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누구나 미래를 얘기하지만

    누구나 미래를 얘기하지만

    1972년 로마클럽은 『성장의 한계』라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경제성장이 환경에 주는 부정적 영향을 예측한 것이다. 인구는 매년 2.1%씩 늘어가는데 식량생산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

    중앙선데이

    2008.11.22 23:17

  • 위험사회론 울리히 벡 교수 특별대담

    위험사회론 울리히 벡 교수 특별대담

    ‘위험사회’ 이론의 주창자 울리히 벡 독일 뮌헨대 교수와 한상진 서울대 교수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울리히 벡 교수는 오는 3월 29일 서울대 초청으로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할 예

    중앙일보

    2008.02.22 05:01

  • [중앙시평] 독일의 대학 개혁

    독일 연방정부 당국은 2005년부터 이른바 ‘엑설런스 이니셔티브(Excellence Initiative)’라는 이름 아래 대학 구조개혁 작업을 주도하고 있다. 이 작업의 핵심은 2

    중앙일보

    2007.11.06 21:10

  • [JoBs] 대우증권-증권업계 '사관생도' 뽑습니다

    [JoBs] 대우증권-증권업계 '사관생도' 뽑습니다

    올 7월 입사한 새내기들이 서울 여의도 대우증권 본사 2층 객장에 모였다. 왼쪽부터 장형종, 노승은, 황성희, 윤한나, 김태곤, 박세준씨. 최승식 기자 대우증권은 40년 가까이 국

    중앙일보

    2007.10.29 18:31

  • "미래 리더들이여 발코니에 올라서 바라보라"

    "미래 리더들이여 발코니에 올라서 바라보라"

    세계적 리더 양성소로 꼽히는 하버드 케네디스쿨. 이곳이 지금의 명성을 얻는 데 공공리더십센터(Center for Public Leadership)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다. CP

    중앙선데이

    2007.10.21 04:06

  • “평등·획일화 … 한국교육 미래와 정반대로 가”

    “평등·획일화 … 한국교육 미래와 정반대로 가”

    [중앙포토]세계적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79·사진)는 “한국은 이미 선진국이지만 미래에 대한 준비가 소홀하다”라고 꼬집었다. 대표적인 게 교육이라고 지적했다. 아시아 최대 투자자

    중앙일보

    2007.09.20 05:06

  • 글로벌 리더, 콘디처럼 걸어라!

    글로벌 리더, 콘디처럼 걸어라!

    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파워풀한 여성 1위. 흑인이자 여성이라는 이중 핸디캡을 이겨내고 미 국무장관의 자리에 오른 신화적인 인물, 콘돌리자 라이스. 그녀에겐 과연 어떤 힘이 숨

    중앙일보

    2007.08.29 10:59

  • 미국의 대학 25선

    뉴스위크의 이색 평가 “이 학교는 이래서 최고” 신발이나 자동차, 웹사이트, 그리고 파파라치가 찾아다니는 스타들처럼 대학의 인기도 기복이 있다. 사실 대학들이 특정 해에 더 많이

    중앙일보

    2007.08.23 15:48

  • [글로벌 대담] “중국 위협받는 한국, 한미 관계 강화로 샌드위치 벗어나야”

    지난해 말 최신작 를 들고 방한했던 미국의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6개월 만에 다시 한국을 찾았다. 김영희 국제문제 대기자가 그를 만났다. 에서 미처 드러나지 않았던 앨빈 토플러

    중앙일보

    2007.07.16 11:32

  • "부자 되기 위해 나라가 클 필요는 없다"

    "부자 되기 위해 나라가 클 필요는 없다"

    1970년에 '미래의 충격', 80년에 '제3의 물결', 90년에 '권력이동', 2006년에 '혁명적인 부(Revolutionary Wealth)'를 써서 역사의 전환기마다 미래를

    중앙일보

    2007.06.04 19:32

  • [글로벌 단독인터뷰] "한국, '위험한 이웃'중국 잘 다뤄야"

    의 저자 폴 케네디 교수. 최근 미국 쇠락론이 일면서 다시 바쁘다. 케네디 교수는 오늘의 강대국·약소국 등 세계 질서 변화를 어떻게 바라보나? 또 2007년은? 본사 윤정호 객원

    중앙일보

    2007.01.15 15:19

  • 앨빈 토플러는… 저서 '제3의 물결'로 명성

    앨빈 토플러는… 저서 '제3의 물결'로 명성

    앨빈 토플러는 세계 최고의 미래학자로 꼽힌다. 1928년 뉴욕 출생인 그는 뉴욕대를 졸업한 뒤 공장 노동자로 일하면서 노조 관련 잡지에 기고, 문필가로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중앙일보

    2006.12.14 05:00

  • '매스 타임'에서 '퍼스널 타임'시대가 왔다

    '매스 타임'에서 '퍼스널 타임'시대가 왔다

    미국의 저명한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사진)가 13일 본지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국은 시간과의 충돌에 직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 정부의 햇볕정책은 김대중 전 대통령에 의해

    중앙일보

    2006.12.14 04:45

  • [취재일기] 대학평가를 마치고 …

    [취재일기] 대학평가를 마치고 …

    올해로 13번째인 중앙일보의 대학평가에 대한 대학들의 반응은 다양했다. 순위가 올라간 대학은 "몇 년 동안 쏟은 노력이 올해 결실로 나타났다"며 흥분했고, 순위가 떨어진 대학은

    중앙일보

    2006.09.30 04:33

  • [행복한책읽기Review] 15년 만에 내놓은 앨빈 토플러의 미래 예언

    [행복한책읽기Review] 15년 만에 내놓은 앨빈 토플러의 미래 예언

    '부의 미래'는 세계적인 미래학자가 오랜만에 낸 신작이란 점에서 일단 눈길을 끈다. '제3의 물결''미래의 충격'등 전작(前作)에서 우리에게 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삶의 변화를 설

    중앙일보

    2006.08.25 20:42

  • [임도경이 만난 사람] 정진석 추기경, 그가 이 땅에 주는 통합의 메시지

    투쟁보다 화합을, 대립보다 용서를 택하며 '거리의 사제’가 아닌 ‘공부하는 사제’로 70평생을 산 대한민국의 정신적 보루 정진석 추기경. 무릎 꿇은 교사 사건 보고 가슴 아파 황우

    중앙일보

    2006.07.01 12:14

  • [21세기를 논하다] 3. 존 던 교수

    [21세기를 논하다] 3. 존 던 교수

    영국 케임브리지대 킹스 칼리지 연구실에서 7월 6일 만난 존 던 교수(왼쪽)는 3년 전 봤을 때와 마찬가지로 날카롭고 왕성한 정치 현실 분석을 보여줬다. 필자의 지도교수이자 은사인

    중앙일보

    2005.10.29 05:20

  • [Book/깊이읽기] 파편화된 학문 … 그 뿌리는 '통'하느니

    [Book/깊이읽기] 파편화된 학문 … 그 뿌리는 '통'하느니

    통섭 원제 Consilience 에드워드 윌슨 지음, 최재선·장대익 옮김 사이언스 북스, 558쪽, 2만5000원 이 책의 키워드이며 제목으로도 쓰인 '통섭'은 '귀납적인 추론 결

    중앙일보

    2005.04.29 20:24

  • [미디어] "수신료 내고 싶은 방송 되겠다"

    [미디어] "수신료 내고 싶은 방송 되겠다"

    '공영방송의 교과서'로 불리는 영국 BBC가 대대적 개혁에 착수했다. 82년 역사상 최대 규모. 향후 3년간 전체 인력의 10%인 2900명을 감원하고, 3억2000만파운드(약

    중앙일보

    2004.12.09 18:18

  • "한국서 전세계 '철학의 향연'을"

    "한국서 전세계 '철학의 향연'을"

    최고 지식의 향연인 세계 철학자대회 2008년 행사를 서울에 유치하기 위해 한국 철학계가 발벗고 나섰다. 20세기 초에 시작된 이 대회는 각국을 대표하는 철학회와 분야별.지역별 연

    중앙일보

    2003.07.31 18:46

  • 미발표작·기념첩 등 발견

    우리 연극사(演劇史)의 개척자인 노정(蘆汀) 김재철(金在喆, 1907~33) 의 삶과 사상을 살펴볼 수 있는 '노정 기념첩'과 미발표 원고가 발견됐다. '노정 기념첩'은 27세에

    중앙일보

    2003.07.02 17:52

  • 한국戰 연구, 우리 시각으로 새로 쓴다

    북한과 미국에 대한 인식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갈등의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과 미국 인식의 중심을 차지하는 역사적 사건은 다름 아닌 한국전쟁이다. 중견학자 박명림 교

    중앙일보

    2002.12.07 00:00

  • [사공 일 박사의 경제해법 찾기] 경제도 정치다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나라가 국제경쟁에서 뒤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나라들이 미래지향적인 적응력을 발휘하지

    중앙일보

    2001.12.17 00:00

  • [사공 일 박사의 경제해법 찾기] 경제도 정치다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나라가 국제경쟁에서 뒤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나라들이 미래지향적인 적응력을 발휘하지

    중앙일보

    2001.12.16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