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6)|『데라우찌』의 총칼|발굴자료와 새증언으로 밝히는 일제통치의 뒷무대

    ○…1910년10월1일-. 이날은 조선총독부가 문을 연 날이다. 초대조선총독 「데라우찌·마사다께」(사내정의)는 일본인 관리들에게 훈시했다. 『오늘부터 천황폐하의 은혜를 입게된 조선

    중앙일보

    1983.07.04 00:00

  • (10) 항일의 해외기지(1)

    한국병합을 전후한 일본군의 무자비한 의병 초토작전에 밀려 간도와 연해주등 국경너머에는 일찍부터 무장항쟁의 기지가 되었다. 일본의 한국병합이 도오교-베를린­모스크바를 거쳐 블라디보스

    중앙일보

    1983.05.23 00:00

  • (9) 대한제국의 최후

    l910년8윌29일 전국각지의 일본수비군들이 시가행진을 벌였다. 서울거리에는 헌병과 순사가 30m간격으로 도열해 있었고 단 두 사람만 모여도 엄중히 취조해 흩어지게 하는 삼엄한 경

    중앙일보

    1983.05.16 00:00

  • (8) 대한제국의 최후(8)|발굴자료와 새 증언으로 밝히는 일제통치의 뒷무대

    「이또」(이등)의 죽음후 일본은 한국병합으로 내달았다. 1910년 5월 어느날 「가쓰라」(계태낭)는 수상관저로 육군대신 「데라우찌」(사내정의)를 불렀다. 「데라우찌」는 그 스스로

    중앙일보

    1983.05.11 00:00

  • (5)-대한제국의 최후(5)

    일본의 한국 병합 공작에 항쟁한 안중근 의사는 우리의 기억 속에 살아있다. 그는 을사조약을 강요했던 [이또]를 저격함으로써 민족의 독립의지를 내외에 시위했다. 그는 일본법정을 거부

    중앙일보

    1983.04.18 00:00

  • (6)체전협상 중소분쟁을 이용하라

    휴전협상이 개성에서 처음 열리기하루 전날인 51년 7월9일 미8군 사령관인「리지궤이」장군은 묘한성명문 초안을 협상에 타전했다. 극비문서로 분류된 이 성명초안은 놀랍게도 교전상대국에

    중앙일보

    1983.04.11 00:00

  • (3673)제79화 육사졸업생들(126) 38선 무력도발

    해방후 미군과 소련군이 진주하여 38선 경비를 맡았을때는 쌍방간의 충돌은 전혀 없었다. 그러나 국군과 북괴군이 창설되고 전방경비를 이들이 분담하면서 긴장이 고조되더니 48년후반에

    중앙일보

    1983.03.29 00:00

  • (69)폭동진압종료

    박진경대령 암살사건의 진상과 배후가 밝혀졌을 때도 군내에 잠복해 있던 공산주의자 오일균소령의 정체는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불안을 느꼈던지 포로수용소장을 자청하여 대대장직을 떠났

    중앙일보

    1983.01.21 00:00

  • >제79화 육사졸업생들 (79)

    합방 전에는 최강의 의병장이었고 합방 후에는 김좌진 장군과 함께 우리 항일무장 투쟁의 양대 주류를 이루었던 홍범도 장군 (1868∼l943)은 조선군 하사였고 사냥꾼이었다. 평남태

    중앙일보

    1982.11.15 00:00

  • 서로군정서

    이청천이 사령관으로 있던 남만주의 서로군정서(독판 이상룡)의 군사활동은 전투보다는 신흥무관학교를 중심으로한 인재양성에 중점을 두었던 것 같다. 이 학교는 조선조의 관리를 지낸 이시

    중앙일보

    1982.11.13 00:00

  • (3562)육사졸업생들(15)|장창국

    일제하의 우리 독립군 단체는 너무나 넓은 지역에 너무나 많이 분포돼 있고 상황에 따라 수시로 이동하여 그 전체적인 파악은 아주 어려운 일이다. 더우기 지도자들이 가명을 사용한 예가

    중앙일보

    1982.11.12 00:00

  • 민비 시해-이선근

    『일제가 저지른 민비 시해사건은 소위「사무라이」정신을 근간으로 한 일본 제국주의의 본질이 얼마나 남달리 비겁하고 잔인무도 했는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지요.』189

    중앙일보

    1982.08.09 00:00

  • 국사편찬위가 분석한 교과서 왜곡문제

    ◇한군현의 위치 ▲조선우도에도 농경과 금속기의 문화가 발달하고 한은 그곳에 낙랑군등의 사군을 두고 지배하었다.(동경서적 일본사 P15) ▲또 조선우도에서는 2세기 후반에 한족이

    중앙일보

    1982.08.05 00:00

  • (13)날조된 가계

    어용학자들은 김일성의 경력을 서술할 때 사설을 있는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그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을 쓴다. 실제 있었던 사실보다도 쓰인 사실이 더 중요하고 뜻이 있다는 것

    중앙일보

    1982.04.10 00:00

  • 톤수코이 보물선

    곰과 여우가 사슴을 사이에 놓고 으르렁대는 싸움이 바로 로전쟁이었다. 20세기초 「러시아」와 일본은 한반도와 만주의 지배권을 장악하기 위해 각축전을 벌였다. 이 전쟁은 처음부터「러

    중앙일보

    1981.04.28 00:00

  • 회견내용

    「이란」의 공세가 둔화됨에 따라「페르시아」만의 인접국가들이 이 분쟁에 가담하게 되어 전쟁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가고 있다는 일부 보도가 있었다. 귀하는 이 전쟁이 실제로 크게 확대될

    중앙일보

    1980.10.09 00:00

  • 「데탕트」에서 냉전시대로|소련 팽창정책의 발판|지역 한계넘어 「브·독트린」을 시험

    소련군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중동과 「아시아」지역의 정세는 뜻하지 않은 전환점을 맞게 됐다. 이러한 소련의 행위가 미소관계를 비롯, 동서관계 및 「아시아」정세에 어떠한 변수로

    중앙일보

    1980.01.15 00:00

  • 군사적으로 경제적으로 미국은 움츠러들고 있다|불「레이몽·아롱」교수가 진단하는 오늘의 세계

    70년대에 들어선 이래 대내적으로 정치·사회적인 대혼란을 겪은 미국은 국제적으로도 경제·군사면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잃어왔다. 이에 비해 소련은 제3세계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군

    중앙일보

    1979.10.15 00:00

  • 극동진출 「러시아」군 선봉, 꺾은 신유 장군 재평가해야-한·로 관계사 전공 박태근씨 역설

    이조 효종 때 청의 요청으로 「러시아」비적을 무찌르기 위해 흑룡강에 출병한 신유 장군의『북정일기』(월간중앙 78년2월호에 전문번역 소개)가 작년2월 대구서 발견되면서 「러시아」의

    중앙일보

    1978.08.14 00:00

  • 남기고싶은 이야기들(1479) 제47화 전국학련(91)|나의 학생운동 이철승|군부좌익잔당 여수에서 반란|경찰·학련 관계자들 색출, 길바닥에서 총살|학련·독청등 모여 대책회의

    48년 10윌19일 밤11시. 반도남단 여수에서는 여수주둔 14연대 병력이 반란을 일으켜 피비린내나는 살육전을 벌였다. 14연대는 48년5월 창설때부터 문제가 있던 연대. 당시 국

    중앙일보

    1975.11.04 00:00

  • 공산측-한국 문제 결의안 제출

    【유엔 본부 11일 외신 종합】중공·소련을 비롯한 공산 국가와 비동맹국 등 35개 북괴 지지국들은 11일 ①1953년의 한국 휴전 협정을 새평화 협정으로 교체하고 ②「유엔」 군 사

    중앙일보

    1975.08.12 00:00

  • (중)독「슈피겔」지가 분석한 소 극동군 증강의 저변

    모택동은 현재 3백만 명 이상의 군인과 1천2백만 명의 민병조직을 동원하여 인해전술을 구사할 수 있다. 그러나 장비 면에서는 4천대의 낡은 소제「탱크」의 5개 기갑사단에 공군병력

    중앙일보

    1974.03.01 00:00

  • (842)|내가 아는 박헌영(161)|박갑동

    패퇴하여 만주까지 도망치게 되어 궁지에 빠진 김일성은 전쟁을 중간 결산하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3회 전원회의의 보고문안을 기안할 권한까지 잃고 그 기초를 부위원장인 허가이에게 위

    중앙일보

    1973.09.07 00:00

  • (833)제31화 내가 아는 박헌영(152)

    북한의 이른바 「남반부 해방지구에 대한 정책」은 앞서도 말했듯 6·25동란 두 달 전인 4월, 조선노동당 정치위원회에서 그 대강이 결정되었었다. 김일성은 그 결정에 의하여 남파요

    중앙일보

    1973.08.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