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1) 희망의 계단(7)

    길은 허리가 잘려 두 동강이 되어 누워 있었다. 오랜 세월을 길은 오가는 사람 하나 없이 훤히 비어 있는 평원을 지켜보고 있었다. 길은 외줄기 철원역을 기점으로 북에서 남으로만

    중앙일보

    1967.06.24 00:00

  • (7) 중구

    중구청은 올해 3억5천만의 예산으로 50건의 각종공사를 벌여 중구관내의 골목길 구석구석까지 정비한다. 이미 66연도까지의 사업으로 관내 85%의 지면을 포장한 중구청의 올해 목표는

    중앙일보

    1967.02.18 00:00

  • 올해 철거할 무허가건물

    16일 상오 서울시는 올해 2만4천2백31동(3만6천7백48가구)의 무허가 건물을 뜯기로 최종결정하고 그 순위는 ①공사구간 ②공원정리 ③소방수해 및 제방지역 ④도시계획상 지장물 ⑤

    중앙일보

    1967.01.16 00:00

  • 일 법정에 설 두 한국 변호사

    1941년 부산 영선동에 있던 일군해군지정 「조선제망공장」에 방화한 혐의로 당시의 국방보안법에 의해 징역15년형을 확정 받았던 일본인「가네모리」(김삼건사)씨가 25년 만에 재심을

    중앙일보

    1966.05.21 00:00

  • 쫓겨나는 동사무소 시서 대지주에 불하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주민들은 시 당국이 신길동 96의 23 신길동 동사무소 건물을 일방적으로 개인에게 불하했다고 일관성 없는 시 당국의 시책을 규탄하고 있다. 서울시 당국은 약

    중앙일보

    1966.03.29 00:00

  • (14)13시 민심 관심

    사람 사는 곳에 사정이 없을 수 없고 사람 사는 곳에 할말이 없을 수 없다. 그러나 서울시민은『시정에 할말이 많으면서 할말이 없다』. 어느관서에 가나 무엇을 도와 드릴까요』라는 글

    중앙일보

    1965.11.25 00:00

  • 동경교육회관 되찾기 소송|[붉은 손]꺾는 법정투쟁||조련의 [선전기지]

    [조선교육재단 동경회관]의 소유권을 되찾기 위한 싸움은 정부가 주일대표부를 통해 금주중 조련계의 [조선장학회]를 걸어 동건물 및 토지소유권에 대한 등기말소 청구소송을 일본 법원에

    중앙일보

    1965.11.04 00:00

  • 서울에 현대판 "가보"?

    무허가 건축물의 증가를 「일단정지」 시키기 위해 마련된 무허가 건물 등록 필증이 건물매매 때는「등기증」구실을 하는가 하면 문밖에 붙여 놓으면 잃어버리는 일이 많아 일종의 귀중품 취

    중앙일보

    1965.09.27 00:00