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뇌의 신비를 밝힌다]下.차세대 뇌연구…약물 연구방향 (3)

    정신과에서 처방되는 약물처럼 부정적인 대상도 없다. '미친 사람이나 먹어야하는 약물' 이란 그릇된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숨진 다이애나의 우울증을 달래준 것은 항우울제 프로작

    중앙일보

    1997.09.25 00:00

  • 엔돌핀은 마약 같은것 너무 많으면 중독 위험

    언제부턴가 『웃으며 사세요.유쾌한 순간엔 우리몸에서 엔돌핀이나와 건강에 좋답니다』라는 잘못된 상식이 널리 퍼져있다. 모든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자는 좋은 의미에서 나쁘지 않은 말이

    중앙일보

    1996.07.01 00:00

  • 다이어트 식품

    「마황(麻黃)」이라는 이름의 늘푸른 관목(灌木)이 있다.50㎝안팎의 높이에 6~7월께 흰 꽃이 피는 이 나무의 원산지는 중국 북부와 몽고지방이다.주로 사막에서 서식한다.이 나무의

    중앙일보

    1996.06.24 00:00

  • 통증치료때 마약사용 규제완화 필요하다

    삶의 질이 가장 요구되는 분야중 하나가 질병으로 인한 통증치료다.특히 불치병 선고를 받은 환자의 공통된 목표는 고통속에 연장되는 삶보다 짧은 여생이나마 고통없이 지내는 것이다. 실

    중앙일보

    1996.02.07 00:00

  • 7.메모리얼 슬론케터링 병원

    현대의학의 눈부신 발달에도 불구하고 암은 아직까지 세계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흔한 난치병이다. 전세계에서 암치료에 관한 한 최고의 병원은 단연 미국 뉴욕에자리잡은 메모리얼 슬론

    중앙일보

    1995.12.03 00:00

  • 비마약성 강력진통제 개발/효과 모르핀보다 10배 높아

    ◎일에 수출 로열티 3백만불 마약성 진통제인 모르핀보다 10배나 강한 진통효과가 있으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비마약성 초강력 진통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특허를 일본에 수출하게

    중앙일보

    1994.07.15 00:00

  • 스위스의 “마약중독자 자유지대”(지구촌화제)

    ◎마약공원 문닫는다/3년전개장… 하루 천여명 북적/환자 증가억제 효과 없자 폐쇄 세계 마약중독자들의 유일한 치외법권지대로 널리 알려진 스위스 취리히의 플라츠 슈피츠 「마약공원」이

    중앙일보

    1992.01.26 00:00

  • LSD 호밀 곰팡이서 추출|맛·냄새없는 환각제

    국내 정상급 모델들이 가장 강력한 환각제인 LSD와 히로뽕·코카인등 향정신성의약품을 상습복용한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이들 약물은 정신착란·자살·심장마비사를 일으킬수 있

    중앙일보

    1990.01.11 00:00

  • (화학연)신물질 후보 10여종 합성·분리 성공|효능 높고 부작용도 줄인 그 개발내용

    한국 화학연구소는 지난3월 김완주 박사 팀이 경구용 퀴놀론계 항생제를 개발한데 이어 최근 신물질로 가능성이 매우 높은 후보물질 10여종을 합성 또는 분리하는데 성공, 독성실험·임상

    중앙일보

    1989.10.11 00:00

  • 운동선수들 약물복용|욕심부리다 몸 망가진다

    운동선수들은 왜 약물을 복용하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번 올림픽기간 중에 약물복용검사(도핑테스트)를 받은 선수는 1천 6백 1명으로 이 중 31명이 금지약물을 복용한

    중앙일보

    1988.10.10 00:00

  • KAIST「도핑 컨트롤센터」설립|약물복용선수를 가려낸다

    기록과 우승을 향한 스포츠인들의 욕심은 약물도 마다 않는다. 이 때문에 올림픽경기등 주요 대회때마다 약물복용에 대한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86아시안게임·88올림픽을 앞둔 우리

    중앙일보

    1986.08.08 00:00

  • (23)관절염

    비라도 한줄기 쏟아질 것같은 우중충한 날씨만 되면 뼈마디가 쑤시고 저리다는 노인들을 많이 보게된다. 관절염이 있다는 표시다. 그래서 얼마전까지도 관절염환자가 기상대보다 일기를 더

    중앙일보

    1986.07.31 00:00

  • 선분비 호르몬 발견 캐나다 의료 연구팀

    「캐나다」의 한 의료 연구「팀」은 「모르핀」과 똑같은 효과를 갖고 있으며 진통제로도 사용될 수 있을지 모를 선분비 인간「호르몬」을 발견했다. 「몬트리올」 임상조사연구소의 「미첼·크

    중앙일보

    1976.12.23 00:00

  • 한외마약화

    대한약사회는 한외마약 제제인 이른바 『마시는 감기약』의 대중광고를 일체 중지시켜 줄 것을 건의, 보사부도 즉일로 이를 받아들였다. 이것은 그 주성분인 「코데인」때문에 계속 복용하면

    중앙일보

    1973.12.14 00:00

  • (961)약의 고마움-최종인

    1805년 독일의 젊은 약사 「제르튀르너」가 양귀비의 미숙 열매에서 「모르핀」을 분리한 것이 생약에서 그 약효성분을 화학적으로 추출하는 시초가 되었는데 그 당시 수년 동안은 학술적

    중앙일보

    1971.10.11 00:00

  • 습관성 의약품의 범람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약을 과신하는 경향이 없지 않았던 것 같다. 적어도 중류이상의 가정에서는 과거에도 으례 영신환·우황청심환·사향소합환등 소화약으로부터, 심지어는 비산등 맹독

    중앙일보

    1970.01.31 00:00

  • 몰핀 주사 맞고 절명

    환자가 병원에서 「모르핀」주사를 맞고 부작용으로 숨졌다. 17일 상오 8시쯤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산53 16통10반 정도진(69)씨는 갑자기 심한 복통을 일으켜 인근 영덕의원에

    중앙일보

    1966.04.1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