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신간] '새 근원(近園) 수필'

    *** 새 近園 수필 -김용준 지음,열화당,1만5천원 책꼴의 미려함이나 완성도,표지와 본문 편집 디자인의 정교함 면에서 국내 단행본 중 가장 뛰어난 책이 ‘새 근원 수필’이다. 눈

    중앙일보

    2000.12.16 00:00

  •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34. 우만련

    지난 2월, '우리만화 발전을 위한 연대모임' (약칭 우만련)은 10여년간 모임을 가진 이래 가장 큰 변화를 겪었다. 문화관광부에 정식으로 사단법인 인가를 받아 새로 개관한 남산

    중앙일보

    1999.10.19 00:00

  • 미술평론가 최열씨, 근대미술속 사건들 연대순 정리 출간

    우리나라 최초의 그림모델은 평양기생 윤옥엽 (尹玉葉) 이다. 그녀는 1913년 평양에 와있던 일본인 화가를 위해 모델을 서주었다. 두번째는 2년 뒤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였던 고희동

    중앙일보

    1998.02.03 00:00

  • [문화지도]64.민중미술가(1)

    별다른 사건없이 잠잠하던 94년 2월 국내 미술계에 놀랄만한 일 하나가 벌어졌다. 제도권 미술의 아성이라 할 수 있는 과천 국립현대술관에서 민중미술을 회고하는 대규모 전시 '민중미

    중앙일보

    1997.09.10 00:00

  • 민중미술 15년展

    『국립현대미술관에 민중미술 15년전을 보러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4일 오후3시 과천 국립현대미술관.문화체육부 金道鉉차관의 환영인사말로「민중미술 15년전」이 개막됐다.이날 국립현대

    중앙일보

    1994.02.07 00:00

  • 미술계 유망주 소개전 2題

    평론가와 현역작가 추천으로 94년의 유망작가를 소개하는 두 기획전이 나란히 열리고 있다.동아갤러리는 평론가 19명에게 위촉해 94년을 이끌 유망작가 19명을 선정.소개하는「이 작가

    중앙일보

    1994.01.20 00:00

  • 한국현대 미술운동사|★최열 지음

    미술평론가 최열씨가 펴낸 『한국현대미술운동사』는 19세기 말에서 1990년에 이르기까지 이 땅의 진보적 미술가들이 보여 주었던 사상미학·창작교육·선전활동과 조직활동의 추이 등을 문

    중앙일보

    1991.02.10 00:00

  • 이충양 교수 논문 『중국문학』 중공서 소개「한국에서의 서양사학 1백년」 연구서 출간

    ○…중공최고권위의 인문사회과학연구센터인 중국사회과학원이 해외학자들의 논문을 소개하는 기관지 『국외사회과학』 1월호에 고려대 이충양 교수 (중국문화)의 논문 「중국 신문학의 전통연

    중앙일보

    1988.03.28 00:00

  • "딴살림났다" 티격태격|동강난 「미술평론가협회」

    한국미술평론가협회가 두동강 났다. 한국미술평론가협회(회장 이일)는 협회보 『미술평단』 제3호 (86년12월30일발행) 「미평게시판」을 통해 김윤수 성완경 원동석 유홍준 윤범모회원이

    중앙일보

    1987.01.08 00:00

  • 신춘화단에그룹전 열기

    새해에 접어들면서 최근 그 실력을 두루 인정받아온 개성있는 젊은 작가들의 그룹전이 여러 화랑·미술관에서 줄을 이어 열려 예년같으면 겨울잠을 자고 있을 화단이 이례적인 열기를 뿜고

    중앙일보

    1987.01.07 00:00

  • 회사원·농민 등 일반인들 판화솜씨 자랑

    근로자· 농민회사원·주부·학생 등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비전문인의 작품을 모은 「시민미술학교」 판화전(1∼7일)이 서울 중학동 한마당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이 전시회에는 광주·이리

    중앙일보

    1985.03.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