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문화광장

    ◇제26회 전국국어국문학연구발표대회=6월3, 4일 상오10시 육군사관학교 합동발표및 국어학·현대문학·고전문학 분야로 나늬어 김민수교수(고려대)등 29명의발표와 토론이 있다 ◇제26

    중앙일보

    1983.05.27 00:00

  • 김여란 여사 별세

    판소리 「춘향가」 예능 보유자인 인간문화재 김여란 여사(77)가 3일 하오 2시 별세했다. 영결식은 5일 하오 1시 판소리 보존협회장으로 거행된다. 연락처는 무형문화재 전수회관(5

    중앙일보

    1983.05.04 00:00

  • 전통예술에 관심 높아진 20대

    16일 하오 5시. 서울 삼성동317 무형문화재 전수회관 2층 강당에는 20여명의 남녀대학생 등 젊은이들이 모였다. 『덩더꿍, 덩더꿍, 둥둥, 좋다.』 북과 징 소리가 요란하게 올

    중앙일보

    1983.04.19 00:00

  • 극단 민예의 『꼭두각시놀음』공연|인간문화재들 거센 반발

    극단 민예극장이 인형극회「꽃동네」에서 무형문화재「꼭두각시놀음」을 원형대로 공연했다고 해서 꼭두각시놀음 기능을 보유한 인간문화재들의 거센 반발을 받고있다. 전통극을 널리 보급하려는

    중앙일보

    1983.04.01 00:00

  • 외길육십년승무 인간문화재 한영숙씨(63세)

    『나는 춤추기 위해 때어난사람입니다』 인간문화재 한영숙씨 (63·무형문화제27호 승무기능보유자)는 춤과의 짙은 인연을 이렇게 표현했다. 충남홍성의 시골에서 태어난 한씨지만 할아버지

    중앙일보

    1983.03.17 00:00

  • 무형문화재 전수회관|올부터 일반대상 실기강습

    문화재보호협회의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형문화재전수회관은 올부터 일반인대상의 실기실습과 강습 등을 실시, 무형문화재기능을 널리 보급한다. 공연장(1백평) 실습실(2개) 놀이마당(5백

    중앙일보

    1983.03.03 00:00

  • (10)-전통매듭 인간문화재 최은순 할머니(66세)

    『일제말엽 검소한 생활이 강요되면서 전통매듭은 쇠퇴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더우기 해방이 되면서 다시 한번 외래문물에 밀리기 시작, 매듭의 명맥을 이어오는데는 그만큼의 어려움이 있었지

    중앙일보

    1983.03.03 00:00

  • 곡성 「돌실나이」기능보유자 김점순 할머니(67세)

    나지막한 돌담을 사이로 하고 70여 가구가 옹기종기 들어서 있는 전남 곡성군 석곡면 죽산리. 『세상에는 할 일 없이 / 청삼을 째여내고 / 배를 다리네 다리요 / 가리씨장 스와놓고

    중앙일보

    1983.02.24 00:00

  • (7)은산별신제 인간문화제-이어인 할머니(89세)

    『첫 치국을 잡으시니 경상도 경주는 진부대왕치국이요 두번을 잡으시니 전라도 전주는 공명왕의 치국이요 세번을 잡으시니 충청도 부여는 백제왕의 도입이요. 네번을 잡으시니 평안도 평양은

    중앙일보

    1983.02.10 00:00

  • (5)진주 검무 인간문화재 이윤례 할머니(80세)

    「어렵거나 슬픈 일이 없었느냐구? 내일생을 생각하면 지금이라도 통곡할 정도로 온통 외롭고 어렵고 슬픈일의 연속이었지….』 인간문화재 이윤례할머니(80·경남진주시상봉동동857의9·중

    중앙일보

    1983.01.27 00:00

  • 외길육십년 제자 : 평보 서희환 갓일 무형문화재 고정생 할머니|애환서린 한올한올 「천직」을 엮었다.

    나 동침아 돌아가라 서윌사름(서울사람)술잔들듯 어서재게 돌아가라 이양태로 큰집사곡(사고) 늙은부모 공양하곡 어린동생 부양하곡 일가방상(친척) 고적(부조떡)하곡 이웃사춘 부조하게(하

    중앙일보

    1983.01.01 00:00

  • 인간문화재 김태섭씨

    피리와 살아온 인생-.14세 어린 소년으로 이왕직 아악부원양성소에 입소한 이래 한평생을 국악에 몸바쳐온 인간문화재 김태섭씨가 이순의 환갑을 맞았다. 『그저 감개가 무량 할 뿐입니다

    중앙일보

    1982.12.14 00:00

  • 무형문화재 기능 전승에 활로

    문공부는 최근 주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지정에 「인간문화재인정제도」 및 「인간문화재특별장려금제도」를 신설, 내년1월부터 실시키로 확정함으로써 적체된 기능이수자문제를 비롯한 기능보유

    중앙일보

    1982.12.11 00:00

  • "승전무 원형대로 재연돼야 칼춤 빼고 북춤만 공연하는 건 잘못"

    충무시무형문화재보존협회(회장 엄수영)는 8일 주요무형문화재 제2l호로 지정된 승전무가 잘못된 형태로 전수되고있다며 원형대로 재연시켜줄 것을 바라고있다. 이 협회에 따르면 승전무는

    중앙일보

    1982.11.08 00:00

  • 중요무형문화재 발표공연

    전통공연예술의 국보및 예비국보인 인간문화재와 이수자, 전수자 3백20명이 총출연하는 무형문화재발표사상 최대규모인「인간문화재대제전」이 11월1일∼6일까지 서울동숭동 문화회관에서 펼쳐

    중앙일보

    1982.10.23 00:00

  • 소식

    추계예술학교는 10월6일 하오7시 국립극장 소극장에서 제5회 국악연주회를 갖는다. 연주곡목은 수제천 (전곡), 처용무 (초연), 범피중류등 수곡. 무형문화재 이수자및 전수자 20여

    중앙일보

    1982.09.30 00:00

  • 명창 김월하씨

    『하룻밤 가을비에 만산홍엽이 꽃인지 잎인지 알수 없네. 동녘에 높은 달은 1년중 제일이요…』 유장하고도 화려하며 연하고도 구성진 정가의 가락이 미성 김월하씨(65·중요무형문화재 3

    중앙일보

    1982.09.24 00:00

  • 인간문화제지정 더 넓혀야한다

    재야 인간문화재 실태와 문제점 훌륭한 중요무형문화재 기능을 보유했으면서도 인간문화재가 되지 못한채 당국의 지정을고대하는 「재야인간문화재」 들이 많다. 현재 지정돼있는 인간문화재들에

    중앙일보

    1982.09.16 00:00

  • 전통가곡 강습회

    한국 전통가곡진흥원이 주최하는 전통가곡 (이론·실기) 강습회가 15∼30일 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서울강남구삼성동 관육능앞) 에서 열린다. 강사는 중요무형문화재30호 예능보유자인

    중앙일보

    1982.09.10 00:00

  • 전통가곡 강습회 개최

    전통가곡 인간문화재 홍원기씨(사진)가 16일부터 31일까지 중요무형문화재 전수회관(서울 강남구 삼성동 선정릉 앞)에서 한국전통가곡강습회를 갖는다. 홍씨는 매일저녁 7시부터 1시간동

    중앙일보

    1982.08.16 00:00

  • 소식

    어린이회관은 어린이 회원을 지도할 피아노·첼로 강사를 모집한다. 모집인원은 피아노 전임강사 2명, 시간강사 4명, 첼로 시간강사 1명. 21일까지 접수.446-606l(내)52

    중앙일보

    1982.08.14 00:00

  • 통영 「갓일「의 기능 이수자 정춘모씨

    세계에 유례가 없는 죽세공정밀도로 찬사를 받아온 무형문화재 제4호 「통영 갓일」의 절묘한 기능이 처음으로 국제무대에 진출, 세계에 알려지게 됐다. 『대나무를 머리카락의 3분의 l정

    중앙일보

    1982.06.19 00:00

  • 무형문화재 지정·전수 현황|햇빛 보는 무형의 민족유산

    사람이 살아 움직이는 곳에는 율동(춤)이 있고 언어를 가진 민족에겐 노래가 있다. 따라서 인간의 생명력과 한 민족의 고유한 개성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것은 민속놀이·민속극·민속무

    중앙일보

    1982.06.09 00:00

  • 음악·무용·연극 특기 자에만 병역특혜

    예술계의 오랜 숙원인 예능특기자의 병역면제조치가 마침내 이루어졌다. 문공부는 7일 지난 2월 금년도 주요문화예술시책으로 내걸었던 예능특기자의 변역혜택의 구체적인 선발기준을 확정,

    중앙일보

    1982.06.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