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치는 건강식품

    아무리 풍성한 식탁이라도 김치가 곁들여져 있지 않으면 무언가 부족한 느낌이 든다. 불고기를 배불리 먹고 나서 김치로 입을 씻지 않으면 도무지 답답하고 입안이 텁텁한 경험은 누구나

    중앙일보

    1974.11.26 00:00

  • (68)변비에는 홍차가 좋지 않다

    『홍차를 마시지 그래.』 『어제 술을 많이 마셨더니 설사가 심한데 홍차는 무슨 홍차야. 차라리 코피를 마시겠네.』 『나는 변비가 있어서 홍차를 즐겨 마시는데, 변비에는 코피가 좋다

    중앙일보

    1974.04.11 00:00

  • (42) 변비는 「샐러리맨」에 많다.

    시원스럽게 배변을 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얼굴빛이 건강하지 않다. 짜증과 못 마땅이 얼굴에 서려있다. 그리고 두통과 현기증을 호소한다. 도

    중앙일보

    1974.03.11 00:00

  • (32)위하수는 예방할 수 있다.

    사람이 네발로 걷는 동물의 자세를 버리고 두발로 땅위를 걷게 되면서부터 동물에게는 결코 없는 몇 가지 질병을 얻게 되었는데 그 가운데 가장 대표 급이 바로 위하수라는 것이다. 네발

    중앙일보

    1974.02.27 00:00

  • (28)마늘이 동맥경화증을 예방한다

    『위와 간을 튼튼하게 해서 기를 증강시키고 콩팥의 기능을 증진시킨다.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서 세포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보호해서 혈행을 좋게 한다. 특히 약해

    중앙일보

    1974.02.22 00:00

  • (47)비약「로열·젤리」

    『기분이 상쾌해진다. 피로감이 없어지고 체력이 왕성해짐을 느낀다. 식욕이 증진한다. 성기능이 항진된다. 위통과 요통이 씻은 듯이 사라진다. 기분 좋은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변비가

    중앙일보

    1973.10.13 00:00

  • 납 중독의 위해|청량 음료의 PVC 빨대에서도 납이 검출되었다

    최근 경희대 의대 예방의학 교실은 청량 음료를 마실 때 사용하는 PVC(「폴리」염화 「비닐」) 빨대에서 인체에 유독한 납(연)이 녹아 나온다는 사실을 확인, 이를 계속 사용할 경우

    중앙일보

    1973.08.30 00:00

  • (2)맥반예호

    장수의학이 활기를 띠면서 학자들의 관심이 가장 많이쏠린 곳은 주식에대한 문제이다. 그래서 얻은 결론은 『보리를 적당히 섞은 혼식이야말로 장수로 이끄는 정도』라는 것. 우리가 귀히

    중앙일보

    1973.02.09 00:00

  • 수험생을 위한 부담없는 식사

    고등학교· 대학교의 입학시험날이 다가온다. 오랜 시험공부에 지치고 또 신경이 날카로와진 수험생들은 소화능력에 지장을 받게된다. 수험생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요리전문가들의 『식탁「힌트

    중앙일보

    1973.01.10 00:00

  • (87) 아스파라거스

    서양의 땅 두릅이라고 불리는 「아스파라거스」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어린 순 줄기가 식용이 된다. 우리에게는 다소 낯선 식품이지만 서양 요리에서는 떼 놓을 수 없는 영양 식품이

    중앙일보

    1972.10.06 00:00

  • (82) 토란

    두껍고 넓은 방패 모양의 독특한 잎이 특색인 토란은 천남성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주로 뿌리가 사용된다. 아시아가 원산지. 우리 나라를 비롯, 일본·중국 등 열대 및 온대 지방에서 재

    중앙일보

    1972.09.16 00:00

  • 여름철의 복병|장「티푸스」

    수인성 질환 중 여름철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장티푸스-. 소위 열병이라고 해서 나타나는 증상도 무섭고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법정전염병으로 정하고 있다. 방역당국의 집중적인 대

    중앙일보

    1972.07.06 00:00

  • (50)딸기

    전원을 그리워하는 도시인에게 정서와 꿈을 불러일으켜 주는 딸기 철이 다가왔다. 가시나무과에 속하는 딸기는 모든 과일 중 「비타민」C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있기도 하지만 전원의정서를

    중앙일보

    1972.04.27 00:00

  • (45)사과

    과일 중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총애를 받는 사과는 장미 과의 낙엽고목의 열매로 원산지는 중앙 「아시아」로 알려지고 있다. 사과나무의 잎은 길고 달걀모양을 하고 있는데 그 이면

    중앙일보

    1972.04.05 00:00

  • (34)배

    원산지가 중국으로 알려진 배는 장미 과 에 속하는 과수의 열매로 알칼리성 식품이다. 배는 약간 감미롭고 시원한 맛으로 널리 애호 받는 과일이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구미 각지에서도

    중앙일보

    1972.02.24 00:00

  • (29) 보리

    쌀과 함께 주식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보리는 원산지가 자세히 밝혀지지 않은 곡류이다. 서부 「아시아」 또는 「코커서스」 산맥의 남쪽, 「아라비아」 지방 등에 보리의 야생종이 있는

    중앙일보

    1972.02.03 00:00

  • "균형 있는 영양조절을"-겨울철 임부가 알아야 할 건강수칙

    겨울철은 여러가지 면에서 임부에게 위험한 계절이다. 추위 자체도 문제지만 꽁꽁 언 빙판은 더욱 위험하다. 겨울철을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 임부들이 알아야할 주의 점에 대해 국립의료원

    중앙일보

    1971.12.06 00:00

  • 병원의 전위 만성피로 그 원인과 치료

    무더운 여름이 서서히 물러나고 가을이 다가서면 우리 몸은 생리적인 변화를 일으킨다. 세포의 활동이 생기를 얻고 신진대사도 왕성해 진다. 가을은 체력 회복의 계절인 것이다. 가을은

    중앙일보

    1971.09.11 00:00

  • 40고개의 경보 뇌혈관 질환

    방학을 이용해서 지방 학부형 및 서울대 동창생들과의 간담회를 갖기 위해 전국 주요도시 순방 길에 나섰던 최문환 서울대 총장이 지난 12일 새벽 과로로 쓰러졌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세

    중앙일보

    1970.07.24 00:00

  • 식수난이 부채질한 수인성질병

    예년과 마찬가지로 수인성 질병(식수로 인한 질병)이 크게 번지고있다.(6월17일자 중앙일보 7면) 작년 한해동안에만 5천4백44명의 수인성환자의 발생집계에 52명의 사망자가 기록됐

    중앙일보

    1970.06.18 00:00

  • 건강한 임신과 해산을 위한 시리즈|임신의 섭생

    대개의 경우 임신을 알리는 시그널은 입덧으로 시작된다. 식욕이 없고 구토증이 나며 소화가 안되고 식성이 변화하는등 임신 2, 3개윌부터 나타나는 입덧증세에따라 특별한 임부로서의 섭

    중앙일보

    1970.06.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