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문창극칼럼] 약함이 강함 되려면

    [문창극칼럼] 약함이 강함 되려면

    이명박 후보의 등에서 식은 땀이 났을 것이다. 투표가 며칠만 늦춰졌어도 상황이 뒤바뀌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 후보는 이겼지만 이긴 것이 아니다.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사람들

    중앙일보

    2007.08.20 20:13

  • [문창극칼럼] 권력의 비늘을 떼라

    [문창극칼럼] 권력의 비늘을 떼라

    “한 집안을 망하게 하려면 그 집 마당에 몇 십억만 떨어뜨려 놓아라”는 말이 있다. 그 돈을 놓고 부모·형제 간에 싸움이 붙어 돈은 돈대로 없어지고, 집안은 풍비박산한다는 얘기다

    중앙일보

    2007.07.09 19:54

  • [문창극칼럼] "문제는 정권교체다, 이 바보야"

    민주주의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다. 정권교체의 가능성이 없다면 권력을 쥔 쪽은 반드시 교만하게 되어 있다. 국정을 잘못하면 다음 선거에서 권력을 놓치게 된다는

    중앙일보

    2007.06.25 20:07

  • [문창극칼럼] 정치도 성품이 먼저다

    [문창극칼럼] 정치도 성품이 먼저다

    무엇이 실패한 대통령으로 만드는가? 미국 대통령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보통 두 가지 기준을 말한다. 부패와 미숙함이다. 대통령이 부패하면 나라를 부패시킨다. 우리 전임 대통령 가운

    중앙일보

    2007.06.11 19:31

  • [문창극칼럼] 조승희 그리고 한나라당

    조승희 사건이 터진 지 2주가 되었다. 그 사이 나라 안에서는 한나라당의 보선패배가 있었다. 조승희와 한나라당… 둘 사이에 무슨 공통점이 있을까. 나는 조승희만 생각하면 가슴이 아

    중앙일보

    2007.04.30 19:52

  • [문창극칼럼] 세금과 민주주의

    K씨는 지난해에도 종합부동산세를 냈고 올해도 그 대상이다. 집값으로 말하면 이 나라에서 30만 명 안에 들어가는 사람이다. 올해 종합부동산세는 지난해의 세 배 정도 오른다고 한다.

    중앙일보

    2007.03.19 19:50

  • [문창극칼럼] 일등 국가, 일등 승객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대부분 나라를 잊고 산다. 가끔 외국에 갔을 때나 국제경기를 볼 때 혹은 국경일에 태극기를 내걸 때 잠시 나라를 생각해 본다. 지난주 3.1절 아침 라디오 방송

    중앙일보

    2007.03.05 20:38

  • [문창극칼럼] 싸우면 더 강해지는가?

    모든 성공은 실패의 씨앗을 품고 있다. 마찬가지로 모든 강함은 그 안에 약함을 함께 지닌다. 지금 한나라당은 두 후보 합치면 70%를 넘는 지지를 받고 있다. 계속 이런 상황이라면

    중앙일보

    2007.02.19 20:17

  • [문창극칼럼] 애국 진보는 왜 없는가

    정치인들의 이합집산이 분주한 걸 보니 다시 선거철이 온 모양이다. 열린우리당의 탈당 사태도 어찌 보면 과거 정치의 반복으로 치부할 수 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의 분열은 과거와는 다

    중앙일보

    2007.02.05 20:03

  • [문창극칼럼] 대화에서 협상으로

    북한이 핵실험을 한 지 2개월이 흘러가고 있다. 며칠간은 큰 걱정거리 같았으나 이제는 언제 그랬느냐 싶을 정도가 됐다. 정부의 대북정책에도 변화가 없다. DJ는 햇볕정책의 고수를

    중앙일보

    2006.11.27 20:45

  • [문창극칼럼] 나라 없이 호남 없다

    [문창극칼럼] 나라 없이 호남 없다

    말은 생각의 표현이다. 혹시 잘못된 생각을 하고 있다면 사람들은 말로 표현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그 생각에 붙잡혀 있다면 결국은 밖으로 드러나고 만다. 어떤 사람이 "나

    중앙일보

    2006.11.13 20:48

  • [문창극칼럼] 시험대 다시 오른 한나라당

    지방선거가 싱겁게 막을 내리고 있다. 대세는 이미 기울었다. 열린우리당은 싹쓸이만 막아 달라고 애원하고 있다. 여론 지도를 보면 지금 이 정권은 고립된 섬이다. 나라 전체가 한나

    중앙일보

    2006.05.29 20:30

  • 정동영 의장, 박 대표에 TV토론 제의

    정동영 의장, 박 대표에 TV토론 제의

    2006년도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의 편집·보도국장 세미나가 31일 제주도 칼 호텔에서 열렸다. 헤드테이블 왼쪽부터 문창극(중앙일보 주필) 편집인협회 회장,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

    중앙일보

    2006.04.01 05:19

  • [문창극칼럼] 그들도 재산이 늘었다

    고위 공직자들의 평균재산은 10억원 정도이고 그들 중 26%는 1년 동안 재산을 1억원이나 늘린 것으로 집계됐다. 서민들에게는 엄청나게 많은 재산이며 수입이다. 그러나 한편 생각해

    중앙일보

    2006.03.06 20:23

  • [문창극 칼럼] 주미대사로 내정된 발행인

    이번 글감은 이철우 의원 파동이었다. 공산주의와 매카시즘을 구별치 못하는 우리 풍토에 관한 것이었다. 좌파는 공산주의라는 말만 나오면 매카시즘이라고 몰아붙인다. 인권탄압과 고문을

    중앙일보

    2004.12.20 18:34

  • [문창극 칼럼] 참을 수 없는 가벼움

    민주주의가 최선의 제도라고 하는데 민주주의가 되면서 쇠락해 가는 나라가 있다. 필리핀은 나라를 버리고 미국.호주.캐나다로 떠나가는 사람이 올 들어 매일 3천명에 이른다. 그들은 스

    중앙일보

    2004.02.09 18:03

  • [문창극 칼럼] 새해에 바라는 오직 한가지

    올 한해 우리에게 가장 시급했던 것은 일자리였다. 일자리는 모든 가정의 문제가 됐다. 아버지들은 직장에서 쫓겨나지 않는 것이, 자식들은 취직하는 문제가 가장 큰 화두였다. 대학의

    중앙일보

    2003.12.29 18:10

  • [문창극 칼럼] 솔로몬을 보내주소서

    얼마 전 중앙일보가 새 수습기자를 뽑았다. 근 1천여명이 지원한 가운데 겨우 7명만 뽑았다. 몇차례의 중간과정을 거쳐 20명이 최종 후보로 남았다. 최종면접에 참석한 한 사람으로서

    중앙일보

    2003.12.15 18:05

  • [문창극 칼럼] 祭物없는 제사

    대선자금은 정치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들에게 돈을 준 기업인, 그리고 정치인으로부터 돈을 받은 유권자, 이렇게 3박자가 맞아 돌아갔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지금 논란의 초점은

    중앙일보

    2003.11.03 18:26

  • [문창극 칼럼] 송두율과 '개혁코드'

    북한 노동당은 무엇을 하는 곳인가? 조선노동당 규약에 따르면 '조선노동당은 …공산주의 운동의 승리를 위하여 헌신적으로 복무하는 선봉적 투사들로서 조직한다 …조선노동당은 프롤레타리아

    중앙일보

    2003.10.10 10:08

  • [문창극 칼럼] 송두율과 '개혁코드'

    북한 노동당은 무엇을 하는 곳인가? 조선노동당 규약에 따르면 '조선노동당은 …공산주의 운동의 승리를 위하여 헌신적으로 복무하는 선봉적 투사들로서 조직한다 …조선노동당은 프롤레타리아

    중앙일보

    2003.10.09 18:08

  • [문창극 칼럼] 비주류의 덫

    대통령이 많이 달라졌다. 아니 이렇게 변할 수가 있나 할 정도로 변했다. "반미를 좀 하면 어때"라고 말하던 사람이 "미국이 아니었으면 (북한 체제로 흡수된 한국에서) 정치범 수용

    중앙일보

    2003.05.19 18:24

  • [문창극 칼럼] 취임식날 이 아침에

    노무현 대통령 취임날이다. 대구지하철 참사만 없었더라도 좀 더 성대한 취임식으로 국민 모두가 축하했을텐데 아쉽다. 이 아침 盧대통령에게 도움이 될 말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되었다.

    중앙일보

    2003.02.24 18:08

  • [문창극 칼럼] 허상의 싸움은 그만두자

    이달 초 노무현 당선자는 한.미관계에 대한 조언을 듣고자 서울국제포럼 인사들과 오찬을 했다. 비교적 보수적 인사들로 자타가 인정하는 외교문제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이 모임에 참석한

    중앙일보

    2003.01.27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