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 책과 주말을] 무엇이 먹는 즐거움만 하랴

    [이 책과 주말을] 무엇이 먹는 즐거움만 하랴

    식탁 위의 쾌락 하이드룬 메르클레 지음, 신혜원 옮김, 열대림, 380쪽, 1만8000원 식사는 감각을 위한 축제, 유리잔이나 식기가 부딪히며 내는 소리는 식탁의 음악, 맛좋은

    중앙일보

    2005.09.09 20:39

  • [삶과 문화] 사진기록 보관소 세우자

    지난 12일부터 대학로 마로니에 미술관에선 '광복 60년, 사진 60년-시대와 사람들'이라는 사진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작고한 임응식 선생부터 신인 작가까지 55명의 한국 사진가

    중앙일보

    2005.04.19 20:55

  • [Book/책꽂이] 인문·학술 外

    [Book/책꽂이] 인문·학술 外

    *** 인문·학술 사진에 관하여(수잔 손택 지음, 이재원 옮김, 시울, 312쪽, 1만6500원)=거짓 이미지와 뒤틀린 진실로 둘러싸인 세계에서 사진이 갖는 미학적, 도덕적 문제를

    중앙일보

    2005.02.18 17:38

  • [사회주의교육에 관한 테제]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과 국가 앞에는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건설하여야 할 무거운 과업이 나선다.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건설하기 위하여서는 사회주의제도가 선 다음에도 혁명을 계속

    중앙일보

    2004.10.25 14:17

  • [김형경의 책vs책] 주체의 몸, 대상의 몸

    몸의 사회학 원제 The Body and Social Theory 크리스 실링 지음, 임인숙 옮김, 나남, 314쪽, 1만원 여성의 몸, 몸의 문화정치학 김은실 지음, 또 하나의

    중앙일보

    2004.08.28 10:29

  • [미당·황순원 문학상 최종후보작 지상중계] 1. 시 - 김기택 '무단횡단'

    [미당·황순원 문학상 최종후보작 지상중계] 1. 시 - 김기택 '무단횡단'

    중앙일보와 계간 '문예중앙'이 공동 주최하고 LG그룹이 후원하는 제4회 미당문학상과 황순원문학상의 최종심에 오른 후보작들을 차례로 소개합니다. 시인이 자신의 미당문학상 후보작들 중

    중앙일보

    2004.08.22 17:57

  • [행복한 책읽기] '죽음 앞의 인간' 달라도 너무 달랐다

    [행복한 책읽기] '죽음 앞의 인간' 달라도 너무 달랐다

    ▶ 16세기 플랑드르 화가 피테르 브뤼겔의 ‘죽음의 승리’ 부분도. 기독교적 관점에서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들로 가득차 있다.로마에 가면 카푸치노 승단의 멋진 예

    중앙일보

    2004.03.26 17:25

  • [유홍준·승효상씨 대담] "우리 땅에서 세계로 삶의 美感 넓힙니다"

    10월 17일자부터 시작한 주간 연재 '유홍준 교수의 국토박물관 순례'가 내년부터 '승효상 건축가의 세계 도시 건축 순례'와 짝을 이뤄 한 주씩 번갈아 독자를 찾아갑니다. 유교수가

    중앙일보

    2003.12.25 16:33

  • [중앙일보 선정 2003 새뚝이] 3. 문화

    [중앙일보 선정 2003 새뚝이] 3. 문화

    올 문화계는 경기 침체와 불황, 신보수의 득세로 힘든 한해를 보냈다. 돈과 기득권에 휩쓸려 가는 한국 사회를 정신적으로 지켜내려는 마지막 자존심이 문화판 사람들을 버티게 한 힘이

    중앙일보

    2003.12.18 17:28

  • "미당 詩세계는 죽음 넘어서는 母性"

    "미당 詩세계는 죽음 넘어서는 母性"

    2001년 시인 고은씨가 친일 행각 등을 거론하며 미당 서정주의 시와 삶을 강도높게 비판해 촉발된 '미당 논쟁'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지난해에는 인하대 김진석 교수가 "미당의 탐

    중앙일보

    2003.12.10 18:47

  • [문학]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

    [문학] '보랏빛은 어디에서 오는가'

    시인 나희덕(37.사진)씨는 작가란 수많은 질문의 창살에 유폐당한 자들이라고 생각한다. 자기 안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를 지니고 있는 한 어떤 형태로든 글쓰기를 계속할 수 밖에

    중앙일보

    2003.11.14 17:28

  • [200자 서평] 美유학, 이렇게 하면 성공

    [200자 서평] 美유학, 이렇게 하면 성공

    ***美유학, 이렇게 하면 성공 ◆미국 비자로 유학 쉽게 가기(전종준 지음, 중앙M&B, 1만원)= 이민법 전문 변호사인 저자가 미국 이민법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미국 유학을 위한

    중앙일보

    2003.09.19 17:37

  • 국내 모더니즘 작가 3인 분석

    국내 모더니즘 작가 세 사람의 작품세계를 분석한 책. 저자는 인간의 정신적 문제들은 유아기의 충격경험에서 비롯되는 것처럼 우리가 집단적으로 앓고 있는 정신적 문제들도 근대성의 경

    중앙일보

    2002.06.29 00:00

  • 김춘수의 시선으로 詩 100년史 알짜뽑다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잘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 밖을 떠돌던 겨울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

    중앙일보

    2002.05.11 00:00

  • 첫단추 잘못 끼운 석굴암 모형관

    국보 제24호이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문화 유산인 석굴암의 모형 전시관을 둘러싼 논란을 바라보는 우리는 못내 안타깝다. 12일 문화재청이 의견 수렴을 위해 마련한 현장 설명회

    중앙일보

    2002.04.13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비디오 아트의 선구자 백남준

    미국의 저명한 후기 마르크스주의 문화비평가인 프레데릭 제임슨(77)은 1986년 『플래시 아트』와의 인터뷰에서 백남준을 가리켜 포스트모더니즘의 표상적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그의 비

    중앙일보

    2001.09.06 00:00

  • [황순원 문학상 후보작] 김원일 '나는 두려워요'

    한 나라, 혹은 한 시대의 문학이 얼마나 성숙한가를 따져볼 수 있는 문학적 지표는 무엇일까. 그러한 지표 중의 하나로 '노년층의 삶과 내면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가 얼마나 치밀하고

    중앙일보

    2001.08.29 07:32

  • [황순원 문학상 후보작] 김원일 '나는 두려워요'

    한 나라, 혹은 한 시대의 문학이 얼마나 성숙한가를 따져볼 수 있는 문학적 지표는 무엇일까. 그러한 지표 중의 하나로 '노년층의 삶과 내면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가 얼마나 치밀하고

    중앙일보

    2001.08.29 00:00

  • [미국 흑인문학의 전개] 70년대 다양한 사조 발전

    미국 흑인문학의 역사는 19세기부터 시작된다. 초반은 노예제의 경험을 자서전 형태로 폭로하는 '노예담론' 이 주류였다. 남성작가로는 프레데릭 더글러스, 여성작가로는 해리엇 제이콥스

    중앙일보

    2001.07.19 00:00

  • '리걸리 블론드'가 '환타지' 누르고 깜짝 1위 개봉!

    이번 여름 북미 극장가에 또 하나의 이변이 탄생했다. 올 여름 시즌 최고 화제작중 하나였던 1억 3500만불짜리 대작 〈파이널 환타지(Final Fantasy: The Spirit

    중앙일보

    2001.07.18 07:57

  • [미당을 이해하고 비판하기 위해서…]

    고은 시인의 미당 비판을 둘러싸고 미당의 시적 성과와 정치적 선택을 둘러싼 논의들이 몇몇 유력 일간지를 중심으로 각종 지면과 인터넷 공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이유는 무

    중앙일보

    2001.06.05 00:00

  • [백 스테이지] 보이스 트레이너 서상권씨

    "사람의 소리는 천차만별입니다. 이런 여러 음성들을 이용해 무대에서 다양한 인물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도 우리나라 배우들은 획일적인 소리를 내는 경우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

    중앙일보

    2001.05.25 07:51

  • [백 스테이지] 보이스 트레이너 서상권씨

    "사람의 소리는 천차만별입니다. 이런 여러 음성들을 이용해 무대에서 다양한 인물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하는데도 우리나라 배우들은 획일적인 소리를 내는 경우가 많아 안타깝습니다. "

    중앙일보

    2001.05.25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낭시와 라쿠라바르트의 해체철학

    서양 철학은 끝났다. 이렇게 외친 사람이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1844~1900)였고 마르틴 하이데거(1889~1976.이상 독일의 실존철학자)였다. 오늘날은 자크 데리다(71.

    중앙일보

    2001.05.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