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영남업체 폐수배출 단속 비상-염색.도금공장등 조업단축까지

    [특별취재반]낙동강 수질오염사태와 관련,검찰과 경찰이 폐수배출업소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자 대구.경북과 부산지역 업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특히 산업폐수 방류량이 많은 염색업과 도

    중앙일보

    1994.01.14 00:00

  • 發癌물질 배출 업체 전면수사

    [大邱=洪權三기자]낙동강수질오염사건을 수사중인 대구지검 수사본부(본부장 姜濯대구지검 차장검사)는 14일 낙동강 수돗물에서발암성물질인 벤젠과 톨루엔이 검출됨에 따라 이 물질을 제조.

    중앙일보

    1994.01.14 00:00

  • 물관리 일원화 4년째 제자리-낙동강 오염계기 행정조정시급

    낙동강오염사태를 계기로 물관리 행정을 일원화 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강력히 제기되고있다.현지 시찰에 나선 李會昌총리가 12일 이에대한 근본 대책 마련을 지시했고 이번사태에 따른

    중앙일보

    1994.01.14 00:00

  • 수돗물에 발암물질 영남주민 분노-관계기관마다 항의 빗발

    영남지역 수돗물의 구린내 파동에 이어 발암물질 검출소식에 이지역 1천만 주민들은 분노와 배신감,충격과 경악속에 어쩔줄 모르고 있다. 각 시.도와 환경처등 관계기관에는 13일 오후부

    중앙일보

    1994.01.14 00:00

  • “수돗물에 발암물질이라니…”/영남주민 분노가 끓는다

    ◎관계기관마다 항의 빗발/시민단체 “물값 받을 생각말라”/타지 친지들 안부전화도 줄이어 영남지역 수돗물의 구린내 파동에 이어 발암물질 검출소식에 이 지역 1천만 주민들은 분노와 배

    중앙일보

    1994.01.14 00:00

  • 생활개혁 무색해진 「오수정국」/당정 대책부심속 야선 공세강화

    ◎청와대 직접나서 묘안찾기 고심/당정/“무책임 행정 표본… 다른 강도 문제”/민주 식수오염사태로 연초 정국에 물비상이 걸렸다. 발암물질까지 검출되는 심각한 오염실태에 정부측 역시

    중앙일보

    1994.01.14 00:00

  • 정수장서도 중금속 “그냥 통과”/수돗물처리 무엇이 문제인가

    ◎50년대 재래식 방법 아직 그대로/방사선등 유해물질은 검사 안해 거대한 하수처리장으로 변한 상수원에는 독수가 흐르고,정수처리 기술은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수질기준은 있으나

    중앙일보

    1994.01.14 00:00

  • 낙동강 오염 무엇이 문제인가-물행정 이원화

    경북.대구.경남.부산등 4개 시.도의 젖줄인 낙동강은 인접 지역의 생활하수와 축산폐수로 오염된데다 80년대 이후 인근에 대규모 공단이 조성되면서 마구 쏟아붓는 폐수로 수질이 더욱

    중앙일보

    1994.01.12 00:00

  • 낙동강 물이 죽어간다/하수·폐유·분뇨 마구 흘러들어

    ◎대구서만 하루 56만t 방류/검은 기름 떠다니고 악취 진동 【부산·대구=김영수·허상천기자】 낙동강은 시궁창,바로 그것이다. 낙동강 오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지점인 경북 달성군

    중앙일보

    1994.01.12 00:00

  • 李총리,부산 수돗물 오염 대책마련 지시

    李會昌국무총리는 11일 낙동강하류의 수질오염과 관련,환경처 주관으로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철저한 대책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李총리는 이날 공장폐수.산업폐기물 불법배출의 원인과 실태

    중앙일보

    1994.01.11 00:00

  • 낙동강.금호강 수질관리 형식적-수질오염 사고대비 불가능

    [大邱=金善王기자]대구지방환경청이 관리하고 있는 낙동강.금호강등 주요하천과 댐에 대한 수질관리가 형식적인데다 측정기간이 너무 길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대구지방환경

    중앙일보

    1994.01.11 00:00

  • 상류댐 방류 늘리기로-관계기관 대책회의

    환경처는 11일 경남창원시 부산지방환경청에서 부산및 대구직할시 부시장,경남.경북도 부지사,내무부 지방재정국장,건설부 상하수도국장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계기관 긴급 대책회의를 가졌다.

    중앙일보

    1994.01.11 00:00

  • 그린피스 레인보우호 4월 한국서 환경운동

    지구촌 환경보호의 기수로 이름높은 민간환경 파수선 그린피스 레인보우號가 4월 우리나라에 온다. 이는 환경운동연합이 올해 벌이는 7대 중점 사업중 하나.그린피스 회원들이 국내 민간단

    중앙일보

    1994.01.10 00:00

  • 낙동강 수돗물 오염 비상-검찰,폐수배출등 본격수사 나서

    [釜山.大邱.昌原=許尙天.姜眞權.鄭容伯기자]마산.창원등 경남도내 5개 시.군과 경북달성.고령군의 수돗물 악취소동에 이어 또다시 낙동강 상수원수계인 경남함안.칠서지역에서 폐유가 발견

    중앙일보

    1994.01.09 00:00

  • 풀건 과감히풀고 고칠건 빨리고치자(뒷다리잡는 「규제」이제그만:7)

    ◎미등록공장엔 폐수처리도 불허/수도권 8천여곳 “공해업체” 단속용/현실성없는 규정으로 불법만 양산 경기도 고양시 속칭 고양공단내 2백60여가구·부품생산업자들은 지난해초 공동폐수처리

    중앙일보

    1994.01.09 00:00

  • 1회용품 사용업소 과태료-10월부터 최고 3백만원

    10월부터 나무젓가락.종이컵등 1회 용품을 쓰는 업소는 최고3백만원까지의 과태료를 물게된다. 보사부는 7일 음식점.유흥업소.목욕탕.숙박업소등에서 1회 용품을 쓰지않도록 9월까지 권

    중앙일보

    1994.01.08 00:00

  • 소비자단체,시장개방 따른 외국상품 감시기능 강화

    ◇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회장 鄭光謨)=산하 10개단체가 입수한모든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업주제를 「정보화시대의소비자단체의 역할」로 정했다.국회의원들의 미진한 활동에 대한

    중앙일보

    1994.01.05 00:00

  • 환경 모범업체 두산 최다선정/16개 사업장 뽑혀

    91년 낙동강 페놀유출사고의 홍역을 치렀던 두산그룹이 환경모범업체 최다선정 기업으로 탈바꿈했다. 환경처는 5일 전국 5만2천개 오염배출업체중 배출·방지시설 및 폐기물 관리가 우수한

    중앙일보

    1994.01.05 00:00

  • 어릴때 재활용 교육하자-의정부,국교생에 교육만화 배포

    『쓰레기 줄이기는 어린이 때부터 가르치자.』 의정부시는 겨울방학을 맞은 국민학생들에게 그림과 만화로 꾸며진 쓰레기줄이기와자원재활용 방안등을 실은 책자를 제작,배포해 눈길을 끌고 있

    중앙일보

    1994.01.04 00:00

  • 3.초보수준 맴도는 환경산업

    환경산업이 초고속 성장산업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환경업계가 추정하고 있는 지난 92년기준 국내 환경산업의 시장규모는 대략 1조2천억원.이 가운데 오염을 줄이기 위한 설비투자는 8

    중앙일보

    1994.01.04 00:00

  • 팔당호 합동단속반 상주-환경처,수질감시 강화

    환경처,수질감시강화 정부는 수도권시민의 유일한 상수원인 팔당호 주변지역의 수질감시를 위해 중앙특별기동단속반을 포함한 관계기관 합동단속반을 이지역에 상설운영키로 했다.또 유류차의 전

    중앙일보

    1994.01.04 00:00

  • 새해 무엇이 어떻게 달라지나

    내년부터 근로소득세 기초공제액이 연60만원에서 72만원으로 인상되고 주민등록등.초본을 거주지가 아닌 동사무소에서도 발급받을수 있게된다.또 고소.고발사건중 불기소처분으로 분류된 피의

    중앙일보

    1993.12.29 00:00

  • 일서 핵재처리시설 지원 안하면/러,동해 핵투기 재개

    ◎환경장관 경고 【모스크바 AFP·로이터·AP=연합】 러시아는 만일 일본이 빠른 시일내에 핵폐기물 재처리시설 1곳을 제공해주지 않으면 동해에 핵폐기물 투기를 재개하지 않을 수 없다

    중앙일보

    1993.12.28 00:00

  • 4개 민간단체협의회 환경오염업체 상품 불매운동 계획

    대기.수질.폐기물 등에 의한 환경오염을 상습적으로 일으키는 업체의 제품에 대해서는 불매운동을 펴자는 민간단체들의 모임인 상습오염 배출업소 불매운동협의회가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민

    중앙일보

    1993.12.2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