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 싱가포르 (1)

    “학생으로서 첫번째 의무는 시험을 잘 치르는 것이다.스포츠나 연극등 과외활동을 하면 삶이 더 풍부해지겠지만 이를 다할 수 없다면 공부부터 하라.” 교육부장관을 하다가 지난 1월말

    중앙일보

    1997.03.17 00:00

  • 6.모하메드家

    고무나무 농장 일색이던 말레이시아가 숨가쁜 성장을 거듭해 오늘날의 산업대국으로 발돋움한 것을 두고 뽕나무밭(桑田)이 벽해(碧海)로 둔갑했다고 비유하는 사람들이 많다. 동남아시아 국

    중앙일보

    1996.12.30 00:00

  • 말레이시아 세계최고 정보통신망 구축

    말레이시아가 21세기 정보 통신 시대에 대비,콸라룸푸르 수도권에 대규모 고도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대회랑(大回廊)」(Multimedia Super Corridor

    중앙일보

    1996.08.08 00:00

  • 권이혁,말레이 과학기술대회 참석

    ◇權彛赫 대한민국학술원회장은 말레이시아 총리실및 말레이시아학술원의 초청을 받아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에서 2,3일 이틀동안열리는 말레이시아과학기술심포지엄에 참석하고 대한민국학술원과

    중앙일보

    1996.08.01 00:00

  • 싱가포르 前총리 리콴유 잦은 돌출발언 구설수

    최근 아파트 특혜 할인분양 시비로 한바탕 곤욕을 치른 싱가포르 전총리 리콴유(李光耀.72.사진)가 이번에는 「돌출 발언」을 계속해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李전총리는 지난 7일 총리

    중앙일보

    1996.06.14 00:00

  • 말聯 총선서 與黨 압승-마하티르 총리 재집권 길열어

    [콸라룸푸르 로이터.AFP.AP=聯合]말레이시아 총선에서 마하티르 모하마드 총리가 이끄는 여당연합 국민전선(NF)이 지난7년간의 경제발전과 소득증대에 힘입어 지난25일 실시된 총선

    중앙일보

    1995.04.27 00:00

  • 세계화 아시아 각국 영어교육 열풍

    아시아 각국이 영어교육에 열을 올리고 있다. 국경 개념이 무색해진 지구촌 시대. 시시각각으로 닥쳐오는 「세계」와의 경쟁에서 영어는 필수불가결한 무기라는 인식의 확산때문이다. 특히

    중앙일보

    1995.01.12 00:00

  • "NO라고 말할수 있는 아시아" 石原愼太郞 著

    4년전 『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이라는 책을 내 화제를불러 일으켰던 작가겸 국회의원(중의원)인 일본의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郎)가 이번에 말레이시아의 모하메드 마하티르총리와

    중앙일보

    1994.11.19 00:00

  • 亞지역주의 바람의 旗手 마하타르 말聯총리

    정치적으로는 극단적인 말레이 민족주의,경제적으로는 아시아 국가만의 경제블록인 개방적 지역주의를 표방하는 마하티르 모하메드말레이시아총리.그는 지난 13년간 말레이시아를 통치하면서 자

    중앙일보

    1994.04.05 00:00

  • 말聯 마하티르총 비즈니스 방한 눈길-현대 정회장 초청으로

    말레이시아의 모하메드 마하티르총리(69.사진)가 특정기업인 現代그룹과의 비즈니스만을 위해 訪韓해 눈길을 끌고있다.마하티르총리는 5일오후 김해공항을 통해 訪韓,울산 現代자동차와 現代

    중앙일보

    1994.03.05 00:00

  • “한국기업 투자확대 희망”/마하티르 말련 총리

    ◎「동방정책」은 한·일·대만 배우자는 뜻 【콸라룸푸르=김원태특파원】 모하메드 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총리는 28일 회견에서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들의 선진국 진입을 막기 위해 환경 및

    중앙일보

    1994.03.01 00:00

  • 영어대신 중국어 “쓰자”“말자”/싱가포르 뜨거운 논쟁(지구촌화제)

    ◎“영어로는 전통계승 곤란” 정부캠페인/“전승 못한게 언어탓이냐” 영어옹호자/“중국어 반대” 목소리 커도 동양적 가치 숭상 여론높아/권장운동 취소가능성 희박 『영어로는 도저히 동양

    중앙일보

    1992.11.29 00:00

  • (54)콴탄지역 열대림·백사장이"손짓"|「관광입국」말레이시아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6개국 가운데 최근 들어 가장활기를 보이는 말레이시아는 관광자원으로도 가능성이 크게 엿보인다. 말레이시아·태국·싱가포르·인도네시아·브루나이·필리핀 등 아세

    중앙일보

    1992.10.25 00:00

  • 말레이시마 총리와 대담

    □…MBC-TV 특집대담『아시아인의 아시아』(5일 밤9시30분)=이국민의식개혁을 이뤄 말레이시아성장의 원동력을 구축해낸마하티르 말레이시아 총리와의 현지대담을 구성, 방송한다. 말레

    중앙일보

    1992.07.05 00:00

  • 싱가포르 화교들/모국어 배우기운동 한창(지구촌화제)

    ◎“중국인 민족성 상실”자성/“화인화어”구호… 소수민족은 못마땅 싱가포르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화교들이 중국인의 민족성을 상실하고 있다고 자성,『표준 중국어로 말합시다』라

    중앙일보

    1991.01.06 00:00

  • 대통령제 서두르는 싱가포르

    【홍콩=전택원 특파원】싱가포르 리광야오(이광요)총리가 지난해 10월 천명했던 은퇴시한이 이달말로 임박함에 따라 후계체제의 등장과 이후의 정국방향에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31

    중앙일보

    1990.11.07 00:00

  • (15)먹거리·볼거리 푸짐 상하의 싱가포르

    『한국은 작은 나라가 아닙니다. 엄청난 자원이 있잖아요. 대국으로 생각합니다.』 한 중국계 싱가포르인이 정색을 하고 엄지손가락을 세워 보인다. 이 한마디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중앙일보

    1990.11.04 00:00

  • “정치는 말레이 경제는 화교" 재확인/집권당 압승한 말련 총선

    ◎33년 통치 국민전선 정치입지 더욱 강화 20,21일 실시된 총선을 통해 다민족ㆍ다종교국가 말레이시아는 「정치는 말레이인이,경제는 중국 화교가 지배」라는 전통적 통치구조를 재확인

    중앙일보

    1990.10.22 00:00

  • 한ㆍ말련 정상회담/교역ㆍ경협확대 논의

    노태우대통령과 마하티르 말레이시아총리는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양국 정상회담을 갖고 최근 중동사태및 캄보디아사태,그리고 남북관계등 한반도및 국제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양국간

    중앙일보

    1990.09.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