

  • 진도 3백 20㎜가내려

    한동안 남해상에 머무르고있던 장마전선이 11일 중부지방까지 북상하면서 12일 하오까지 최고 3백 20m(전남진도)의 집중호우가 내렸다. 이번 비는 주로 전남·충남 해안지방에 집중적

    중앙일보

    1981.07.13 00:00

  • 사망 12명·실종 8명

    중앙 재해 대책 본부는 지난 1일부터 내린 호우로 4일 상오 현재 전국에서 사망 12명, 실종 등 모두 20명의 인명 피해와 1백89명의 이재민, 총 10억4천5백94만5천원의 재

    중앙일보

    1981.07.04 00:00

  • 어제 양평 2백57㎜ 중부, 오늘까지 호우

    남부지방에 머물던 장마전선이 중부지방까지 북상, 서울을 비롯한 경기·강원등 중부지방에 최고 2백57㎜(양평)의 폭우가 쏟아졌다. 중앙관상대는 이에 따라 1일 하오9시를 기해 서울·

    중앙일보

    1981.07.02 00:00

  • 휴일령·호남에|최고 65㎜의 비

    6월의 마지막 휴일이었던 28일 영·호남지방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최고65·1㎜(목포)의 많은 비가 내렸으나 중부지방은 때때로 흐린 날씨를 보이면서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았다. 그러

    중앙일보

    1981.06.29 00:00

  • 농경지 2천ha 침수

    24, 25일 남부지방에 내린 1백50㎜안팎의 호우로 전남·경남지방 12개 시·군 2천6백53ha의 농경지가 물에 잠겼다가 26일 상오 현재l천5백71ha는 물이 빠지고 l천82h

    중앙일보

    1981.06.26 00:00

  • 다시 온 장마

    23일부터 잠시 멎었던 장마가 25일부터 다시 시작돼 전남내륙지방엔 2백∼2백50m의 호우경보, 전북·경남지방엔 예상강우량 80∼1백50mm의 호우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이날 상오

    중앙일보

    1981.06.25 00:00

  • 태풍 「준」 소멸

    제5호 태풍 「준」은 22일 밤 우리 나라 남해안을 살짝 스치고 지나가 23일 새벽 3시에 소멸됨으로써 우리 나라는 23일 상오 현재 태풍의 영향권을 완전히 벗어났다. 중앙관상대는

    중앙일보

    1981.06.23 00:00

  • 22일부터 전국이 장마권에

    석달 동안 계속된 가뭄 끝에 예년보다 3, 4일 빠른 22일부터 전국이 장마권에 들어가 곳에 따라서는 홍수가 우려된다. 중앙관상대는 20일 동지나해상과 일본열도에 머무르고 있던 장

    중앙일보

    1981.06.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