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21. 식민지 시대의 영화-박노자 교수

    [100년전 거울로 오늘을 보다] 21. 식민지 시대의 영화-박노자 교수

    1923년 발표된 '월하의 맹서' 이후 80년간 영화는 줄곧 한국 사회에서 대중문화의 핵심적 지위를 차지해 왔습니다. 어떤 예술 장르보다 강력한 감수성과 흡입력을 무기로 식민지

    중앙일보

    2003.07.03 17:40

  • [세계 지식인 지도] 주변부의 시선

    노엄 촘스키 ·사뮤엘 헌팅턴 ·위르겐 하버마스 ·미셸 푸코 ·앤서니 기든스 ·폴 크루그만….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적 지식인들의 면면이다.실제 얼굴도 잘 알려져 있다.이들의 입장

    중앙일보

    2001.12.06 00:00

  • [탈식민주의론을 둘러싼 논쟁]

    동양 출신으로 서구 지성계를 압도한 탈(脫)식민주의론자 중 흔히 '삼총사' 로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오리엔탈리즘』(1978년)의 저자 에드워드 사이드(본지 1월 18일자 13면

    중앙일보

    2001.05.31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거대과학의 비판자들

    1960년대 초 미국의 앨빈 와인버그(전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소장)는 이미 관리자에 의해 좌우되며 과학 연구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거대과학의 문제점을 지적했

    중앙일보

    2001.04.19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거대과학의 비판자들

    1960년대 초 미국의 앨빈 와인버그(전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소장) 는 이미 관리자에 의해 좌우되며 과학 연구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거대과학의 문제점을 지적

    중앙일보

    2001.04.18 17:28

  • [세계 지식인 지도] 사이드의 반오리엔탈리즘

    에드워드 W. 사이드(66)가 1978년 출간한 『오리엔탈리즘』(이 말은 적당한 우리말 번역이 없이 원어 그대로 사용된다. 굳이 번역하자면 '동양주의' '동양학' 등이 될 것이다)

    중앙일보

    2001.01.18 00:00

  • 동양에 대한 시각 교정한 '오리엔탈리즘' 관심

    『오리엔탈리즘』은 사이드의 기념비적인 저서다. 1978년 미국에서 출간됐으며, 국내에는 지난해 증보판(역자는 영남대 박홍규 교수)이 나왔다. 이 책은 사이드를 일약 세계적 석학의

    중앙일보

    2001.01.18 00:00

  • [2001년 새해 특집] 세계 지식인 지도

    지금 인류는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혼돈 속에 현기증을 느끼고 있다. 이럴 때 지식인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인류가 역사적으로 전진할 때는 에너지를 제공하고 시

    중앙일보

    2001.01.01 00:00

  • [서평]강상중 著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팔레스타인계 미국 문학비평가 에드워드 사이드가 지난 78년 출판한 '오리엔탈리즘' 은 20세기의 마지막 20년간 가장 중요한 인문학적 논제의 하나인 탈식민주의 담론의 기원을 이룬다

    중앙일보

    1997.08.17 00:00

  •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포스트콜로니얼리즘(脫식민주의)은 「지리상의 발견」이후 정치. 경제.사회.문화에 걸쳐 전방위적으로 진행된 비유럽에 대한 유럽의 이미지 조작을 비판하는 이론이다.포스트콜로니얼리즘이 왜

    중앙일보

    1996.05.11 00:00

  • 한일 새시대는 민간우호 바탕위에|대담 기전위 김달수

    한국과 일본, 숙명적인 이웃이면서도 가깝지만은 않았던 두나라다. 전두환 대통령의 방일로 이 두나라 사이에 새시대의 문이 열렸다고들 한다. 과연 한일관계는 새시대로 접어든 것일까.

    중앙일보

    1984.09.22 00:00

  • 81년 일서 열린 문예회의 내용담은 『민중문화와 제 3세계』나와

    81년 11월 4∼5일 이틀간에 걸쳐 일본 가와사끼시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문화회의(AALA문화회의)의 전체회의, 심포지엄의 내용을 소개하는 책이 「민중문화와 제

    중앙일보

    1983.11.30 00:00

  • 이어령 교수 일「송하정경숙」강연|"일본은 큰 도깨비가 될 생각 말라"

    【동경=신성순 특파원】다음 글은「축소지향 적 일본문화론」을 제기, 일본의 매스컴과 지식인사회에 적잖은 파문을 던진 문학평론가 이어령 교수(이대)가 귀국 전날(5월29일)송하정경숙에

    중앙일보

    1982.06.03 00:00

  • (1)일본인의 한국관

    「공포의 88시간」을 연출한 일본태생교포 김희로(일본명 금강안광)의 「라이플」총난사사건을 가리켜 일본에서는 「텔리비젼」시대가 낳은 「탤런트」범죄라고 말하고있다. 「텔리비젼」수상기가

    중앙일보

    1968.03.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