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배타성 벗게 할 성찰적 학습능력…한국 가장 흥미로운 모델 가능성

    배타성 벗게 할 성찰적 학습능력…한국 가장 흥미로운 모델 가능성

     ━  하버마스가 보는 동아시아 문명의 미래   하버마스를 만나러 독일을 가는 나에게 그의 건강을 묻는 주위의 동료들이 많았다. 나도 6년간 그를 만나지 못했으니 그의 건강이 어

    중앙선데이

    2024.06.15 00:20

  • 한림대, 일본학연구소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림대, 일본학연구소 국제 심포지엄 성료

    한림대 일본학연구소 국제심포지엄 단체사진 한림대학교(총장 최양희) 일본학연구소(소장 서정완)는 2024년 3월 22일(금)부터 3월 23(토)일까지 이틀에 걸쳐서 인터컨티넨탈 서

    중앙일보

    2024.03.27 15:43

  • [중앙시평] 최제우 탄생 200주년을 생각한다

    [중앙시평] 최제우 탄생 200주년을 생각한다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 새해를 맞아 기억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 수운 최제우다. 1824년 12월 18일 경주에서 태어났으니 탄생 200주년이 된다. 최제우의 삶과 사상을

    중앙일보

    2024.01.15 00:30

  •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한국의 독립 첫 선언…일본이 점령한 동남아는 왜 빠졌나

    [박태균의 역사와 비평] 한국의 독립 첫 선언…일본이 점령한 동남아는 왜 빠졌나

     ━  카이로선언 80주년을 맞으며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올해 역사학계와 정치학계의 화두는 정전협정 70주년, 한미동맹 70주년이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계속되

    중앙일보

    2023.08.29 00:46

  •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자연의 이치는 공생…활엽수 남벌이 화마 키워

    [김정탁의 인문지리기행] 자연의 이치는 공생…활엽수 남벌이 화마 키워

     ━  2022년 울진 산불과 인간경영   김정탁 노장사상가 한국인에게 친숙한 나무를 꼽으라면 단연 소나무다. 애국가에도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으로 등장할 뿐

    중앙일보

    2023.03.17 00:56

  • [차이나인사이트] 김치가 자신의 문화라 우기는 중국이 노리는 건?

    [차이나인사이트] 김치가 자신의 문화라 우기는 중국이 노리는 건?

     ━  문명사적 맥락에서 본 ‘김치 전쟁’   중국 유튜버 리즈치는 지난 1월 김치 담그는 영상을 공개하며 김치를 ‘중국 요리’라 주장해 파문을 던졌다. [유튜브 캡처] “부처를

    중앙일보

    2021.04.14 00:45

  • [문화 비평 - 미술] 역사의 틈새를 비추는 미술의 힘

    [문화 비평 - 미술] 역사의 틈새를 비추는 미술의 힘

    이주현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 하나의 전시회로 한 시대를 개괄한다는 것은 역사학자가 단대사(斷代史)를 저술하듯 어렵고도 조심스런 일이다. 개괄하려는 시대가 일제 강점으로 인해 1

    중앙선데이

    2019.02.09 00:20

  • [김영희 칼럼] 마지막 큰 정치가를 잃은 상실감

    [김영희 칼럼] 마지막 큰 정치가를 잃은 상실감

    김영희국제문제 대기자 헨리 키신저는 리콴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역사에 있어서 비대칭의 하나는 지도자의 능력과 그가 통치하는 나라의 국력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리콴유

    중앙일보

    2015.03.27 00:03

  • “홍콩이 본토인보다 더 많은 자유 달라는 건 비현실적”

    “홍콩이 본토인보다 더 많은 자유 달라는 건 비현실적”

    키쇼어 마부바니는 아시아 출신으로 국제정치 무대에서 영향력이 큰 몇 안 되는 인물이다. 서양 매체들은 그에게 ‘아시아의 토인비’ ‘동양적 윤리를 설파하는 막스 베버’라는 별명을 붙

    중앙일보

    2014.10.11 17:34

  • 동아시아 5개국 출판인 인문서 100권 번역 시동

    동아시아 5개국 출판인 인문서 100권 번역 시동

    동아시아 각국에서 20세기 중반 이후 출간된 인문서 명저 100권을 풀이한 『동아시아 책의 사상, 책의 힘』(동아시아출판인회의 기획, 한길사, 426쪽, 1만8000원)이 나왔다

    중앙일보

    2010.09.14 00:15

  • 땅 위의 생명들은 영혼의 뜻을 구현하는 우주의 아들

    땅 위의 생명들은 영혼의 뜻을 구현하는 우주의 아들

    주돈이의 태극도(太極圖) 퇴계의 열폭 ‘성학십도(聖學十圖)’중 맨 첫머리에 실렸다. 영원의 중심에서 대극적 힘의 형성, 거기에서 펼쳐지는 생명과 자연의 세계를 간략하게 도식화했다

    중앙선데이

    2009.03.08 01:40

  • 다시 묻는다,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다시 묻는다,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지난해 초겨울 해인사에 강의차 갔다가 뒷산 깊은 속, 토기 굽는 가마에 들른 적이 있다. 머리를 뒤로 맨 도공이 설파하는 불의 표정에 대해, 그 분노와 사랑에 대해 일장 강의를

    중앙선데이

    2009.02.08 07:12

  • 문명사로 본 한·미 FTA 이어령이 묻고 답하다

    문명사로 본 한·미 FTA 이어령이 묻고 답하다

    Q:한.미 FTA가 타결된 뒤 분분한 해석과 엇갈린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일반 국민은 이 문제를 어떤 생각과 마음으로 접근해 가야 할 것인가. A:육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보기

    중앙일보

    2007.04.06 05:05

  • [즐겨읽기] 목숨을 바쳐 파헤친 '일본의 근대사'

    [즐겨읽기] 목숨을 바쳐 파헤친 '일본의 근대사'

    현대 일본을 찾아서(상·하권) 마리우스 잰슨 지음 김우영·강인황·허형주·이정 옮김, 이산 상·하권 총 1208쪽, 각권 2만5000원 메이지 시대를 전후해 변화되는 한일 관계를 보

    중앙일보

    2006.01.27 17:47

  • [글로벌아이] APEC과 한국의 새역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가 끝났다. 대부분의 평가는 매우 성공적이라는 데로 모이고 있다. 한국의 위상과 역동성, 미래에 대한 가능성이 잘 표현됐다는 평가들이 대부분

    중앙일보

    2005.11.21 20:44

  • '21세기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

    '21세기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학문활동에서는 '운동'정서를 버려야 한다. 식민지에 이어 또다시 오랫동안 독재를 경험하면서 얻게 된, 다분히 정치화된 지적 관행을 버려야 한다는 말이다. 이를 위해서는 세계와

    중앙일보

    2005.02.11 17:34

  • [소프트 파워 소프트 코리아] 1. 소프트 파워를 읽는 이어령과의 대화

    [소프트 파워 소프트 코리아] 1. 소프트 파워를 읽는 이어령과의 대화

    Q 한류(韓流)라는 말을 많이 쓰고 있다. 이 말의 뿌리와 그 개념부터 알고 싶다. A 한류는 1999년 중국의 베이징(北京) 청년보(靑年報)에서 한국의 대중문화와 연예인들에 빠

    중앙일보

    2005.01.03 09:50

  • 근대 노동사, 신여성 다룬 책 동시에 펴낸 김경일 교수

    근대 노동운동사와 1920년대 신여성의 등장 문제를 다룬 두 권의 저서를 한 사회학자가 동시에 펴냈다.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문학과지성사)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

    중앙일보

    2004.07.28 17:47

  • [지식/교양] '대학(大學)-진보의 동아시아적 의미'

    대학(大學)-진보의 동아시아적 의미/김기현 지음, 사계절, 9천8백원 "고전을 폄하했던 태도 만큼이나 고전을 숭배하려는 태도 역시 단절의 골을 깊게 해온 측면이 있다. 진리의 이름

    중앙일보

    2003.01.03 16:21

  • 자유주의 논쟁 불지피다

    자유주의 이념 연구그룹인 한국하이에크 소사이어티(회장 민경국)의 저술인 『이제는 자유를 말할 때』는 논쟁적이다. 이유는 두가지다. 우선 지난해 나온 자유주의 입문서 『자유주의란

    중앙일보

    2002.02.23 00:00

  • 동아시아적 사유의 뿌리를 찾아

    국내 대표적 신화연구자 4명이 공동으로 펴낸 신간은 중국 신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입문서로 적합하다. 중국의 창세신화와 영웅신화 등 수많은 문학작품의 모태가 되는 이야기들을 통해

    중앙일보

    2002.02.02 00:00

  • 지구촌 대표여성 50인을 만난다

    앞날 책의 모양새는 이런 방식이 아닐까 싶은 게 '클라시커 50'시리즈이지만, 다섯 번째 책 『여성』도 그렇다. 풍부한 도판에 다이제스트화된 정보, 적절한 딸림박스를 곁들여 지루

    중앙일보

    2002.02.02 00:00

  • "오랑캐 정신 살려야 나라가 삽니다"

    알고보면 전작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와 신작의 제목은 동어반복이다. 공자와 오랑캐, 역사적으로 문명과 야만을 대변하는 이 두 개념을 통해 저자의 '물구나무 선 비전'을 노출

    중앙일보

    2001.11.10 08:12

  • [행복한 책읽기] '나는 오랑캐가 그립다'

    알고보면 전작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와 신작의 제목은 동어반복이다. 공자와 오랑캐, 역사적으로 문명과 야만을 대변하는 이 두 개념을 통해 저자의 '물구나무 선 비전'을 노출

    중앙일보

    2001.11.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