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현대전자 2백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내년부터 상용화

    현대전자가 반도체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이용해 2세대 2백56메가 싱크로너스 D램(사진)의 상용제품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2백자 원고지 8만4천장에 달

    중앙일보

    1999.11.09 00:00

  • 현대전자 2백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내년부터 상용화

    현대전자가 반도체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이용해 2세대 2백56메가 싱크로너스 D램(사진)의 상용제품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2백자 원고지 8만4천장에 달

    중앙일보

    1999.11.08 18:07

  • 현대전자 2백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내년부터 상용화

    현대전자가 반도체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이용해 2세대 2백56메가 싱크로너스 D램(사진)의 상용제품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2백자 원고지 8만4천장에 달

    중앙일보

    1999.11.08 18:07

  • 현대전자, 0.15㎛ 공정 256메가D램 개발

    현대전자는 세계 처음으로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적용, 데이터 처리속도 166㎒의 초고속 2세대 2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상용 제품을 개발했다고 8일 발

    중앙일보

    1999.11.08 15:13

  • 현대전자, 0.15㎛ 공정 256메가D램 개발

    현대전자는 세계 처음으로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적용, 데이터 처리속도 166㎒의 초고속 2세대 2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상용 제품을 개발했다고 8일 발

    중앙일보

    1999.11.08 11:04

  • 현대전자, 0.15㎛ 공정 256메가D램 개발

    현대전자는 세계 처음으로 회로선폭 0.15미크론(㎛)의 초미세 공정기술을 적용, 데이터 처리속도 166㎒의 초고속 2세대 256메가 싱크로너스 D램 상용 제품을 개발했다고 8일 발

    중앙일보

    1999.11.08 11:04

  • 현대전자, '무리한 시장점유율 경쟁 않겠다'

    현대전자 김영환 사장은 14일 "반도체시장에서 무리하게 점유율을 확대할 생각은 없으며 기존 생산시설을 최대한 활용, 수익성을 높이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사장은 또한 "

    중앙일보

    1999.10.14 13:44

  • 삼성전자, 1기가 플래시메모리 시제품 첫 개발

    삼성전자는 1기가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시제품을 업계 처음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점이 특징인 플래시 메모리는 인터넷

    중앙일보

    1999.10.13 15:03

  • 삼성전자, 1기가 플래시메모리 시제품 첫 개발

    삼성전자는 1기가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시제품을 업계 처음으로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점이 특징인 플래시 메모리는 인터넷

    중앙일보

    1999.10.13 11:27

  • [새해부터 달라집니다]행정.문화.교육 外

    국민의 정부 출범 첫해에 대대적으로 진행된 규제개혁으로 시민생활 각 분야에서 새해부터 달라지는 제도가 많아졌다. 이에 따라 새해엔 일상 속에서 상당한 변화를 체감하게 될 것으로 전

    중앙일보

    1998.12.31 00:00

  • [커버스토리]차세대 반도체 또 한발 앞섰다

    '가늘게, 더 가늘게…' . 반도체 기술의 핵심은 한마디로 반도체내의 회로 굵기를 보다 미세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래야 반도체의 집적도가 높아지며 원가도 줄여 갈수록 치열해지는 세

    중앙일보

    1998.06.10 00:00

  • 차세대 알파CPU 삼성전자 자체개발

    삼성전자는 현재까지 발표된 중앙처리장치 (CPU)가운데 처리속도가 가장 빠른 7백㎒급 차세대 알파CPU를 자체기술을 이용해 개발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회로선폭 0.25

    중앙일보

    1997.10.28 00:00

  • 올해 선글라스는 복고풍의 작은 금속테 둥근형이 주종

    올해는 선글라스의 특징적인 유행디자인이 따로 없고 대체로 2~3년전부터 유행해 온 복고풍의 작은 금속테 둥근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부산.경남의 안경점들도 지루한 장마뒤의 본격적

    중앙일보

    1997.07.11 00:00

  • LG정보,0.5미크론 주문형반도체 개발

    LG반도체(대표 文程煥)는 22일 국내 최초로 회로선폭 0. 5미크론의 주문형반도체(ASIC.사진)설계.제조기술을 개발,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새로 개발된 기술은 내부

    중앙일보

    1995.11.23 00:00

  • 現代,3세대 16MD램 개발 26面

    현대전자가 최근 제3세대 16메가D램 반도체를 개발,생산에 들어간데 이어 삼성전자와 LG반도체(舊 금성일렉트론)도 연내 생산을 준비중이어서 16메가D램의 3세대 제품 생산이 본격화

    중앙일보

    1995.01.06 00:00

  • 현대전자,3세대 16MD램 생산

    현대전자(회장 鄭夢憲)가 최근 제3세대 16메가D램 반도체〈사진〉를 개발,생산에 들어갔다고 5일 발표했다. 제3세대 16메가D램은 칩 크기를 65평방㎜로 줄인 제품으로제2세대(90

    중앙일보

    1995.01.06 00:00

  • 「과학한국」열기가 가득한 연구소 순방|신물질개발 미래를 건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대열에 끼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최근들어 국제사회의 대한 견제움직임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국내시장의 전면개방을 요구하는등 각종 통상압력을 가해오는

    중앙일보

    1989.01.01 00:00

  • 삼성 반도체 통신, 미공장 준공

    삼성 반도체 통신이 미국 반도체 산업의 메카인 실리콘밸리의 샌호제이에 4메가 DRAM급 이상의 초고집적회로 생산이 가능한 대규모 최첨단 반도체 공장을 준공했다. 16일 현지에서 거

    중앙일보

    1987.06.17 00:00

  • 반도체 개발에 민관이 협조 체제|VLSI (초대규모 집적 회로) 연구 조합 설립의 뜻

    VLSI (초대규모 집적 회로) 연구 조합이 빠르면 금년 상반기 안에 세워질 전망이다. 첨단산업의 대표 주자격인 반도체 분야에 민관 합동의 기술 개발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셈

    중앙일보

    1986.03.13 00:00

  • 극미의 세계

    이런 에피소드가 있다. 스위스 의학 기술자가 머리칼을 두갈래로 쪼갰다. 이것을 본 일본의 기술자가 그 쪼개진 머리칼을 다시 두 갈래로 나누였다. 그 옆에 있던 미국의 기술자는 빙그

    중앙일보

    1983.12.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